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e

검색결과 549건 처리시간 0.024초

광고 모델의 시선 효과: 모델의 사회적 특성 지각과 광고 효과성 (Effects of ad endorser's gaze directions on social perception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 강정석
    • 감성과학
    • /
    • 제18권1호
    • /
    • pp.3-14
    • /
    • 2015
  • 소비자가 광고에 대해서 반응할 때, 광고 모델의 시선(응시 방향)은 가장 중요한 비언어적 단서 중 하나이다. 광고 모델의 시선은 소비자가 모델의 사회적 특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예, 매력도, 신뢰성)와 광고나 브랜드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예,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뇌의 정서 반응 비대칭 가설에 따르면, 오른손잡이 소비자는 모델이 좌측을 응시하는 광고를 볼 때 우측을 응시하는 광고를 볼 때보다 모델의 사회적 특성과 광고, 브랜드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을 통해서 무명 여성 광고 모델의 세 가지 시선 조건(정면, 좌측 그리고 우측 응시 조건)이 남성 실험 참가자의 광고 반응(모델 매력도 측면, 모델 신뢰도 측면 그리고 광고 효과성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광고 모델이 정면을 응시할 때가 우측을 응시할 때보다 모델이 광고 출연료를 받았으며 광고 브랜드 판매를 위해 소비자를 설득하려고 한다고 더 강하게 느끼지만 동시에 모델이 광고에 출연한 이유가 스스로 광고 브랜드를 진심으로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추론하는 경향이 더 강했다. 또한 실험 참가자들은 광고 모델이 정면을 응시할 때가 우측을 응시할 때 보다 광고에 대해서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광고 모델의 좌측 응시 조건과 나머지 두 조건(정면 응시 조건과 우측 응시조건) 사이에 있어서 일관성 있는 실험 참가자의 모델 특성 평가와 광고 효과성 차이는 발견하지 못 했다.

Effect of Reverse Feeding on the Reproductive System in Male Rats

  • Jeon, Eun-Young;Lee, Su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3호
    • /
    • pp.227-233
    • /
    • 2012
  • Circadian timing system plays a major role in a wide range of reproductive function. However it is plausible idea that other environmental and/or internal cue might be simultaneously participated in the optimal regulation of reproductive system. In the present study we extended the reverse feeding (RF) time regimen up to 8 weeks, then measured the general and reproductive indices of the animals. The animals of ad libitum feeding group (Control, CON) have free access to food for 4, 6 and 8 weeks, respectively. The day feeding animals (reverse feeding, RF group) have restricted access to food during daytime (09:00-18:00) for 4, 6 and 8 weeks, respectively. When the feeding schedules were over, key indices were measured. After 4 weeks and 8 weeks of feeding, body weights of anima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body weights of 6 weeks RF animals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of control animals (CON : RF = $333.46{\pm}12.71$ g : $289.91{\pm}8.31$ g, p<0.01). The blood glucose levels of 4 weeks RF anima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levels of control animals (CON : RF = $161.4{\pm}2.7$ mg/dL : $176.7{\pm}5$ mg/dL, p<0.01) while the levels of 6 weeks RF and 8 weeks RF animals were not different form those of control animals. Reproductive and non-reproductive tissue weights from 6 weeks RF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ed than those from CON group (testis, CON : RF = $1.4714{\pm}0.0174$ g : $1.3724{\pm}0.0168$ g, p<0.001; epididymis, CON : RF = $0.3574{\pm}0.0059$ g : $0.3243{\pm}0.0068$ g, p<0.001; seminal vesicle, CON : RF = $0.1655{\pm}0.0068$ g : $0.1328{\pm}0.0054$ g, p<0.001; prostate, CON : RF = $0.3350{\pm}0.0231$ g : $0.2528{\pm}0.0143$ g, p<0.01). After 4 weeks and 8 weeks of reverse feeding, sperm counts in RF animals were markedly reduced than those in control animals[CON 4W : RF 4W = $121.17{\pm}9.96\;({\times}10^6)$ : $50.86{\pm}9\;({\times}10^6)$, p<0.001; CON 8W : RF 8W= $138.69{\pm}9.8\;({\times}10^6)$ : $108.94{\pm}4.22\;({\times}10^6)$, p<0.001].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RF may induce an adaptable metabolic stress and cause impairment of androgen-dependent reproductive tissues. On-going longitudinal studies will allow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ow does mealtime shift affect the reproductive function and exact nature of adaptation.

죽음의식에 관한 연구 -의.간호계 종사자 및 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ath Consciousness Among Health Care Personnels)

  • 권혜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40
    • /
    • 1980
  • In order to take cue of the dying persons and their survivors in a more positive and affirmative atti-tube. and to understand the valuable meaning of and dying. a survey was performed to 550 cases of health care personnels including 116 nursing students. 238 medical students. 137 nurses. and 59 doctors. Samplings were made through census Procedure from the entire group of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in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and of licenced nurses and doctors in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and in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from the first to the end of march. 1980. These collected data were computerized at KIST by SPSS programming an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chi-square test. Through content analysis of the word associated with death and descriptive analysis of the death-re-lated variables. the following conclusion in is reached. First. Total numbers of death-word percieved by health care personnels were 198 kinds. Among them, 40 kinds of words associated with death were responded from than 1% of the total. As to the 10 death related word responded by free word association method. it was revealed that individual average number of death related word was 7.70 word. which came from higher number of words in the senior students (8.96 word) or the graduates (8.10 word) compared with the freshman (6.84 word). Second. In Content specific analysis of the death related word. more frequently perceived types summarized as the following order; the affective context of death. the diseases. the disasters. the religion, the funeral ceremonies. the separation, the drakness. and the life. Third. The most prevalent 10 words associated with death which the the respondents gave response to the the first recalling word. were as following o order; the dieases. the sadness, the vanity. the darkness, the frustration. the suicide. the incurable dieases, the graves. the dead. and the catastrophes. By sex, the diease is outstanding in females, but the vanity is in males. By occupation. the vanity and the dead was frequently observed in student group including senior students. while the incurable dieases presented by doctors. Fourth. In health care personnels. the first perceived ages of death were 11.47 $\pm$3.33 years (8.14- 15.80 years). Among them. senior students were inclined to percept death at the earliest age of life (11.28years). while doctors and nurses perceived death later in their life (12.98 years). Fifth, It is revealed in this survey that the most frequently responded death perceiving motives by health care personnels ar“psychological conflict”and“death of those around them”. Death perceiving motives can be classified in two factors; personality and life circumstances. Sixth It is of interest that only 11.3% health care personnels was found to feel death as inevitable or acceptable event. whereas 58.3% deny or reject it.

  • PDF

원형기반 객체순서의 원근 투영 볼륨 렌더링 (Template-Based Object-Order Volume Rendering with Perspective Projection)

  • 구윤모;이철희;신영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7권7호
    • /
    • pp.619-628
    • /
    • 2000
  • 원근 투영에 의해 만들어 진 영상은 물체에 대한 거리감을 얻게 해 줌으로써 복잡한 구조물을 해석하는 데 도움을 준다. 현재 원근 투영 볼륨 렌더링의 가장 큰 단점은 실행시간이 길다는 점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근 광선들 간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원근 투영 볼륨 렌더링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볼륨의 한 면과 평행인 중간 화상의 각 수평 스캔라인과 수직 스캔라인으로부터 출발한 광선들에 대해 원형(template)들을 만든다. 광선 위의 샘플들은 원형에 미리 계산되어 있는 가중치를 사용하여 샘플 주변의 복셀들을 가중치 평균하여 얻는다. 이러한 원형의 사용은 볼륨 렌더링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재샘플링 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해 준다. 뿐만 아니라, 본 알고리즘은 화상순서가 아니라 객체순서로 렌더링을 하므로 각 복셀을 한번 씩 만 접근하여 처리하고 런-길이 부호화된 볼륨을 사용하여 데이타 응집성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알고리즘을 더욱 가속화한다. 또한, 볼륨을 시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여러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에서 광선의 간격을 새로 조정함으로써 원근 광선의 발산으로 인해 샘플링 밀도가 감소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성능 평가 및 다른 방법과의 비교를 통해 원형의 사용과 객체순서 처리로 인한 속도 향상을 분석한다. 또한, 샘플링 밀도의 유지로 인해 화질이 향상된 결과를 보인다.

  • PDF

가상현실에서의 아바타 음주권유가 갈망감 유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an Avatar Encouraging Drinking in Virtual Reality on Alcohol Craving)

  • 최유경;조상우;한기완;구정훈;정영철;김재진;남궁기;김인영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823-828
    • /
    • 2008
  • 본 연구는 음주거절훈련을 위한 전 단계로 가상현실을 통한 자극 제시가 알코올 중독 환자의 갈망감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음주 거절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뿐만 아니라 알코올 중독 환자들을 위한 새로운 치료 및 훈련 도구로서의 가상현실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가상현실 자극은 알코올 중독자들의 음주유발 상황으로 알려진 음주권유(사회적 압력)상황과 알코올 노출 여부 그리고 긍정적 상황 부정적 상황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는 2006년 12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입원중인 알코올 중독 환자 12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lN 11.5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배경에서 아바타의 음주권유 여부가 일반적인 배경만 제시되는 경우보다 더 높은 갈망감을, 알코올이 노출된 장면이 그렇지 않은 장면보다 더 높은 갈망감을 나타내었고 긍정적 부정적이냐는 상황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가장현실을 활용한 훈련이 실제의 사회적 압력과 유사한 음주 압력 상형과 환경을 느끼도록 하며, 가상현실 기법이 기존의 알코올 치료 기법들과 연합되어 효과적인 치료 도구로써의 활용가능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rticulatory Attributes in Korean Nonassimilating Contexts

  • Son, Minjung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5권1호
    • /
    • pp.109-121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several kinematic properties of the primary articulator (the tongue dorsum) and the supplementary articulator (the jaw) in the articulation of the voiceless velar stop (/k/) within nonassimilating contexts. We examined in particular the spatiotemporal properties (constriction duration and constriction maxima) from the constriction onset to the constriction offset by analyzing a velar (/k/) followed by the coronal fricative (/s/), the coronal stop (/t/), and the labial (/p/) in across-word boundary conditions (/k#s/, /k#t/, and /k#p/). Along with these measurements, we investigated intergestural temporal coordination between C1 and C2 and the jaw articulator in relation to its coordination with the articulation of consonant sequences. The articulatory movement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electromagnetic midsagittal articulometry (EMMA). Four native speakers of Seoul Korean participated in the laboratory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a velar (/k/) in C1 was not categorically reduced. Constriction duration and constriction degree of the velar (/k/) were similar within nonassimilating contexts (/k#s/=/k#t/=/k#p/). This might mean that spatiotemporal attributes during constriction duration were stable and consistent across different contexts, which might be subsequently associated with the nontarget status of the velar in place assimilation. Second, the gestural overlap could be represented as the order of /k#s/ (less) < /k#p/ (intermediate) < /k#t/ (more) as we measured the onset-to-onset lag (a longer lag indicated shorter gestural overlap.). This indicates a gestural overlap within nonassimilating contexts may not be constrained by any of the several constraints including the perceptual recoverability constraint (e.g., more overlap in Front-to-Back sequences compared to the reverse order (Back-to-Front) since perceptual cues in C1 can be recovered anytime during C2 articulation), the low-level speech motor constraint (e.g., more overlap in lingual-nonlingual sequences as compared to the lingual-lingual sequences), or phonological contexts effects (e.g., similarity in gestural overlap within nonassimilating contexts). As one possible account for more overlap in /k#t/ sequences as compared to /k#p/, we suspect speakers' knowledge may be receptive to extreme encroachment on C1 by the gestural overlap of the coronal in C2 since it does not obscure the perceptual cue of C1 as much as the labial in C2. Third, actual jaw position during C2 was higher in coronals (/s/, /t/) than in the labial (/p/). However, within the coronals, there was no manner-dependent jaw height difference in C2 (/s/=/t/). Vertical jaw position of C1 and C2 was seen as inter-dependent as higher jaw position in C1 was closely associated with C2. Lastly, a greater gap in jaw height was associated with longer intergestural timing (e.g., less overlap), but was confined to the cluster type (/kp/) with the lingual-nonlingual sequence.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jaw articulation was independent from coordinating primary articulators in gestural overlap in some cluster types (/k#s/, /k#t/) while not in others (e.g., /k#p/). Overall, the results coherently indicate the velar stop (/k/) in C1 was robust in articulation, which may have subsequently contributed to the nontarget status of the velar (/k/) in place assimilation processes.

맥락 정보와 물리적 속성 부여가 가능한 모바일 증강 현실 콘텐츠 조작 방법 (A Contextual Information and Physics-based Mobile Augmented Reality Contents Manipulation Method)

  • 홍동표;이정규;채창훈;이종원;고광희;우운택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526-53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맥락 정보와 물리적 속성 부여가 가능한 모바일 증강 현실 콘텐츠 조작 방법을 제안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의 확산과 더불어 센서와 모바일 장치의 급속한 발전은 고성능 PC에서만 가능했던 증강 현실 시스템들이 모바일 장치에서도 동작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센서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현실 공간이나 사용자의 정보를 증강 현실 콘텐츠에 반영하는 증강 현실 시스템들이 소개되고 있다. 특히, 일반 사용자들이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사실적인 증강 현실 콘텐츠를 손쉽게 저작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장치의 제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극대화하고,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환경의 맥락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모바일 증강 현실 저작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 조작에 필요한 시각적 큐(cue)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증강된 콘텐츠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센서정보를 콘텐츠의 속성에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접 센서 조작을 통해서 증강된 콘텐츠를 직접 조작하거나 환경 정보가 증강된 콘텐츠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증강된 콘텐츠들 간의 사실적인 충돌을 위해서, 물리 속성 부여가 가능한 물리 콘텐츠 로더(physics contents loader)를 구현하고, 증강 현실 공간과 물리 공간 간의 좌표 일치를 통해서 증강된 콘테츠들 간의 물리 충돌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안된 방법의 유용함을 검증하기위해서 모바일 장치와 센서를 이용한 모바일 증강 현실 저작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향후 모바일 증강 현실 저작 시스템에 요구되는 맥락 정보와 물리 속성 부여가 가능한 콘텐츠 조작 방법으로 기대된다.

  • PDF

움직이는 평면거울을 이용한 3차원 물체 복원 (3D Reconstruction using a Moving Planar Mirror)

  • 장경호;이동훈;정순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11호
    • /
    • pp.1543-1550
    • /
    • 2004
  • 영상 열을 이용한 3차원 구조 복원 기법은 기하학 기반의 전통적인 3차원 모델링 기법의 대안으로 복잡한 대규모 장면을 쉽고 빠르게 모델링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이러한 모델은 모션을 통한 구조 복원기법을 통해 주로 얻어진다. 그러나 모션을 통한 구조복원 기법은 매우 복잡한 기하학 구조와 현란한 컬러를 포함한 물체의 경우,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움직이는 평면거울 기반의 새로운 물체 복원 기법을 제안한다. 본 기법은 장면에 포함된 기하구조의 암묵적인 단서를 이용하는 대신 장면 속에 기하학적 단서 즉, 거울의 위치 정보를 강제로 삽입하여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구해진 가상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통해 장면의 복잡도에 무관한 3차원 기하 구조를 복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복원하고자 하는 장면을 포함한 평면거울의 영상 열을 포착한다. 다음으로 거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카메라의 내, 외부 파라미터를 추정한다. 구해진 카메라 파라미터는 거울의 위치 정보 추출 시 발생하는 에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영상 열에 존재하는 코너점들의 대응관계를 이용하여 재 보정한다 마지막으로 구해진 가상 카메라의 내부 및 외부 파라미터 정보를 통해 3차원의 구조를 복원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다양한 영상을 통해 실험한 결과 신뢰할만한 구조 복원이 가능하였다.

중첩단서 및 선택적 주의가 주관적 윤곽의 발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perimposition Cue and Selective Attention on the Formation of Subjective Contours)

  • 정재훈;정찬섭
    • 인지과학
    • /
    • 제2권2호
    • /
    • pp.261-278
    • /
    • 1990
  • 주관적 윤곽의 발생이 상향처리 과정에만 의존하지 않고 중첩단서나 선택적 주의와 같은 인지요인에 의한 하향처리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수 있음을 검증하기 위해 두개의 실험이 수행되었다.첫번째 실험에서는 중첩단서의 효과를 조사학 위해서 중첩되어 있는 세개의 Kanizsa 삼각형의 유도요소에 색정보를 첨가하여 발생시킨 네온색확산 현상이 사용되었다. 서로 다른 두 색으로 이루어진 Kanizsa 삼각형을 피험자에게 제시한 다므 중첩부위의 윤곽표면의 색을 측정했는데,중첩부위가 중첩하는 삼각형의 색으로 지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이런 결과는 중첩단서가 일종의 하행정보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두번째 실험에서는 선택적 주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첩의 방향이 애매해서 관찰자의 의도에 따라 반전가능한 두개의 Kanizsa사각형을 제시하고 그 중 한 쪽의 사각형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 다음 중첩부위의 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중첩부위가 두 사각형 중 선택적 주의를 받은 사각형의 색으로 지각되었는데,이것은 선택적 주위와 같은 인지요인이 주관적 윤곽의 발생과정에 중요하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주관적 윤곽의 발생이 상향처리 과정에만 의존하지 않으며,중첩단서나 선택적 주의와 같은 인지요인에 의한 하향처리 과정에 의해서도 예민하게 영향을 받을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연적 의미 활성화가 가설 생성에 미치는 영향: 가설 유형에 따른 차이 (The Effect of Incidental Semantic Activation on Hypothesis Generation: Exclusive vs Compatible Hypotheses)

  • 이윤하;박주용
    • 인지과학
    • /
    • 제26권2호
    • /
    • pp.209-239
    • /
    • 2015
  • 우연적 의미 활성화가 가설의 생성과 평가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다. 그러나 진단추론 상황에서 우연적 의미 활성화의 영향을 다루었던 연구는 거의 없으며, 특히 가설 유형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진단 추론에서 우연적 의미 활성화가 가설의 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첫 번째 실험에서 우연적 의미 활성화는, 배타가설의 경우 최종 가설 생성 패턴에 영향을 미쳤지만, 가설의 생성 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반면 양립 가능한 가설의 경우, 활성화는 생성된 가설의 수에 영향을 미쳤지만, 최종 가설 생성 패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적 노력을 가중시켰을 때조차 반복검증 되었다. 실험 2에서 우연적 의미 활성화와 더불어 추론에 필요한 단서의 개수를 조작하였다. 각 가설을 지지하는 단서들이 동시에 제시되면 우연적 의미 활성화의 영향은 사라졌고, 단서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배타가설의 추론 확신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진단 추론 시 관련된 단서를 최대한 활용할 필요성과, 가설생성/가설 평가에 관한 연구에서 가설 유형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