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awareness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35초

공공도서관에서의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과 인식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Culture Diversity Education Program in Public Library)

  • 정은지;노영희;강정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1-233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일반가정 어린이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세계의 여러 다른 문화와 다양한 가치, 삶의 방식을 존중하고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에서의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 인식 차이, 실험집단-비교집단의 인식 차이, 도서관 서비스와 이용률 및 서비스 활성화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 인식조사를 통해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 수용, 배려, 존중 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漢江)의 역사문화경관 연구 - 조선시대 경강(京江) 동호(東湖)지역(地域)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Han River - Around East Lake of Kyung River in Joseon Dynasty -)

  • 김선화;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5-67
    • /
    • 2014
  • 조선시대 경강 동호지역은 역사와 문화적 요소가 풍부하여 역사문화경관의 명승명소가 많았으나 현대 한강은 자연경관에 비해서 문화성과 역사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강이 지니고 있는 역사문화적 요소를 한강의 경관에 적용하고자 조선시대 문화공간의 경관 특성을 린치의 시각적 이미지요소에 적용하여 경관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호를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 적용했을 때 '통로'로서 높게 인식되었고 가장자리를 의미하는 '경계'의 명료성 또한 동호가 높게 인식되었다. 방향 전환점인 '결절점'은 두모포가 인지도에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린치의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서 '랜드마크'를 문화공간에 적용했을 때 경강 동호, 압구정, 제천정이 우월한 인지도를 보임으로써 역사문화경관의 지명도와 명성은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 비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문화공간의 패턴, 구조, 의미가 명료하고 정체성이 확실할수록 '랜드마크'와 '지역'요소가 높게 인식되었다. 공간의 지명도가 높을수록 역사문화경관의 인지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한강의 역사문화경관 복원 시 시각적 인지도를 고려하여 조사하고 사례연구 함으로써 장소의 복원과 함께 역사성과 문화성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무형문화유산 활성화를 위한 수요자 인식에 관한 실증적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Citizens' Awareness of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오정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9-36
    • /
    • 2015
  • 2012년의 조사에 따르면 중요무형문화재의 27.6%가 전승 단절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문제가 정부의 한정된 지원 문제와 국민의 무관심 그리고 사회적 수요의 부족 등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의 지원 및 사회적 수요의 부족으로 인해 기 예능 보유자들과 전승자들이 전승활동만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전승활동을 포기하거나 기 예능을 배우려는 사람이 나타나지 않아 문제가 생긴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민의 의식수준을 제고하고 수요를 활성화하여 무형문화유산의 자생력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이와 관련한 부분보다 전승자의 여건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요 측면에서 기존의 무형문화유산 정책 및 제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실증적 조사를 통해 수요자인 시민의 인식수준과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여 수요 활성화 및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예비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유능감을 측정하는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Prospective Social Workers)

  • 정선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2호
    • /
    • pp.29-51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유능감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적 유능감의 구성요소는 기존연구와 척도의 형식을 따라 다문화 인식 다문화 지식 다문화 기술로 나누었다. 문화적 다양성과 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다문화 관련 문제를 다룬 에피소드 상황에 대한 응답자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지식 다문화 기술을 측정하였다. 또한, 자기평정식 척도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한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응답자가 문화적 인식 지식 기술 진술문 뿐만아니라 이에 대비되는 비문화적 인식 지식 기술 진술문을 각각 평정하도록 하여 그 점수 차이를 합산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완성된 척도는 16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며, 양호한 신뢰도를 보이고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구성체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하였다.

  • PDF

천연기념물 인식수준에 따른 자연에 대한 태도 차이 (The Attitude towards Nature According to Awareness of the Natural Monuments -Focusing on Natural Monuments in Naejang National Park-)

  • 손지원;신진호;전용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59-966
    • /
    • 2015
  • 천연기념물은 역사와 자연적 가치가 있는 자연유산으로 희귀성, 특수성, 역사성 등 학술 가치가 커 자연문화재로 지정 및 보호됐으나 최근에는 삶의 질 향상에 따른 국민의 문화생활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도 천연기념물 관리의 주요한 임무가 되었다. 이를 위해 내장산국립공원에 소재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제91호 내장산 굴거리나무군락과 제153호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을 대상으로 천연기념물의 지속 가능한 보전 및 이용 측면에서 방문객의 천연기념물에 대한 기본적 인식을 살펴보고 천연기념물 인식수준에 따른 자연에 대한 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내장산국립공원 방문객 240명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대상지의 천연기념물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굴거리나무군락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비자나무 숲보다 더 낮았다. 또한, 천연기념물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고, 문화재적 가치 수준이 높다고 인식한 집단의 자연에 대한 태도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긍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이 지역의 천연기념물 활용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문화적 민감성이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ultural Sensitivity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of the Korean Nursing Students)

  • 이은미;김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59-468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민감성이 문화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1개 광역시와 2개 지역도시에 소재한 3개 대학교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이며, 임상실습을 1학기 이상 이수한 간호대학생 3, 4학년으로 총 353명이었다. 자료는 자가보고식 질문지로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t-검정, 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계수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은 다문화 교육경험 유무, 외국인 친구 유무, 영어능력, 해외 체류경험 유무, 해외 체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대상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은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민감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대상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교육경험, 영어능력이었고 설명력은 41.3%였다. 또한 단순회귀분석결과 해외 체류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해외 체류기간의 설명력은 2.5%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문화 인식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과 해외 체험을 고려한 다문화 교육과 언어능력의 증진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An Empirical Encounter of Cultural Orientation and Cultivation Theory: Factors of Perception of Materialistic Realities and Dealing with Materialism of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 Cha, Yuri;Kwon, Yeji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7권4호
    • /
    • pp.226-25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perceptions of materialistic realities of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can be explained by individual experience and media use. We examined: 1) relative consequences of awarenes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amounts of time spent on genre-specific media on perceptions of materialistic realities, 2) whether cultural orientation (allocentrism, self-monitoring, and masculinity) influences explanatory factors of awarenes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3) conditions of countervailing responses to materialistic rea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nline survey data of 33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e amount of time spent on the beauty or fashion genre and awarenes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explained the perceptions of materialist reality in Korean society. Although the perceptions that affected the accommodative response did not affect countervailing response, innovativeness had an interaction effect with perceptions of materialist reality in only countervailing response.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목재 가치 증진을 위한 목재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조사: II. 목재문화자원에 대한 인식 (Investigation on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Wood to Promote the Value of Wood: II. Awareness of Wood Cultural Resources)

  • HAN, Yeonjung;LEE,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643-657
    • /
    • 2021
  • 목재문화 활성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일반인의 목재문화에 대한 인식정도와 유형별 목재문화자원의 체험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응답자의 31.4%가 목재문화자원에 대하여 궁궐, 사찰, 한옥, 문화재 등 문화유산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재문화자원에 대한 이미지가 없다는 응답자 중에서 목재문화자원의 개념이 모호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40.2%이었으며, 목재문화자원 자체를 생각해본 적이 없다는 응답이 40.1%이었다. 7가지로 분류된 목재문화자원의 중요도는 문화유산, 목조건축, 문화시설, 문화행사, 목재제품, 문화교육, 문화콘텐츠의 순서로 나타났다. 목재문화자원을 체험하기 위한 정보의 필요성과 충분성에 대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46.7%는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응답자의 64.8%는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향후 1년 이내에 목재문화를 체험하고 싶은 의향은 대부분의 목재문화자원에서 과반 이상의 응답율을 나타냈으나, 실제로 7가지 목재문화자원에 참여하였던 빈도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목재제품을 제외하면 20% 내외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반인이 목재문화자원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보다 대중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일반인에게 홍보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전략수립이 요구된다.

The Importance of Learning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on: Focused on TOEIC Reading Comprehension

  • Shin, Myeong-Hee;Lee, Eunpyo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3호
    • /
    • pp.207-221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learning language and cultural integration in general English class focused on TOEIC reading comprehension.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learning and learners' cultural awareness has long been a subject of debate. This study was not only to analyze the improvement of students' interest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TOEIC through cultural learning, but also to ensure students who learn American culture overcome cross-cultural miscommunication and improve their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Pre-post surveys and the pre-post TOEIC tests were used to measure language proficiency and American cultural knowledge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had better TOEIC scores with improved motivation after understanding American culture relevant to the lessons. Seco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with regards to TOEIC also improved, compared with the students who were not exposed to American culture due to lack of opportunity.

  • PDF

보건계열 대학생의 문화 태도, 문화 교류가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ttitudes toward culture and experiences of cultural exchanges o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in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 변성원;김신향;박시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399-405
    • /
    • 2016
  • 본 연구는 문화태도와 문화교류가 보건계열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K도 ${\bigcirc}{\bigcirc}$대학교 보건계열 대학생 407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인식의 차이는 이주민과의 접촉경험이 있는 경우, 학교활동 중 이주민과의 접촉경험이 있는 경우, 다문화 관련수업을 수강한 경우 다문화 인식이 높은 것을 나타났고, 문화태도와 문화교류가 다문화 인식과 정적상관관계로 밝혀졌다. 회귀분석 결과, 문화태도와 문화교류가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향후 이주민의 신체적 정서적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보건계열 학생들에게 다양한 다문화 활동과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며, 이는 향 후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민에 대한 보건의료시스템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