•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 Policy

검색결과 1,914건 처리시간 0.037초

일본 요코하마시의 수변공간개발과 문화정책 (Waterfront Development and Cultural Policy in Yokohama City, Japan)

  • 김나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91-298
    • /
    • 2014
  • 수변공간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공간 재생의 의미를 이해해 보고자 한다. 특히 지역문화의 활성화를 핵심적인 의도로 가지는 문화도시전략에서 문화예술의 역할을 해항도시의 수변공간개발에서 문화정책 및 그 실현과정을 통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수변공간을 둘러싼 역사적 건축물이나 수변 경관 등 개성적이고 매력 있는 도시경관과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공간 창출을 통한 성공적인 수변공간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일본 요코하마를 대상으로 살펴본다. 요코하마는 일본의 '문화예술창조도시' 전략의 일환으로 '창조도시 요코하마'라는 문화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그 중 공간계획정책이라고 할 수 있는 '내셔널 아트 파크 구상'은 문화예술공간 창출을 통해 수변공간 재생을 실현하고 있다. 이 사업의 기본적 의도와 구체적 실행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해항도시의 수변공간개발에서 문화예술이 가지는 역할을 이해하고 수변공간 재생에 있어서 문화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검토한다.

Study on the Korean application of cultural accessibility and cultural arts education: focusing on French cultural policy

  • Hanbyul Kim;Soelah Kim
    • 분석과 대안
    • /
    • 제8권1호
    • /
    • pp.33-57
    • /
    • 2024
  •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elements, concepts, and directions of 'cultural accessibility' in the field of cultural arts education through the French case. Above all, 'cultural accessibility' i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blems of 'social exclusion' and the corresponding 'participation'. We discuss strategies for applying 'cultural accessibility' through French policy discussions. France is implementing this consistent policy structu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its local self-government system. We first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French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accessibility, and the participation. Next, we will discuss separately into the cultural arts educ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ose of local governments. For application to Korea, we propose the application of education to apply 'culture of public values', the establishment of autonomy in cultural arts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of a dual strategy for public advocacy.

CT산업 지원 정책이 조직의 혁신역량과 콘텐츠의 OSMU화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중심으로 (An Influence of Supportive Policy for CT Industry on Innovation Ability of Organization and OSMU of Contents - Focusing on Domestic Animation Industry)

  • 조영관;조성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4호
    • /
    • pp.67-80
    • /
    • 2009
  • The research tried to realize the policy which serves Innovation ability for culture-contents producer, and culture-contents producer's Innovation ability which impacts OSMU of contents in the policies of government for vitalizations of culture-contents industry. As a result, we hav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supportive policies for technology, exports and marketing were effective to strengthen the innovation ability of management of human resource, creation and production area. Also we have found that content's OSMU has been influenced by innovation abili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followed. First, the policies which are intended to revitalize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by government has the effect that are some different ones from the settlement and intention. Second, the production industry of animation do still passive and closed organization management, without the efforts for opened and cooperative management. Therefore, the efforts of government which are more practical and realistic supports to revitalize and based on strategic cooperation of industry.

  • PDF

Monetary Policy Shocks and Exchange Rate Changes in Korea

  • Jung, Heonyong;Han, Myung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84-88
    • /
    • 2019
  •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exchange rate respond differently to monetary policy shocks in Korea using regression model. We find an asymmetric response of the monetary policy shocks to the monetary policy shocks in the context of Korea. Over the whole period sample, we do not find the effect of an actual interest rate on exchange rate. But we find that the estimated coefficient on the expected and unexpected change in the policy rate are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eriod of monetary policy easing, the estimated coefficient on the expected and unexpected change in the policy rate are negativ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trast, the period of monetary policy tightening, the estimated coefficient on the expected and unexpected change in the policy rate are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진흥 정책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ibrary Use and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ies Reflecting Local Community Characteristics: Focusing on Chungcheongnam-do)

  • 김보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7-51
    • /
    • 2023
  • 이 연구는 사회 환경변화에 따라 충청남도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진흥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에 충청남도를 대상으로 도서관 일반 현황, 도서관 및 독서문화 인프라, 법제도 등의 환경분석과 도민(학생, 일반) 대상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에 관한 실태조사 및 도서관 직원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충청남도의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하고 그에 따른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충청남도를 6대 지역생활권역으로 구분하고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진흥 정책과제 발굴, 충청남도 도서관 직원 대상 의견을 수렴하여 총 20개의 도서관 이용 및 독서문화진흥 정책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지역생활권 도서관의 노력뿐만 아니라 광역대표도서관의 역할과 위상 강화와 함께 충분한 인력과 예산 확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The strategies for scientific literacy in Indonesia

  • Putera, Prakoso Bhairawa;Ningrum, Sinta;Suryanto, Suryanto;Widianingsih, Ida;Rianto, Ya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1권2호
    • /
    • pp.258-276
    • /
    • 2022
  • The historical aspects, policies, institutions, awards and measurement results of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tific culture development in Indonesia have currently attracted further exploration. This paper utilizes secondary data research, further analyzed by employing the Supplementary Analysis techniqu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radition of writing and publishing scientific journals in Indonesia has existed ever since the Dutch East Indies with the journal's publication entitled 'Natuurkundig tijdschrift voor Nederlandsch Indië' in 1850. To date, Indonesia has owned 5,990 nationally accredited journals. Policy support has been provided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despite limitations in cultivating literacy and reading habit. From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Indonesia provides a wide array of public support, including the eff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for advocating the national literacy movement and the availability of a reference database and scientific access established by the National Library; the Indonesian Institute of Sciences, and the Ministry of Research and Technology. Similarly, in the award-related perspective, the Indonesia government has granted awards to individuals or groups and local governments engaging in the cultivation of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tific culture. However, among the global measurements for literacy development in Indonesia (in 2020) recorded that three indicators scored less than those in 2019.

'창의적 문화콘텐츠관광' 기반조성을 위한 정책공동체 모형 -성남시 사례를 중심으로- (A Policy Community Model for 'Creative Cultural Contents Tourism' Infrastructure : A Case Study on Seongnam City)

  • 김형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177-190
    • /
    • 2013
  • 최근 들어 우리 사회는 문화적 가치를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 요소를 재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각급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문화역량 강화 및 문화관광 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 글은 성남시의 도시재생 전략의 일환으로 제기된 "성남시 국제문화 관광 거점도시 구축을 위한 행정 지원 방안"이라는 정책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작성된 논문이다. 본고는 성남시가 추구하는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방안으로 '창의적 문화콘텐츠관광' 기반 조성을 위한 '정책공동체(policy community)'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논의의 주요 관심은 정책공동체란 무엇이며, 어떠한 방법으로 작동되고, 제기된 정책을 성공적으로 집행하기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한 정책공동체의 구성 변수를 이론적으로 살피고 있다. 특히, IT 기반이 충실히 갖추어진 도시에서 CT기반을 재구성하여 '창의적인 문화콘텐츠관광' 도시로 어떻게 전환할 것인가의 문제가 중심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글에서 제안된 정책공동체 모형에 준거하여 정책공동체를 구성한다면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지역문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대안의 모색 (Searching for th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Activation of the Local Culture Industry in Korea)

  • 권영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75-191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정책부문들에 지역문화산업이 연계되어 활성화될 수 있는 정책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지방문화진흥의 정책들과 지방문화산업에 관한 정책을 연계하여 그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문화진흥과 연계하여 지역문화산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1) 지역문화산업은 생활문화센터 등 시설이나 주민들의 생활문화 동호회 활동과 연계해야 한다. 2) 문화도시 및 문화지구의 지정 과정에서 지역의 산업적 여건을 고려해야 한다. 3) 지역문화진흥기금을 조성하고자 할 때, 지역문화산업 정책을 연계시켜야 한다. 4)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에 있어서 지역문화산업과 관련시켜야 한다. 둘째, 지역문화산업 활성화에 대한 장애요인들을 제거하고 촉진요인들을 활용해야 한다. 1) 문화산업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써 문화산업정책의 목표를 구체화하고 명확히 해야 한다. 2) 문화산업정책에 있어서 여러 기관들에 분산되어 있는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3) 문화도시와 문화지구의 지정에서 문화산업의 개념요소들을 반영하고 지역문화산업을 브랜드화 해야 한다. 4) 관광산업과 같은 지역문화산업의 배경산업을 활용하도록 한다. 5) 지역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고 활용해야 한다. 지역문화산업의 활성화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역문화진흥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가 지역문화산업을 활성화는 정책대안으로 활용되어서 지역문화 진흥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한류문화정책에 대한 시스템사고의 적용 (A Studying Hallyu(Korean Wave) with Systems Thinking)

  • 김헌식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7권1호
    • /
    • pp.173-212
    • /
    • 2006
  •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 more complete acknowledging of Hallyu(Korean Wave), using systems thinking. The central concept is understanding how all the objects of Hallyu(Korean Wave) in a culture system interact with one another. What it attempts to do is understand the feedback loop of Hallyu(Korean Wave) with other country culture, and thus understand the behavior of mass culture agent it make produce. This works is for public management and policy in culture industry and leading culture itself. And alternative policies that alleviate the problem, and implements this solution at Hallyu(Korean Wave) continuance.

  • PDF

미군정의 문화정책과 미술, 1945~1948 (A Study on the Fine Art and Cultural Policy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1945~1948)

  • 안진이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4호
    • /
    • pp.7-32
    • /
    • 2006
  • This study is about the cultural policy related to fine art under the U. 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from September 8, 1945, to August 15, 1948. Drawing on the previous studies of Korean art history in the 'Liberation Period', this study especially concentrates on intention, attitude and activities of the USAMGIK. Particularly the historical documents, stored at the National Archives at the College Park, Maryland, U.S.A., were valuable to do research on the cultural policy of USAMGIK. The cultural policy was subordinated to the political objectives of occupation that can be summarized to building a stronghold of anti-communism in South Korea.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control, cultural matters were assigned to the Cultural Section, the Bureau of Education, which later turns into the Bureau of Culture, the Department of Education. The Bureau of Culture dealt with matters of the ancient Korean art treasures and of the Korean contemporary art. USAMGIK reopened the Korean National Museum which had been closed by the Japanese since the World War II period. After that, U.S. Department of State sent arts & monuments specialists to South Korea for investigating ancient Korean art and culture. Although some of the destructed art treasures were restored during the occupation, th ere were many negative cases including intentional destruction of historic sites or loot of art treasures by U.S. army. In contrast to their interest in the Korean antiquities, USAMGIK payed little attention to promoting the Korean contemporary artists and their arts. USAMGIK distrusted and suppressed the artists of leftism, while they kept good relations with the pro-American artists and the right-wing artists. In conclusion, the visual-cultural policy of USAMGK was mainly planned and carried out in order to preserve the national interest of the United States. This period produced long-term effects on the fine art and visual culture of South Korea, in terms of institution, policy, and reorganization of art community based on anti-cummuni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