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shed Oyster shell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8초

Changes of Soil Properties with Various Soil Amendments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Saline Soil

  • Lee, Sanghun;Kim, Hong-Kyu;Hwang, Seon-Woong;Lee, Kyeong-B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81-287
    • /
    • 2013
  • Due to its high salt content and poor physical properties in reclaimed tidal lands, it is important to ameliorate soil physical properti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esalin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soil properties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saline soil with various soil amendments.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in Korea and the dominant soil series was Munpo series (coarse loamy, mixed, nonacid, Mesic, Typic, Fluvaquents). Woodchips, crushed-stone, oyster shell, coal bottom ash, and rice hull were added as soil amendments and mixed into surface soil to improve soil physical properties. There was large variability in soil hardness, but oyster shell treatment was significantly lower soil hardness at surface layer. Soil hard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low 15 cm depth. Infiltration rate was also significantly greater at oyster shell treatment. This may be due to the leaching of Ca ions from oyster shell and improved soil propertie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oil bulk density, moisture content, and porosity.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increased desalinization rate in soil and retarded the resalinization rate when evapotranspiration rate was high. Although soil salin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oyster shell amendment, soil pH was increased that should be made up as a soil amendment. Our results indicated that oyster shell application increased infiltration rate and improved soil hardness, and thus oyster shell could be used to improve soil salinity level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saline soil.

굴패각을 잔골재로 대체 사용한 콘크리트의 장기성능 평가 (Long-Term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crete Utilizing Oyster Shell in Lieu of Fine Aggregate)

  • 양은익;이성태;김학모;심재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80-287
    • /
    • 2003
  • 산업폐기물 중 하나인 굴패각(Oyster Shell, OS)에 대한 건설재료로써의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굴패각을 혼합한 콘크리트의 장기역학적 특성과 내구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굴패각을 10% 대체한 콘크리트의 장기강도는 굴패각을 대체하지 않은 콘크리트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굴패각을 20% 대체한 콘크리트의 장기강도는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즉, 일정 한도 이상의 굴패각 대체는 콘크리트의 장기재령 강도에 열화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굴패각의 대체에 따른 탄성계수 저하는 대체율에 거의 비례적으로 저하하였으며 굴패각의 대체율 20%에서 약 10∼15% 저하하였다. 굴패각의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건조수축 발생량은 증가하였으며 기존의 건조수축과 크리프 모델식은 굴패각의 증가에 따른 영향을 잘 반영하지 못하였고 이에 대한 예측식의 보정이 필요하다. 잔골재의 일부를 굴패각으로 대체하여도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 탄산화 저항성, 및 화학침식 저항성에는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투수 저항성은 오히려 크게 개선되었다.

폐굴껍질과 황토로 제조한 응집제를 利用한 폐수처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astewater treatment as a Coagulant Using the Waste Oyster Shells and Loess)

  • 고현웅;장성호;성낙창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2호
    • /
    • pp.45-51
    • /
    • 2002
  • 본 연구는 수산폐기물인 폐굴껍질과 우리나라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황토를 이용하여 응집제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응집제원료의 성분조사 결과, 폐굴껍질은 CaO성분이 55.43(wt%)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황토는$ SiO_2$가 45.30(wt%)로 주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폐굴껍질 내의 CaO순도를 높이기 위해 $900^{\circ}C$에서 2시간동안 소성 하였으며. ball mill을 사용하여 0.074 mm(200mesh)로 분쇄 하였다. 소성된 폐굴껍질 분말과 황토 분말을 각각 6:4, 7:3, 8:2, 9: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응집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응집제와 화학 소석회와의 비교실험을 통해 화학 소석회의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산업폐기물(굴패각)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장기성능 평가 (Evaluation of Long-Term Performance of Concrete Blended with Industrial Waste(Oyster Shell))

  • 김학모;양은익;이성태;정용일;최중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27-232
    • /
    • 2002
  • To evaluat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oyster shells as construction materials,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More specifically, the long-term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concrete blended with oyster shells were investigated. Test results indicate that long-term strength of concrete blended with 10% oyster shells is almost identical to that of normal concrete. However, the long-term strength of concrete blended with 20% oyster shells Is appreciably lower than that of normal concrete. 1'hereby, concrete with higher oyster shell has the possibility giving a bad influence on the concrete long-term strength. Elastic modulus of concrete blended with crushed oyster shells decreases as the blending mixture ratio increases. Namely, the modulus is reduced by approximately 10∼15% when oyster shells are blended up to 20% replacing the fine aggregate. The drying shrinkage strain increases as the blending ratio increases. In addition, the existing model code of drying shrinkage does not coincide with the test results of this study. An adequate prediction equation needs to be developed. The utilization of oyster shells as the fine aggregate in concrete has an insignificant effect on freezing and thawing resistance, carbonation and sulfuric acid attack of concrete recycling. However, water permeability is considerably improved.

  • PDF

굴껍질분(紛)의 화학성(化學性) 및 작물(作物)에 대한 시용효과(施用效果) (Composition of Crushed Oyster Shell and its Application Effect on Vegetables)

  • 김종균;이한생;조재규;이영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50-355
    • /
    • 1995
  • 환경오염(環境汚染)을 유발(誘發)하는 굴패각(貝殼)을 농업적(農業的) 토양개량자재(土壤改良資材)로 재활용(再活用) 하고자 이를 비료공정규격(肥料工程規格)에 맞게 가공(加工)한 패각석회(貝殼石灰)에 대하여 주요성분(主要成分) 분석(分析)과 중화량(中和量)을 측정(測定)하고, 미사질양토(微砂質壤土)에 중화량(中和量)을 처리(處理)하여 상추, 양배추, 시금치, 양파, 고추, 콩을 재배(栽培)하여 작물생육(作物生育) 및 수양(收量)과 토양무기성분(土壤無機成分)의 변화(變化) 및 작물흡수(作物吸收) 등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패각석회(貝殼石灰)는 pH(1 : 5)가 9.8로 CaO 함량은 55.5%였고, 유기물과 인산은 각각 1.3%, 0.29%였으며, Sol. Mn 47ppm, Sol. B 1.61ppm, Av. $SO_4$ 32ppm, EC 18.0ds/m이고, 입도분포는 1~60mesh가 73.4%, 61mesh 이상이 26.6%를 차지하여 석회시용이 용이하였다. 2. 패각석회(貝殼石灰)의 중화량(中和量)은 초기(初期)에는 3.68ton/ha로 소석회(消石灰)보다 30~35%더 소요(所要) 되나 24개월(個月) 후(後)에는 동일(同一)하였으나. 작토(作土)의 중화점(中和點)에는 도달(到達)되지 않았다. 3. 패각석회시용(貝殼石灰施用)으로 토양의 pH, Av. $P_2O_5$, Av, $SiO_2$, Ex.-Ca 함량(含量) 등이 증가하였다. 4. 석회무시용(石灰無施用)의 대조구에 비해 구각석회시용(具殼石灰施用)으로 양파를 제외(除外)한 시험작물(試驗作物)의 식물체중(植物體中) T-N, 인산함량(燐酸含量)은 높은 경향(傾向)이였으며, 특히 시금치는 K와 인산의 흡수(吸收)가 조장(助長)되었다. 재배작물(栽培作物)의 Ca 흡수(吸收)는 뚜렷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양배추에서는 패각석회 처리가 소석회처리보다 대부분 무기성분 흡수량이 증가하였다. 5. 패각석회처리(貝殼石灰處理)는 대조구에 비(比)해 초장(草長), 엽장(葉長) 및 엽수(葉數) 등이 증가 상추 120%, 양배추 6%, 양파 154%, 고추 13%, 콩 8%가 각각(各各) 증수(增收)하였으며, 소석회처리(消石灰處理)와 비교하여 볼때 유의성(有意性)은 없었으나 모든 작물(作物)에서 증수(增收)하는 경향(傾向)이였다.

  • PDF

굴 패각을 이용한 간척지 배수재의 전과정 CO2 배출량 산정 및 국내 적용성 평가 (Life Cycle CO2 Assessment and Domestic Applicability Evaluation of the Drainage Material for Reclaimed Land Using Oyster Shell)

  • 전지훈;손영환;김동근;김태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1호
    • /
    • pp.85-93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nvironmental effect of the reclaimed land drainage method using oyster shell through the Life cycle $CO_2$ assessment,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the life cycle $CO_2$ emissions of oyster shell (OS) and crushed stone (CS, as avoided product) were assessed and compared. The Life Cycle Assessment method was used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direct or indirect environmental effects of OS recycling. $CO_2$ was selected as the evaluation target material, and the scope of assessment includes the acquisition of materials, processing, transportation, construction phases. Compared to using CS, 77.0% of $CO_2$ emissions in acquisition and processing, 47.0% in transportation and 6.5% in construction phase were reduced, respectively by using of OS. The maximum transportation distance of OS was estimated according to transportation distance of CS. OS has environmental advantages than CS within about 26 - 101 km from the source. OS was found to be applicable to reclaimed lands up to 810 ha, 3,910 ha from Tongyeong and Yeosu,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mount of OS that could be used as drainage material for reclaimed land was much higher than annual OS production of South Korea.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OS is sufficient to be used as drainage material for reclaimed land in South Korea.

Effect of Capillary Barrier on Soil Salinity and Corn Growth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Lee, Sanghun;Lee, Su-Hwan;Bae, Hui-Su;Lee, Jang-Hee;Oh, Yang-Yul;Noh, Tae-Hwan;Lee, Geon-Hw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398-405
    • /
    • 2014
  • Salt accumulation at soil surface is one of the most detrimental factors for crop production in reclaimed tidal l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pillary barriers beneath the soil surface on dynamics of soil salts at coarse-textured reclaimed tidal land.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for two years (2012-2013). Capillary barriers ($3.5{\times}12m$) were treated with crushed-stone, oyster shell waste, coal briquette ash, coal bottom ash, rice hull and woodchip at 40-60 cm depth from soil surface. Silage corn (Zea mays) was cultivat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nd soil salinity was monitored periodically. Soil salin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capillary barrier compared to that of control. Oyster shell waste was one of the most effective capillary barrier materials to control soil salinity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At the first growing season capillary barrier did not influence on corn growth regardless of types of the material, but plant biomass and withering rate of cor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capillary barrier at the second growing sea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apillary barrier was effective on the control of soil salinity and improvement of corn growth, which indicated that capillary barrier treatment can be considered one of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stable crop production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굴패각의 활용 (Application of Oyster Shells as Aggregates for Concrete)

  • 어석홍;황규한;김정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540-548
    • /
    • 2002
  • 본 연구는 굴양식장이 위치한 연안일대에 대량 방치되어 미관상 저해요인은 물론 환경오염의 요인이 되고 있는 폐굴패각을 수거하여 콘크리트 골재로써의 활용성을 검토하고 나아가 경량콘크리트 및 속빈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환경오염 방지 및 자원재활용을 추구하기 위한 기초적 실험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굴패각 자체에 대한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후 재령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 및 경화콘크리트의 재료 및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굴패각의 혼입으로 인한 새로운 화학반응이나 이상물질의 생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일반골재에 대한 굴패각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 및 작업성 문제가 발생하나 혼화제 및 석분의 사용으로 해결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강도 및 작업성 측면에서 10~13mm정도가 굵은골재로써 굴패각의 최적입경으로 나타났으며, 굵은골재 대체율이 50% 일 경우 단위용적 중량이 1993kg/㎥으로 약 10%정도의 경량화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속빈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고 품질시험을 실시한 결과 잔골재의 50%를 굴패각으로 대체 사용하여도 강도 및 흡수율 기준을 거의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충분한 활용성이 기대된다. 추후 내구성 및 경제성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잔골재를 패각으로 치환한 모르터의 강도, 흡수율 및 계면 결합형태 (Strength, Absorption and Interfacial Properties of Mortar Using Waste Shells as Fine Aggregates)

  • 문훈;김지현;이재용;정철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23-529
    • /
    • 2014
  • 국내에서는 많은 양의 패류가 생산되고 있으나, 이로 인해 발생하는 대량의 패각을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패각을 대량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건설재료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모르터의 잔골재를 패각으로 치환하여 흡수율, 압축강도를 측정하고 계면결합 형태를 관찰하였다. 대체적으로 패각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율은 증가하였으며, 압축강도는 감소하였다. 예외적으로 꼬막 패각을 치환한 모르터는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패각 치환율의 증가에 따른 흡수율의 증가 및 압축강도의 감소는 패각 주위에 발생한 다공성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꼬막 패각을 치환한 모르터는 패각과 시멘트 입자간의 계면결합 형태가 양호하였기 때문에, 오히려 강도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