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ivation region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28초

Estimation of the optimal cultivation area for apples by region

  • Cheong-Ryong Lim;Uhn-Soon Gim;Jae-Hwan C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2호
    • /
    • pp.203-214
    • /
    • 2022
  • A model is developed for estimating optimal cultivation areas for apples to maximize the total profit of apple farming by region, focusing on Gyeongsangbuk-do, Chungchungbuk-do, Gyeongsangnam-do, and Jeonllabuk-do in Korea. Comparing the current cultivation areas to the optimal areas according to the model estimation during the period 1999 - 2019, the former has exceeded the latter since 2015 in all regions except for Jeonllabuk-do. This result stems from a lack of the regulation of production quantity among apple producers' regional organizations. Accordingly, the decreasing rate of the market price was greater than the increasing rate of the production quantity, and the total profit of apple farming has fallen in conjunction with increasing agricultural wage rates. Therefore, in order to reverse the current decreasing trend in the profits of apple farming, it is necessary to regulate nationwide apple cultivation areas through regional producers' associations. Ex-ante forecasting for 2019 posits the following regional optimal cultivation areas for maximizing the total income from apple farming. The Gyeongbuk apple producers' association needs to reduce its current cultivation area by 1,089 ha and to maintain 18,373 ha. In the Chungbuk region, current cultivated area should be reduced by 1,027 ha to maintain 2,722 ha, and in the Gyeongnam region, the current cultivated area should be reduced by 582 ha to maintain 2,730 ha. In contrast, the Jeonbuk region needs to increase its current cultivation area by 174 ha and to maintain at a level of 2,872 ha.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에 근거한 온주밀감과 '부지화'의 잠재적 재배지 변화 예측 (Projection of Potential Cultivation Region of Satsuma Mandarin and 'Shiranuhi' Mandarin Hybrid Based on RCP 8.5 Emission Scenario)

  • 문영일;강석범;이혜진;최영훈;손인창;이동훈;김성기;안문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15-222
    • /
    • 2017
  • 감귤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온주밀감(Citrus unshiu Marc.)과 '부지화'[Shiranuhi, (Citrus unshiu ${\times}$ C. sinensis) ${\times}$ C. reticulata]를 대상으로 1981년부터 2010년까지를 기준년도로 하여 2090년까지 잠재적 재배지 변화를 예측하였다. 재배지 변화는 국가농림기상센터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자료와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제작된 30m 해상도를 가진 농업용전자기후도를 이용하였다. 온주밀감의 잠재적 재배적지는 기준년도에서는 대부분 제주 지역이 해당되었으며, 재배가능지는 제주 동부지역과 남해안 일부지역이 포함되었다. 2030년대에는 온주밀감 재배적지는 증가하였으며 재배가능지도 전남지역의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2060년대부터는 재배적지는 제주 산간과 전남과 경남, 강원도 해안지역으로 점차 증가하고 재배가능지도 경북, 충남, 전북 지역까지 확대되었다. '부지화' 감귤인 경우 기준년도에서 재배적지는 제주 해안 지역 일부만 포함되었으며 재배가능지는 제주지역과 전남 남해안 일부 지역만 해당되었다. 2030년대 재배적지는 현재 온주밀감 재배지가 해당되었으며 재배가능지도 남해안 일부 지역까지 북상하였다. 2090년대에는 재배적지가 점점 증가하여 제주지역 전체와 전남, 경남, 강원도 해안지역이 재배적지가 되었으며 재배가능지도 점점 해안가를 중심으로 북상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근거로 감귤의 재배적지변화를 예측해 본 결과 온주밀감재배적지는 감소하고 '부지화' 감귤의 재배적지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세기 말에는 강원도 지역까지 감귤이 재배될 것으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