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imaginary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7초

Studies on the Restitution of the Imaginary Environment through the Comparis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 Park, Kyung-Bok;Sim, Woo-Kyung
    • 한국조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경학회 2007년도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Asia Vol.3
    • /
    • pp.107-112
    • /
    • 2007
  • This study had the purpose to restore imaginary environment involved to symbolic thinking system of Eastern culture discontinued by scientific and reasonable rationalism of Western. To restore imaginary environment, this study selected example places such as Seoul, Beijing, Kyoto which were ancient cities of Korea, China, Japan each and used hermeneutics and phenomenological access method to draw out the element of imaginary environment by analyzing historical and cultural view of example cities. Through comparison and re-interpret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view of three countries[Korea, China, Japan] in Northeast Asia, as the result of drawing imaginary environment involved within it, it was structured that the spirit and the factor of natural environment of places involved to each cities were reflected as the factor of civilized environment, organized that each element was united, and more sanctified the spirit of place step by step. This study has the meaning as first trial which comparatively analyzed city spaces of existent place of human life by new concept called imaginary environment. It may has the meaning that verifying the universality of imaginary environment involved to historical and cultural view of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however, there was limitation to examine specificity up to detailed elements of each city.

  • PDF

상생지원(相生池苑) 기본계획 (A Landscape Design of Sangsaengjiwon)

  • 박경복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2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lan was to introduce the imaginary environment concept to modem environment design which was drawn by comparison of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An area of $19,056m^2$ in I1-ja mountain water reservoir, located in 94 Dun-Chon-Dong, Gangdong-Gu, Seoul was selected for this planning. The concepts of Barrier-Free Design and Universal Design were introduced in order to accept the demands of various social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of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imism, Heaven, Earth and Man Theory and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these concepts were introduced for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Concept planning, topic selection, space planning and axis establishment were conducted during the framework step of the plan. Circulation planning, planting planning, facility and pavement planning, and light planning were conducted during the initial planning step. Lastly, detailed designing was performed for the major spaces. In addition, the imaginary environment concept was applied, ranging from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space to designing factors of the facility in order to achieve placeness and practicality. In conclusion, this may be the first case design applying the imaginary environment concept to the environmental design with natural environment factors such as animals, plants, terrains and climate, and cultural such as cities, places, time, thoughts and symbols which are all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existing environment design.

Novelistic Mimesis; or, Modalities of Cultural Modernity

  • Yang, Yu-Mi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4호
    • /
    • pp.193-210
    • /
    • 2007
  • This essay is an attempt to give a theoretical articulation of novelistic mimesis as the narrative form of modernity. With the passage to modernity, what assumes the locus of the symbolic authority is no longer God, Father, or tradition, but the cultural gaze or the ego-ideal. At the same time, this gaze paradoxically coalesces with the "spectacle of the world," on the side of the reified "other": the gaze is both the desexualized ego-ideal and its instantaneous transmogrification and resexualization in the opaque world of objects. The imaginary ego or the eye on the side of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is held at abeyance in a state of perpetual fascination and desperation in relation to the gaze as the world of "others," which lies always at one remove from the purview of the imaginary ego. This understanding of the inadequation of the ego to the cultural gaze of the reified world provides a critical fulcrum upon which I base my theory of the modern narrative mimesis as the "perverse" field of spatial arrangement, in which the split of the subjectivity into the imaginary ego and the ego-ideal is suspended over the phantasmatic world of bodies and territories.

  • PDF

한국영화에 표현된 회색의 기능과 의미 : 기억과 망각 (Function and Meaning of Color Gray in Korean Films : Memory and Oblivion)

  • 김종국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3호
    • /
    • pp.77-87
    • /
    • 2021
  • The color gray in the cinema expresses the private or public memory and oblivion in the reminiscence scenes. The aesthetic function and meaning of gray that interacts with other elements in cinematic time and space are expanded in various ways. This study was analyzed the cases in which gray was used as the main visual style by limiting the scope to Korean films.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al symbolic meaning of gray, I analyzed how it was applied and transformed in films, and interpreted the cultural-social meaning by the interaction between gray and other elements. In film history starting from monochrome, gray has been used as a visual device suitable for realizing cinematic or imaginary reality. Gray is adopted when dreams or recollections are visualized as imaginary reality, and it is used when dreamy imaginations of daydreaming are demonstrated. Gray, which reproduces the dreamlike reality of imagination, is the concrete and realistic way of expression. First, in Korean films, gray is a flashback visual device that recalls the past, and is an intermediary visual form that materializes the imaginary. In films such as Ode to My Father (2014), DongJu (2015), A Resistance(2019) and The Battle : Roar to Victory (2019), the gray of the past is a visual device for cultural memory that builds the homogeneity and identity of the group. In the era of hyper-visibility, gray in black and white images is intended to be clearly remembered by unfamiliarity rather than blurry oblivion by familiarity. Second, in genre films with disaster materials such as Train To Busan (2016) and Ashfall (2019), the grays of rain, fog, clouds, shadows and smoke highlight other elements, and the gray color causes anxiety and fear. In war films such as TaeGukGi: Brotherhood Of War (2003) and The Front Line (2011), gray shows a more intense brutality than the primary color. In sports films such as 4th Place (2015), Take Off (2009) and Forever The Moment (2007), gray expresses uncertainty and immaturity. Third, gray visualizes the historical memory of A Petal (1996), the oblivion in Oh! My Gran (2020) and Poetry (2010), and the reality of daydreaming Gagman (1988) and Dream (1990). At the boundary between imagination and reality, gray is a visual form of dreams, memories and forgetfulness.

휠체어 탄 인공지능: 자율적 기술에서 상호의존과 돌봄의 기술로 (Artificial Intelligence In Wheelchair: From Technology for Autonomy to Technology for Interdependence and Care)

  • 하대청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69-206
    • /
    • 2019
  • 이 글은 인공지능이 만들어내는 문화적 상상을 분석하면서 기술과 인간 사이의 새로운 윤리를 모색한다. 과학기술을 돌봄물(matter of care)로 이해하는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 연구(Puig de la Bellacas, 2011)에 기댄 이 글은 우선 인공지능이 자율성을 문화적 상상으로 강력하게 생산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스스로의 경험과 학습을 통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 이 자율성은 기술적 영역을 넘어 이상적인 인간상을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에 기반한 딥러닝 기법과 무장한 무인 비행기가 예증하듯, 인공지능 기술은 보이지 않는 인간노동과 복잡한 물질적 장치에 의존하고 있으며, 자율성은 허구에 가깝다. 또한 이른바 '조수 기술 (assistant technology)'이 보여주듯, 가사노동을 부불노동화하는 우리 사회의 오래된 젠더화된 노동인식에 기초해 수많은 인간의 돌봄 노동은 비가시화되는 반면, 기계의 돌봄노동은 적극적으로 가시화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의 문화적 상상은 자율성과 행위능력을 이상적인 인간의 특질로 정의하면서 장애의 몸과 이 몸이 갖는 가치인 연약함과 의존성의 연대는 가치 없는 것으로 만들고 있다. 인공지능과 그 문화적 상상은 능력이 있는 몸(abled-bodies)을 이상화하고 기술의 자율성을 우선 가치로 삼으면서 서로 의존하는 인간과 기술의 현실적 관계를 삭제하고 있다. 결론에서 저자는 우리에게 필요한 기술은 타자의 비정형적인 몸과 인간의 돌봄노동을 가치 없게 여기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면서 그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책임 있게 응답하는 기술은 주변화된 존재들에 공감하고 의존성을 긍정하고 연약성 사이의 연대를 촉진하는 것이어야 한다. 저자는 이런 대안적인 기술을 형상화하기 위해 예술가 수 오스틴의 퍼포먼스에서 영감을 얻어 '휠체어 탄 인공지능'을 제안한다. '휠체어 탄 인공지능'은 자율성을 과시하기보다는 타자의 몸과 노동을 부정하지 않고 이들의 존재론적 가능성을 함께 만들어가려 노력하는 상호의존과 돌봄의 기술이다.

광한루원의 경관변화양상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aspect of landscape change for Gwanghalluwon Garden)

  • 이원호;김동현;김재웅;안혜인;김대열;조운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2-94
    • /
    • 2014
  • 본 연구는 누원(樓園) 조성의 관점에서 광한루원의 경관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공간구조 중심의 변화과정을 4시기의 공간변화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현존하지 않거나 기록에서 나타나지 않는 경관요소를 설화나 소설에서 나타나는 상상환경에 도입하여 도식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한루가 처음으로 조성되는 시기는 광한루(廣寒樓)의 전신인 광통루(廣通樓)가 조성되는 기간으로, 작은 개울을 근경으로 그 일대의 지리산을 원경으로 하는 등 경관이 수려한 장소에 위치하고 있으며, 문헌을 통해 광한루는 광통루의 경관을 그대로 계승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광한루가 원(園)의 성격을 가지는 시기는 1582년 이후로. 신선사상이 반영된 이상세계 구현을 위하여 삼신산을 조성하고, 은하수를 상징하는 호수와 오작교를 조성하였다. 셋째, 광한루원이 복구되는 시기는 정유재란 이후부터 일제강점기 기간으로 광한루원의 원형을 회복하는 과정은 매우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 당시 기록에서 나타나는 광한루원은 정유재란 이전의 경관을 계승하여 여전히 선경의 모습에 비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근대에 이르러 광한루는 춘향전의 배경으로 관광지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으며, 세 차례에 걸쳐 권역이 확장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섯째, 광한루원의 각 시기별 변화양상은 광한루를 중심으로 외부로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외부로 확장되는 요소는 관아누각인 광한루원의 진정성과는 무관한 시설이 다수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광한루원 일원의 주요 요소들이 설화와 소설 속에 내재된 상상환경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당시의 정원문화가 묘사되고 있는 것을 통해 문헌상의 한계로 인해 확인할 수 없었던 광한루원의 문화경관을 추정할 수 있었다.

소설 『토지』 배경지 평사리의 문화산업화와 콘텐츠 변화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Industrialization and Content Change Direction of Pyeongsari, a Novel 'Toji (Land )' Background Space)

  • 최유희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2호
    • /
    • pp.221-247
    • /
    • 2020
  • 이 논문은 소설 『토지』의 주요 무대이자 작중인물들의 삶에 새겨진 원체험 공간인 평사리의 의미를 진단하고 <토지> 콘텐츠 플랫폼으로서의 평사리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소설 속 가상공간인 평사리는 원작의 배경지에서 출발하여 하동군의 대표 문화 공간으로 현재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런데 이 공간의 방문자들이 자기만의 장소성을 체험하기 위해서는 문화체험형 콘텐츠로 재탄생할 필요가 있다. 원작에서 평사리는 이상적 공동체이자, 수난과 개척이라는 한국 근대사의 축도로 존재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의미를 살려 유교문화, 여성의 노동문화, 무속문화를 보여주는 문화체험공간을 마련하여 방문자들의 체험을 이끌어내야 한다. 아울러, 평사리 재편의 동력이 된 변용작품들과 연계하여 앱을 개발하고, 증강현실을 이용한 교육과 체험 공간을 웹에 마련한다. 디지털과 현실의 이러한 교호작용은 원작이나 변용작품들의 의미를 사유하게 하는 동시에 방문자들이 저만의 장소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이를 통해 평사리는 한국문화와 삶의 의미를 사유하는 문화체험 콘텐츠 플랫폼으로의 진화가 가능하다. 이 글은 '의미 있는 장소들의 지리'를 위한 평사리의 공간 기획 방향성을 제언한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또한 문학 작품 원작의 상상 공간이 현실의 공간을 어떻게 재편해 왔는지를 보여줌과 동시에 문학작품의 미디어 콘텐츠화와 문화예술산업 지형 구축에도 시사점이 있다.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작품에 나타난 거주공간 (The living space in the work of Marguerite Duras)

  • 김은경
    • 비교문화연구
    • /
    • 제49권
    • /
    • pp.33-58
    • /
    • 2017
  • 거주공간으로서의 집은 거주자들의 습관이 축적되어감에 따라 삶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리듬을 낳는다. 이러한 삶의 리듬은 집과 거주자들 사이의 상호 관계를 형성하면서 내적인 의미를 생산한다. 이와 함께 우리는 무심한 몸의 습관이 삶을 구성하는 요소가 되듯이 말없는 집의 공간이 인간의 의식을 구성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따라서 집은 작가에게 거주지와 거주자 간에 발생하는 관계를 조명해주면서 등장인물들을 살아 움직이게 하는 문학적 자료를 제공해준다. 마르그리트 뒤라스는 이제까지 이야기되지 않았던 집의 이야기를 텍스트와 영화를 통하여 우리에게 들려주고 있다. 작가에게 거주지는 거주자의 삶의 흔적들을 드러내며 하나의 의미체를 구성한다. 삶과 존재의 흔적을 새겨놓으며 집의 내부에 있는 방과 테이블과 의자와의 관계를 보여주기도 하는 이러한 일상의 습관이 작가에게는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동인이 된다. 그러면서 뒤라스는 그녀의 집에 등장인물들을 현존의 인물들로 객관화시켜 배치하는 동시에 상상의 형상을 덧붙여 놓음으로써 현실과 유토피아적 세계를 융해시키고 있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서 이제까지 숨어있던 이야기가 복원되고 재현된다.

'경성탐정 이상'의 '상상된 역사'로의 여행 (Journey to 'Imagined History' by 'The detective of Gyeongseong, Lee-sang')

  • 강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263-267
    • /
    • 2020
  • 한국역사에서 일제강점기에 대한 당위적 결론은 종종 역사적 상상력을 압도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경성탐정이상>도 근대역사학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등장한 역사추리소설장르임에도 비슷한 양상을 보여준다고 지적되고 있다. <경성탐정이상>에 등장하는 역사적 사실, 민족주의에 기반 한 독립의 당위성, 근대문명 등은 일제강점기 역사문화 콘텐츠에서 눈에 익은 구도이다. 이는 '상상의 공동체(민족)'에 대한 대중의 현재적 욕망을 현재로서의 역사, 현재의 사회적 갈등이 투사된 역사로 역사문화콘텐츠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역사를 다룬 콘텐츠들에서 역사, 역사적 사실, 허구는 뒤섞여지며 새로운 '역사적 상상'을 만들어 낸다. 실재로서 과거의 사실은 하나지만, 역사가가 만드는 역사적 사실은 하나가 아니라 여럿이듯이 역사문화콘텐츠의 역사적 상상은 다양하다. 아직까지 역사학은 미래를 위한 상상력으로까지 나가고 있지 못하지만, 역사문화콘텐츠를 통한 역사쓰기는 '가능성의 역사'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The Ethics of the Othering in the Era of Transnationalism

  • Kim, Youngmin
    • 영어영문학
    • /
    • 제55권6호
    • /
    • pp.1013-1034
    • /
    • 2009
  • The space of the Other assumes the space of Barthes's multiplicity and Foucault's transdiscursive position, and, therefore, aims at becoming the locus in which the speaking subject and the hearing subjects are supposed to communicate and constitute as if they were situated in the pscychoanalytic session. However, the wall of untranslatibility across language and cultures still exist there in the space of the Other in the form of trauma and aggressivity, as Lacan demonstrate perceptively through the reading of Kant avec Sade. In short, Lacan regards the moral commandment (to love one's neighbor as oneself) as the obstacle in the Freud's myth of transgression, and interprets this in terms of the emergence of the Other. Freud understands that the aggressivity in the subject's own heart was inherent in all humans, and that one's neighbor would be evil. Lacan goes beyond Freud and articulates that the aggressivity in the imaginary relation with the Other in the mirror stage insures that an evil inheres in the very being of humanity. A global phenomenon of the diasporic identities and hybridity, the phenomenon which has been represented by the complicated intermixture of terms which span from diaspora, postcolonialism, postnationalism. and transnationalism can be clarified, if they are put in the context of the ethics of Othering or becoming the Other. The ethics of Othering presupposes the situation in which the diasporic subjects encounter the lack of the cross-cultural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how the poetics of Other and the logic of the ethics of Othering can explain the postmodern or transmodern world which has become deterritorialized, diasporic, and transnational as well as how one can encounter the results of diasporic and postcolonial double consciousness, a consciousness which is a discursive category for multicultural or cross-cultural, focusing on the concept of liminality/interstiti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