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stacea

검색결과 429건 처리시간 0.035초

오륙도 주변해역 저서 갑각류 (Crustacea)의 종조성과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crustacean assemblage around Oryukdo in southeastern waters off Korea)

  • 허유심;최정화;김정윤;이동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4호
    • /
    • pp.604-613
    • /
    • 2014
  • Community structures and species composition in benthic crustacean around Oryukdo of Busan was investigated using a SCUBA diving in 2011. A total 115 species, 51 families, and 4 taxa were collected during the sampling periods. Species were included 52 species in amphipoda, 49 in decapoda, 8 in isopoda and 6 in thoracica. On cluster analysis, the benthic crustacea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group A occurred in spring, group B in autumn and winter and group C in summer. Species composition in benthic crustacean corresponded with the water temperature.

제주도 해역의 이모류 (갑각류;십각류) (The Anomuran Crabs(including Thalassinideans) of Cheju Island and its Adjacent Waters, Korea (Crustacea : Decapoda))

  • 김훈수;김창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권2호
    • /
    • pp.225-236
    • /
    • 1987
  • 1986년 9월 30일부터 1987년 4월 24일까지의 조사기간에 제두도의 12개 지소에서 채집한 표본들과 조사기간 이전에 추자군도를 포함한 제두도 해역에서 채집된 미동정 표본들을 동정하고 문헌상의 기록들을 종합하여 제주도 해역 집게류의 분류목록을 작성하였다. 이 분류목록에는 9과 34종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에서 제주도 해역 미기록종은 2종이었고 Dardanus pedunculatus(Herbst)는 한국 미기록종이므로 새로이 기재하고 그림도 작성하였다. 제주도 해역의 집게류 34종은 한국기지종 58종의 58.6%에 해당되며 34종 중에서 17종(50%)은 제주도 해역에서만 기록되었다. 34종 중 7종(20.6%)이 남방형이었고, 34종 중 서식처가 밝혀진 24종주에서 사질과 암석 바닥에 서식하는 종이 18종(75%)이었다. 이와 같은 사실들은 제주도 해역의 해황과 제주도 연안의 저질과 일치한다.

  • PDF

Two New Records of Crangonid Shrimps (Crustacea: Decapoda: Caridea) in Korean Waters

  • Kim, Jung-Nyun;Choi, Jung-Hwa;Choi, Kwang-Ho;Kim, Sung-Tae;Chang, Dae-S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3호
    • /
    • pp.265-268
    • /
    • 2008
  • Two crangonid shrimps, Paracrangon abei Kubo, 1937 and Pontocaris sibogae (De Man, 1918), collected from the northeastern and southeastern waters of Jeju Island, are newly recorded into the Korean fauna. The former is the second species and the latter is the only species of each genus recorded in Korea. Morphological and distributional accounts of these two species are briefly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