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ying Analysi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2초

소아환자에서 치료 전 수면 시간이 chloral hydrate 진정 효과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SLEEPING HOURS PRIOR TO PROCEDURE ON CHLORAL HYDRATE SEDATION FOR PEDIATRIC DENTAL PATIENT)

  • 맹유진;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55-361
    • /
    • 2011
  • 소아치과 분야에서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를 이용한 진정 요법은 가장 보편화된 방법이지만 진정 효과는 약물의 용량, 연령, 체중, 술 전 환아의 수면 시간, 술 전 공복유지 유무, 환아의 건강 상태에 따라 좌우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험적으로 chloral hydrate 진정 요법 시행 전날 수면 시간이 짧을수록 진정 효과가 더 크다는 점에 착안하여 협조전 단계 환아에서 chloral hydrate/hydroxyzine을 이용한 진정 치료 시 치료 전 수면 시간과 진정 효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 하였다. 한림대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 중 사전 조사에서 1일 평균 수면 시간이 비슷한 만 2-5세 아이들 37명을 대상으로 chloral hydrate/hydroxyzine 진정 요법 하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수 치료를 포함하여 수복치료를 요하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치수치료를 한 환자는 총 11명이었다. 진정 효과는 동일한 평가자에 의해 Houpt 등의 rating scal에 따라 점수를 산정하여 단순회귀 분석법으로 평가하였고 치수 치료 유무에 따라 진정 효과가 달라지는지 여부를 t-test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oupt 등의 rating scale 중 sleep, crying 항목은 전날 수면 시간에 따라 유의하지는 않지만 반비례 상관관계를 지닌다(p>0.05). 2. Movement, overall behavior는 전날 수면 시간에 따라 유의하게 반비례하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3. 치료 내용에 따른 진정 요법 효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실험 결과 진정 전 수면 시간이 짧을수록 진정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환자 진정요법에서 chloral hydrate의 용량에 따른 진정효과에 관한 연구 (A COMPARISON OF THE SEDATIVE EFFECT ON CHLORAL HYDRATE DOSAGE IN THE SEDATION OF THE PEDIATRIC DENTAL PATIENTS)

  • 노승철;김영재;장기택;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17-524
    • /
    • 2005
  • Chloral hydrate는 소아환자 진정요법 시 hydroxyzine과 함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임에도 불구하고 협조도가 불량한 어린 환아들의 행동조절을 위한 적절한 용량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실정이며, 또한 chloral hydrate를 제조사의 추천 용량으로 사용 시 적절한 진정수준을 제공하는데 있어 잦은 실패를 초래하는 경우를 볼 수 있었다. 지금까지도, chloral hydrate를 사용함에 있어 약물의 용량에 따른 진정의 효과와 안전성 측면에서 많은 의견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소아환자 진정요법에서 chloral hydrate의 용량에 따른 진정의 효과와 안전성 측면에서 적절한 용량을 제시하고자, 소아환자 진정요법 시 제조사의 추천용량인 chloral hydrate 50mg/kg와 더 높은 용량인 70mg/kg을 hydroxyzine 2mg/kg와 50% $N_2O$와 함께 투여하고, 진정의 효과와 안전성을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면, 울음, 움직임, 전체적인 행동양상에 대한 두 군 간의 비교, 평가에서 II군(70mg/kg)이 I군(50mg/kg)에 비해 네 가지 항목 모두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p<0.05). 2. 진정요법의 성공률에 대한 두 군 간의 평가에서 I군은 38.7%, II군은 71.0%의 성공률을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3. 저산소증의 발생률에 대한 두 군 간의 평가에서 I군은 22.6%, II군은 19.4%의 발생률을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