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cumis sativus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5초

온실재배 박과 채소작물에서의 균핵병 발생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on Cucurbitaceous Vegetable Crops in Greenhouses)

  • 김완규;조원대;지형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3호통권90호
    • /
    • pp.198-205
    • /
    • 1999
  •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국내 온실에서 재배중인 6종의 박과 채소작물에서의 균핵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메론, 오이, 동양호박 및 쥬키니호박에서 최고 $30{\sim}70%$로서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수박과 참의에서는 비교적 낮게 발생하였다. 균핵병의 병징은 전 박과 채소작물의 줄기에서 발생하였으며, 수박을 제의한 5종의 박과 채소작물의 과실, 동양호박과 쥬키니호박의 잎자루 및 동양호박의 잎에서도 발생하였다. 병반에서는 총 126균주가 분리되었으며, 분리균주들은 모두 그 형태적 및 배양적 특성에 따라 Sclerotinia sclerotiorum으로 동정되었다. 이 균은 박과 채소작물의 줄기와 과실에서 가장 빈번하게 분리되었으며, 잎자루와 잎에서는 드물게 분리되었다. 6균주를 공시하여 병원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공시균주들은 일부 기주에 대한 병원력에 있어서 균주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6종의 전 박과 채소작물에 대해 모두 병원성을 나타냈다. 수박은 공시균주 들에 대해 가장 감수성인 반면에 참의는 가장 저항성이었다. 또한 메론과 오이는 공시균주들에 대해 비교적 감수성이었으며, 동양호박과 쥬키니호박은 비교적 저항성이었다.

  • PDF

유럽계 장과형과 중과형 오이 품종의 사막기후 적응성 검증을 위한 생육 및 수량 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for the Desert Climate Adaptability of European Long- and Medium-sized Cucumber Varieties)

  • 윤서아;김정만;최은영;최기영;최경이;남기정;오석귀;배종향;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5-132
    • /
    • 2022
  • 본 연구는 유럽계 장과형과 중과형 오이 품종을 고온·다습 조건에서 재배하여 품종별 생육과 수량 특성 및 수분소모량을 비교 분석하여 중과형 오이 품종에 대해 사막기후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유럽형 장과종 오이 2품종(Cucumis sativus 'Gulfstream', 'Imea')과 중과종 오이 2품종(C. sativus 'Nagene', 'Sausan')을 연동형 플라스틱온실에서 2020년 3월 2일부터 6월 20일까지 코이어 수경재배로 재배하였다. 개체당 생산한 상품과수는 장과종 'Gulfstream'이 31.3개, 'Imea'가 30.7개, 중과종 'Nagene'이 57.8개, 'Sausan'이 56개로 마디수가 더 많았던 중과종이 상품과수가 더 많았으며 개체당 생산된 총상품과중은 유의차가 없었다. 과실 200g을 생산하기 위해 소요된 물량은 'Nagene'이 2.39L로 가장 적었으며, 수분이용이용효율(WUE)은 'Nagene' 품종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상품과수와 물소비량을 고려할때 장과종보다는 중과종인 'Nagene'이 사막 고온 적응성이 더높을 것으로 판단되고 앞으로 더 많은 중과종 품종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박과류에서 목화바둑명나방(Palpita indica)의 산란 및 식이선호성 (Oviposition and Feeding Preference of the Cotton caterpillar, Palpita indica(Lepidoptera: Pyralidae), in Cucurbitaceae)

  • 최동칠;노재종;최광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9-124
    • /
    • 2003
  • 수박 부위별 산란습성은 상위엽과 하위엽보다는 중간부위의 잎에 산란량이 많았고 잎자루와 줄기보다는 잎에, 잎의 앞면보다는 뒷면에 주로 산란하였다. 목화바둑명나방 유충의 작물 선호도는 오이, 박, 수박 등의 순이었고, 참외, 동아, 멜론, 안동오이 등은 중간정도이었고 수세미와 목화는 매우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수박시험장에서 수집한 유전자원과 육성중인 계통에 대한 목화바둑명나방 유충의 선호도는 품종 및 계통간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보유중인 품종 중에서는 목화바둑명나방에 대한 저항성 계통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목화바둑명나방의 섭식량을 추정하기 위한 일별 배설량은 유충 초기에 배설량이 매우 적었고 점차 증가하여 16~18일차에 최고에 달하며 그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였다.

박과작물의 유연관계 분석을 통한 수박 EST-SSR 마커의 종간 적용성 검정 (Interspecific Transferability of Watermelon EST-SSRs Assessed by Genetic Relationship Analysis of Cucurbitaceous Crops)

  • 김혁준;여상석;한동엽;박영훈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1호
    • /
    • pp.93-105
    • /
    • 2015
  • 본 연구는 수박의 EST-SSR 마커를 이용하여, 네 개의 주요 박과(Cucurbitaceae) 작물인 수박, 호박, 오이, 멜론의 유연 관계를 분석하고 마커의 타 박과 작물에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Cucurbit Genomics Initiative(ICuGI) database로부터 선발된 120 EST-SSR 프라이머 중 51(49.17%)가 PCR이 성공하였고, 49(40.8%)가 8개 박과 유전자원에서 다형성을 보였다. 총 24개 박과 유전자원을 24개 EST-SSR 프라이머로 분석한 결과 총 382개 대립유전자 특이적 PCR 밴드를 얻었으며, 이를 토대로 짝유사행렬과 계통도를 작성하였다. 짝유사행렬의 범위는 0.01-0.85였으며, 작성된 계통도에서 24개 유전자원이 두 개의 주요그룹(Clade I, II)으로 분류되었다. Clade I은 다시 수박으로 구성된 하위집단 I-1[I-1a, I-1b-2: 각 1개와 2수박 야생종(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Mats. & Nakai)으로 구성, I-1b-1: 6개수박 재배종(Citrullus lanatus var. vulgaris Schrad.)로 구성]과 멜론과 오이로 구성된 하위집단I-2[I-2a-1: 4개 멜론 재배종(Cucumis melo var. cantalupensis Naudin.), I-2a-2: 2개 참외 재배종(Cucumis melo var. conomon Makino.), I-2b: 5개 오이 재배종(Cucumis sativus L.)]로 분류되었다. 호박으로 구성된 Clade II는 다시 Cucurbita moschata(Duch. ex Lam.) Duch. & Poir와 Cucurbita maxima Duch.로 구성된 하위집단 II-1과 Cucurbita pepo L.과 Cucurbita ficifolia Bouche로 구성된 하위집단 II-2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종명법에 따른 분류와 일치하며, 따라서 수박 EST-SSR 마커를 이용한 타 박과 작물의 비교 유전체 등 연구분야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여름철 $H_2O_2$ 처리에 따른 시설오이의 고온 적응성 향상 효과 (Effect of High Temperature Adaptable Improvement on Cucumber (Cucumis sativus) of Greenhouse according to Hydrogen Peroxide Treatment at Summer)

  • 우영회;김형준;허윤찬;김태영;김기덕;조일환;고관달;이관호;홍규현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년도 세계의 친환경 시설원에 기술동향 및 춘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95-99
    • /
    • 2005
  • PDF

오이묘에 냉온 Stress가 광합성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hilling stress seeding stages on photosynthetic rate and physiological reponses of cucumber(Cucumis sativus L.))

  • 남윤일;우영회;전희;김형준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63-171
    • /
    • 2001
  • 시설 원예작물의 겨울철 온도환경 관리에 대한 연구는 난방비 절약을 위한 저온관리 한계온도 구명(Tanaka 등, 1986), 또는 근권부 온도 조절에 의한 작물의 생산성 증진 연구와 같은 실용적 측면의 연구가 많이 수행된 바 있다(Fujie와 Saidou, 1983). 그러나 시설의 온풍기 고장 또는 정전 등으로 작물이 생육한계 온도이하의 저온상태에서 장시간 경과 되었을 때 나타나는 여러가지의 생리적인 장해나 피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Reyes와 Jennings, 1994). (중략)

  • PDF

비소종(Arsenite, Arsenate, DMA)에 따른 토양독성 비교분석

  • 이우미;이주영;임승윤;정혜원;안윤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75-177
    • /
    • 2005
  • Effect of arsenite, arsenate and dimethylarsinic acid (DMA) on the growth of seedling plant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compare the toxicity of arsenic species in soil environments. Test plants were mung bean (Phaseolus radiatus), wheat (Triticum aestivum), barely (Hordeum vulgare), cucumber (Cucumis sativus L.). Seedling growth in As-contaminated soil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all test species. Arsenite was more toxic than arsenate and DMA. Among the test plants, mung bean was most sensitive to arsenic, followed by cucumber, wheat, and barely.

  • PDF

입상암면을 이용한 오이 육묘시 상이한 급액산도가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 (pH of Nutrient Solution Affected on the Seedling Growth of Cucumber(Cucumis sativus. L) Plants Grown in Granular Rockwool)

  • 문현희;윤점숙;임종극;김홍기;서범석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41-144
    • /
    • 1999
  • 1970년대에 덴마크에서 원예용 배지로 암면을 사용한 이래 현재 암면은 채소 및 화훼류 양액재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배지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Smith. 1996). 그러나, 이는 주로 판상암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는 다른 형태인 입상암면은 고려되고 있지 않다. 입상암면은 판상암면과는 달리 입자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판상암면보다 더 많은 공극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입자내부에는 기존의판상암면과 같은 보습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원예용 배지로서 대두되고 있다(Smith. 1996).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