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empathy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3초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경험한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in Children's Bilingual Education)

  • 조승석;김희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549-5558
    • /
    • 2013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경험한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을 어머니의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의 질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7명으로 지속적 비교분석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로 서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공감, 정서교감, 행복감의 정서적 측면, 정체성노출, 모국어교육의 정체성 측면, 교우, 가족, 지역사회의 관계적 측면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에 관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경험에 대해 시도함으로써 다문화가족의 입장에서 필요한 이중언어 지원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류 왕홍 미디어에 관한 연구 - 시청만족도와 문화 수용성을 중심으로 (Examining the Korean Wave Wanghong Media of China - Based on Viewing Satisfaction and Cultural Acceptance)

  • 탕린;조희정;이혜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05-11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1인 미디어의 형식으로 한류와 왕홍 콘텐츠의 특성을 포함하고 있어 중국에서 영향력 있는 미디어를 '한류 왕홍 미디어'라고 정의하였다. 최근 한류 왕홍 미디어가 더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시청자들의 시청동기는 무엇인지, 시청동기, 시청행위, 그리고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한류문화 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분석하였다. 중국 삐리삐리 탄막 사이트에서 한류 왕홍 미디어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시청동기 중 '문화적 호기심', '오락 추구', '공감' 그리고, 시청행위에서는 '시청빈도', '공유', '참여'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한류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시청동기 중 '문화적 호기심'과 '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국 한류 왕홍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지속적인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외식 소비자의 문화적 자본에 따른 서비스 품질 지각과 만족 정도의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by the Cultural Capital of Food-Service Consumers)

  • 김재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44-158
    • /
    • 2009
  • 본 연구는 외식업체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획득된 문화자본의 양과 서비스 품질 지각 정도, 만족도의 차이를 규명하고,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소비자가 원하는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고,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고객 만족은 문화적 자본의 보유 정도에 많은 영향은 받지 않으나, 제도화된 문화적 자본보다 부모나 가정의 문화적 자본의 영향을 받음을 알 수있다. 둘째, 대체로 객관화된 문화적 자본의 보유 정도가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에 비해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을 더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화된 문화적 자본의 보유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형성과 확신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도화된 문화적 자본의 보유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모든 서비스 품질의 요인을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서비스 품질 요인의 지각정도가 높으면 높을 수록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패밀리 레스토랑의 고객으로 젊은 20~30대가 주 고객층을 이룬다. 따라서 외양과 분위기는 물론 고객이 공감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외식업소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레스토랑의 서비스에 만족하고 재방문 욕구를 발생시켜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종사원들과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위해 종사원에 대한 서비스 교육을 꾸준히 해야 할 것이다.

  • PDF

홍대앞 사례를 통한 문화적 포용성 개념의 적용 (Application of Culture Inclusiveness Concept for Hongdae-ap Case)

  • 박민하;이병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39-554
    • /
    • 2019
  • 본 연구는 도시 포용성의 함의를 영역성과 함께 관계성을 더해 확장하여, 사회적 포용성과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문화적 포용성'의 개념화 모델을 제시한다. 문화적 포용성은 관계의 필요와 공간의 연결, 행위를 통한 실행의 과정을 바탕으로 유기적·학습 관계의 형성 및 공적 공간을 중심으로 한 개방성의 창출, 다양한 주체의 실천으로 연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적 포용성의 개념을 '홍대앞' 사례에 적용한다. 최근 홍대앞은 개별 주체 및 그룹·집단들(예술가, 주민, 관, 학생, 문화 활동가, 시민, 관광객 등)의 다양성을 보호할 수 있는 환경 조성, '홍대앞 놀이터', '걷고싶은 거리', '경의선 책거리' 등의 공적 공간 형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수평적인 관계망, 접속 등의 요소가 공존의 가치로 나타나고 있다.

박물관 자원에 기초한 문화 창작물의 활성화 응용 연구 (Research on the Dynamic Application of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based on Museum Resources)

  • 제소;반영환;장완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51-166
    • /
    • 2022
  • 박물관은 역사와 문화 축적의 실체이자 상징이고 박물관 유물은 역사의 혼을 담고 있는 단서이며 박물관 문화 창작물은 언제나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역사이다. 현대박물관은 전통 박물관의 '물중심'을 '사람중심'으로 변화시키고 그 활태전승에 치중하는데, 박물관의 문화 창작물은 활태전승의 일종의 표현 방식이다. 이 글은 인터넷 조사 연구, 현지 답사, 전문가 인터뷰 등의 방법을 통해 중국 박물관 문화 창작물이 현재 직면한 기회와 어려움을 분석하여 박물관 문화 창작물의 디자인 방법을 보완하려 한다. 박물관 문화 내포 요소의 발굴과 박물관 문화 창작물 기능 요소의 확대와 박물관 문화 창작물 디자인 요소의 혁신과 문화 창작물과 인간의 공감 요소의 제조에 의한 4가지 요소를 일체화한 디자인 방법으로 탐구하고 사례실천을 검증하여 중소형 박물관의 문화 창작물들이 디자인 기법 미비로 인한 문화 창작물 기능성 부족, 혁신성 부족, 전파성 부족 등의 단점을 보완한다. 더 많은 사람을 박물관으로 안내하고, 전통 문화를 전파선양하며, 인간과 유물, 인간과 인간의 공감대를 형성시킨다.

지역문화축제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2013 평창효석문화제를 중심으로)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the Service Quality of Local Cultural Festivals(Based on Pyeongchang Hyoseok Culture Festival in 2013))

  • 이제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11-42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품질을 활용한 측정기준을 설정하여 지역문화축제에 대한 인식수준을 파악함과 동시에 서비스품질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하여 향후 서비스품질 향상 및 방문객의 축제이용시 이용극대화를 위한 효율적인 개선운영방안을 모색하여 지역문화축제의 질적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중요도와 성취도간 대응일치 t-test 결과 1)응답성 요인에서는 휴식공간여부, 시설배치도, 의사전달, 화장실비치/청결도 2) 확신성 요인에서는 음식가격, 종업원의 친절, 3)신뢰성 요인에서는 (행사장까지)축제팸플릿, 안내시설/표지판, 친절도, 스케줄안내, 신속한 대응 등 모든 항목, 4) 유형성 요인에서도 지역문화인지도, 유익성, 스토리텔링 등 모든 항목에서 5) 공감성 요인에서는 행사의 다양성과 축제내용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tudy on the Cultural Influence and Ethical Lessons in Korean Society with a Focus on the Novel "A Christmas Carol" by Charles Dickens

  • Wooyoung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141-153
    • /
    • 2023
  • In the global context, particularly in Christian nations, Christmas is considered a culturally and ethically significant time. In this study, we examine Charles Dickens' novel, "A Christmas Carol," and the celebration of Christmas in Korea. We explore the values of Christmas in Korea derived from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this novel. These values include repentance, empathy, compassion, and the importance of humanity. Korean Christmas is regarded as a time for practicing these values, bearing a message akin to the transformation of characters like Scrooge. Furthermore, "A Christmas Carol" conveys a message of improvement and change over time, emphasizing change and growth in Korean Christmas. People reflect on their past, correct their mistakes, nurture hope for the future, and experience personal growth and transformation. Additionally, the novel raises awareness of social injustice and inequality, offering alternatives. In Korean society, Christmas encourages the willingness to care for and help others, facilitating discussions and understanding of societal issues. For these reasons, "A Christmas Carol" is considered a culturally and ethically significant time in Korean Christmas, and the two are intertwined in various aspects. This study explores the interaction between cultural change and ethical teachings by 'A Christmas Carol' and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is work on Christmas culture and social change. It serves as the basis for emphasizing moral principles and humanity during the Christmas season, and this research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iming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Dickens' work and the importance of "A Christmas Carol." Through these efforts, it is expected that valuable insights into the connection between Christmas culture and moral messages will be gained. In this study, we will delve into the enduring appe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A Christmas Carol," discussing how this novel has evolved into a beloved holiday tradition and a true symbol of Christmas. We will also examine the adaptation of this novel into various media and its influence on holiday season celebrations. Insights into the impact of this novel on Korean society and its continued significance in modern times will be provided, suggesting a direction for a healthier and more desirable path for Korean society.

간호교육에서 영화의 활용에 관한 고찰: Cinemeducation (Review of Literature and Implication for Nursing Education: Cinemeducation)

  • 오진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4-201
    • /
    • 2010
  • Purpose: Recently teaching nursing to undergraduate students has been based on the constructive teaching method to achieve the core nursing competency. Therefore, non-traditional teaching methods should be introduced for a stimulated interaction between the lecturer and students and to increase information retention and interest in nurs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view current issues related to the use of cinema in nursing education. Method: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grasp the definition of cinemeducation and to identify the uses, merits, and demerits of using cinema in nursing education. Conclusion: Cinemeducation is an innovative approach to teaching multi-cultural diversity in medicine and nursing. It is possible to conduct cinemeducation to deepen student's understanding of cross-cultural issues and to evoke imagination, empathy, and narrative. Movies are funny, entertaining, and readily enjoyed by learners. Since individuals portrayed in movies are not real, learners can be more honest and objective about their reactions to these characters. In addition, movies as instructional media are economical. I would like to suggest more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use of movies.

다문화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 교육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 다문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for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 Focusing on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Media -)

  • 이성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141-1155
    • /
    • 2022
  •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about learning about a specific ethnic group, but rather developing the ability to cross the border of one's own culture and have conversations with people of other cultures. I think the purpose is to promote empathy and consider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multi-dimensional educational programs for all members of society for multicultural social integ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lead personal, social and civic action movements to create a fair society through media-based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said that In order to achieve harmony and integr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the most important to acknowledge cultural diversity and to discard cultural prejudices and inequalities for symbiosis between the mainstream culture and the minority culture. In particular,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which have successfully led multicultural social integration, are comprehensive in all areas, including interculturalism based on peaceful coexistence and respect, labor market issues, vocational education issues, housing and health issues, and communication issues through media literacy. He led a multicultural national integration system with approaches and methods. Therefore, ou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hould also pursue a new paradigm that presupposes a change in the public's awareness of a multicultural society.

내러티브 시각화 구현을 위한 비언어적 표현 연구-3D 고양이 캐릭터 "Puss"를 중심으로 (A Study on Non-Verbal Expressions for the Realization of Narrative Visualization -Focusing on a 3D Cat Character, "Puss")

  • 이영숙;김상남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59-672
    • /
    • 2016
  • In animated films, characters materialize narratives through acting. The narrative is an element to materialize accurate delivery of lines and emotions. The non-verbal actions should express lots of emotions and lines in scenes, and also they can be used as a way of empathy. This study analyzed the visualization factors of narrative focusing on a cat character frequently shown in animated films. For this, the visualization factors of non-verbal actions expressed in characters' personal space and dynamic space were extracted. Based on this, it aims to suggest the emotion expressing method of characters to realize effective narrative visualization. In the future, it aims to be used as reference data in case when producing non-verbal communication for 3D charac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