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ryptographic Module Validation Program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MVP 테스트를 적용한 SEED 암호 알고리즘 모듈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SEED Cipher Algorithm Test Module Applied CMVP Test)

  • 박성근;정성민;서창호;김일준;신승중;김석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937-1940
    • /
    • 2003
  • 정보보호 평가는 크게 시스템 평가인 CC(Common Criteria)평가와 암호모듈 평가인 CMVP(Cryptographic Module Validation Program)평가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은 국내 표준 암호 알고리즘 SEED를 북미의 CMVP의 3가지 블록 알고리즘 시험방법인 KAT(Known Answer Test), MCT(Monte C미개 Test), MMT(Multi-block Message Test)를 JAVA환경에 적용하여 시범 구현하였다. 테스트 방법으로 CMVP의 MOVS, TMOVS, AESAVS를 선정하여 FIPS 표준을 적용하였다. 구현 환경으로는 JCE기반의 Cryptix를 채택하여 CMVP의 블록 암호 알고리즘 테스트 시스템 중 일부를 구현하였다.

  • PDF

암호제품 평가체계 분석

  • 이성재;김영백;홍시환;김승주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7-76
    • /
    • 2002
  • 인터넷의 발달로 사회의 기반구조가 종이사회에서 사이버 사회로 전환됨에 따라 정보보호제품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보보호제품의 안전한 선택 및 사용을 위한 기본적인 선택기준은 신뢰 기관의 안전성 평가 결과일 것이다. 이러한 안전성 평가는 현재 세계적으로 공통 평가를 위한 체계를 준비중에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CC(Common Criteria)기반의 정보보호제품 평가이다. 그러나 CC기반의 평가기준에서는 정보보호분야의 핵심기술인 암호알고리즘에 대한 평가는 수행하지 않고 각 국이 독자적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구현한 암호모듈에 대한 평가 또한 독자적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암호모듈에 대한 안전성 평가로 가장 널리 참조되는 것은 미국의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가 수행하는 CMVP(Cryptographic Module Validation Program)이며,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현재까지 수행되고 있는 정보보호제품에 탑재된 암호모듈의 평가체계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정리 하고자 한다.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령의 내용과 보안제품 분포간의 연관성 분석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gislation and Information Security Product)

  • 김민정;이정원;유진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549-1560
    • /
    • 2015
  • 최근 몇 년간 크고 작은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그에 따라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령이 지속적으로 제 개정 되고 있으며, 정보보호 제품도 발전하고 있다. 또한 보안 적합성 검증인 CC인증, 국정원 검증 암호모듈(KCMVP)등 정보보호 제품에 대한 인증체계도 엄격히 이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령인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과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자금융거래법의 5개 법령의 물리적, 기술적, 관리적 보호조치 중 기술적 보호조치의 키워드를 분석 및 분류하였다. 그리고 법령상 기술적 보호조치와 CC인증 및 KCMVP 제품군과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KISIA) 회원사의 정보보호 제품 분포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IT제품 도입제도 동향 분석 및 국내 제도 개선방안 도출 (Analysis of the Trends of Domestic/International IT Product Introduction Policy and Deduce Improvement Plan of Domestic Policy)

  • 손효현;김광준;이만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897-906
    • /
    • 2019
  •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정부의 행정전산화가 추진되었고, 이의 역기능으로 IT제품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의 정부는 정보보호를 위하여 국가 공공기관의 IT제품 도입에 있어 보안성검증을 의무화하기 시작하였으며 도입 과정에서 요구되는 제도를 정립하였다. 본 연구는 현 국내 IT제품 도입제도를 분석하여 보완점을 파악한다. 또한 주요 선진국 미국, 영국, 일본, 캐나다, 호주 5개국의 IT제품 도입제도 동향을 분석하며, 최종적으로 국내 도입제도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국내 도입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