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arching for th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Activation of the Local Culture Industry in Korea

지역문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대안의 모색

  • 권영길 (신한대학교 교양교육대학)
  • Received : 2020.09.23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activation of the local culture industry in Korea. The research methodology is content analysis into law articles of local culture promotion act and framework act on the promotion of culture industries and some related acts, to review the relations between local culture promotion and the promotion of culture indus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ly, the policies for the promotion of culture industries should connect to the policies of local culture promotion. 1) Local culture industries are related with the facilities like living cultural centers and the activities of the arts organizations or clubs of residents. 2) The industrial condii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signation of cutural city and cultural area. 3) The local cuture industry policies should be connected to raise the funds for local culture promotion. 4) The local culture industries should be connected to the cultivation of professional personnel for local cultural promotion. Secondly, for the activation of the local culture industries, the obstructive factors should be eliminated and the facilitating factors should be utilized. 1) The purpose of the culture industries should be defined as concrete and clear through the clearly prescribing the range of culrure industries. 2) The roles which have been dispersed to various agents should assigned as designated clealy and the cooperative system should be construced. 3) In designating cultural cities and cultural area, conceptual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brand of the local culrure industries should be presented. 4) The background industries such as tourism industries should be utilized. 5) Governance systems should be constructed and utilized.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정책부문들에 지역문화산업이 연계되어 활성화될 수 있는 정책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지방문화진흥의 정책들과 지방문화산업에 관한 정책을 연계하여 그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문화진흥과 연계하여 지역문화산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1) 지역문화산업은 생활문화센터 등 시설이나 주민들의 생활문화 동호회 활동과 연계해야 한다. 2) 문화도시 및 문화지구의 지정 과정에서 지역의 산업적 여건을 고려해야 한다. 3) 지역문화진흥기금을 조성하고자 할 때, 지역문화산업 정책을 연계시켜야 한다. 4)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에 있어서 지역문화산업과 관련시켜야 한다. 둘째, 지역문화산업 활성화에 대한 장애요인들을 제거하고 촉진요인들을 활용해야 한다. 1) 문화산업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써 문화산업정책의 목표를 구체화하고 명확히 해야 한다. 2) 문화산업정책에 있어서 여러 기관들에 분산되어 있는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3) 문화도시와 문화지구의 지정에서 문화산업의 개념요소들을 반영하고 지역문화산업을 브랜드화 해야 한다. 4) 관광산업과 같은 지역문화산업의 배경산업을 활용하도록 한다. 5) 지역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고 활용해야 한다. 지역문화산업의 활성화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역문화진흥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가 지역문화산업을 활성화는 정책대안으로 활용되어서 지역문화 진흥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0년도 신한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연구되었습니다.

References

  1. J. H. Lee, A Policy Study to Promote Local Festivals - Focusing on Cultural Policy in Chungbuk Region -,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 12, No. 4, 2018, pp. 57-68.
  2.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ntent Industry White Book, Annual Report 2004-2012,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3. Kee Hyun, Kim,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the Cultural Industry Policies, The Research Institute for Global Management of Technology for Catching Up,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2), 2012.12.31, p. 36.
  4. K. S. Kim, Limits and Tasks of the Korean Regional Cultural Policy, Korean Ideas and Culture, Vol. 81, p. 271.
  5. T. J. Lee, Realities and tasks of Local Culture Industry,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KALGS Seminar, 2002.8, pp. 519-537.
  6. J. S. Kim, Introduction to Public Policy, Goyang: Moon Woo Publications, 2016, pp. 38-39.
  7. 노영순, 제2차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 수립 및 평가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9.12, pp. 8-18.
  8. 노영순, 2017년기준 지역문화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9.2, 33-34.
  9. 정상우,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조례활성화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11.
  10. 이준석, 지역문화 커뮤니티를 위한 전통시장의 역할 - 문화관광형 전통시장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11. (주)코리아데이타네크워크, 2018 생활문화센터 운영 실태조사, 지역문화진흥원, 2018.12.
  12. 조현성, 동호회를 활용한 문화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13. 박찬원, 2018 생활문화 동호회 실태조사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문화진흥원, 2019.
  14. 김규원, 지역 문화매개인력 현황조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15. 김성철, ICT 발전을 위한 거버넌스 개혁방안, 2012, 540
  16. 김연진, 문화.예술분야 젠트리피케이션 대응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17. 김면, 이승연,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브랜드의 전략적 관리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18. 정헌일, 고속철도 개통이 지역문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지역문화 활성화 전략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19. 박주영, 지역문화관광시설 관리.운영 개선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20. 이지훈, 미디어 콘텐츠 영향에 의한 지역 관광 활성화 정책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