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de Fiber

검색결과 1,309건 처리시간 0.031초

벼짚의 사료가치(飼料價値) 향상(向上)을 위(爲)한 질소추비(窒素追肥) (Nitrogen Top Dressing for Improving Feed Value of Rice Straw)

  • 김영섭;박훈;박영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9-183
    • /
    • 1973
  • 수량저하(收量低下)를 가져오지 않고 벼짚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을 증가(增加)시키는 질소추비(窒素追肥) 시험(試驗)을 IR667(수원(水原) 214)과 진흥(振興)을 사용(使用), 포장(圃場)에서 행(行)하고 벼짚의 사료가치(飼料價値)를 일반분석(一般分析)에 의(依)하여 비교검토(比較檢討)하였다. 1. 진흥(振興)보다 IR667은 조단백(粗蛋白), 조(粗)섬유 회분함량(灰分含量)이 높고 전탄수화물(全炭水化物)은 낮았으며 조지방(粗脂肪)은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2. 후기추비(後期追肥)로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조단백질(粗蛋白質)과 전탄수화물(全炭水化物)이 증가(增加)하나 조(粗)섬유 조지방(粗脂肪) 및 회분(灰分)은 감소(減少)하며 이러한 현상(現狀)은 IR667에서 뚜렷하였다. 3. 벼짚중 인산(燐酸) 함량(含量)은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감소(減少)하는데 진흥(振興)에서 뚜렷하였다. 4.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 증가(增加)에 따라 현미중(玄米中)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이 크게 증가(增加)하며 Ca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5. 벼짚중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의 전국평균치(全國平均値)는 4.06%로 혼합산야초(混合山野草)의 그것 (6.71%)보다 훨씬 낮으나 질소시비법(窒素施肥法) 개선(改善)으로 수량(收量)을 증가(增加)시키는 동시(同時) 산야초(山野草)를 증가(增加)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 PDF

볶음 처리한 우엉과 돼지감자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ing Wooung (Burdock, Arctium lappa L.) and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 이연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70-877
    • /
    • 2016
  • 본 연구는 손쉽게 가정에서 볶음 처리하여 우엉차와 돼지감자차를 만들어 영양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여 다양한 기능성 식품으로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볶음 처리한 우엉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10.43, 8.50, 1.77, 3.43 및 75.87%로 나타났으며, 볶음 처리한 돼지감자는 각각 10.67, 7.83, 1.23, 2.80 및 77.47%를 보였다. 볶음 처리한 우엉의 수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4.8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1.5 g/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돼지감자의 수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2.4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1.6 g/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우엉과 돼지감자에서 무기질함량 중에서 가장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은 칼륨>마그네슘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볶음 처리한 우엉은 총 25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1,382.112 mg/100 g이었고,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766.031 mg/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돼지감자는 총 24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2,678.018 mg/100 g이었고,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157.294 mg/ 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우엉과 돼지감자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2.56, 29.56 mg GAE/g으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6.54, 16.71 mg CE/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우엉 및 돼지감자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_{50}$ value은 각각 12.99, 19.74로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보다는 낮았지만 모두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볶음 처리한 우엉 및 돼지감자의 hydroxyl radical 소거능의 $IC_{50}$ 값은 각각 25.96, 22.93으로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보다는 낮았지만 모두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였다.

호맥 사일리지의 급여가 비육돈의 생산성, 혈액 성상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eeding Rye Silage on Growth Performance, Blood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 조진호;한영근;민병준;진영걸;김해진;유종상;김정우;김인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49-457
    • /
    • 2005
  • 본 연구는 조사료인 호맥 사일리지를 배합사료 원료 대체 급여 시 비육돈의 성장,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Land-race ${\times}Yorkshire{\times}$ Duroc) 비육돈 18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개시시 평균체중은 $94.03\pm0.71kg$이었고 28일간 개체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호맥 사일리지 첨가에 따라 1) CON(commercial diet: ME 3,350 kcal/kg and crude fiber $2.84\%$), 2) T1(ME 3,294 kcal/kg and crude fiber$2.99\%$ diet with rye silage $1.66\%$) and 3) T2(ME 3,237 kcal/kg and crude fiber $3.15\%$ with rye silage $3.32\%$)로 3처리로 하여 처리당 6반복, 반복당 1마리씩 $1.8\pm1.8m$ 크기의 돈방에 개별 수용하였다. 사양시험 동안 총 사료섭취 량과 기초사료인 배합사료 섭취 량은 T1구와 T2구가 높았으며 CON구가 낮게 나타났다(P<0.05).혈액 내 코티졸 함량의 변화는 호맥 사일리지를 급여한 T1구와 T2구에서 통계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육색 중 명도를 나타내는 $L^*$값, 육색과 근내 지방도는 T2구가 가장 높았고(P<0.05)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 은 T1구가 가장 높았다(P<0.05). 살코기 내 지방산 조성을 보면, palmitic acid와 arachidic acid에서는 대조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palmitoleic acid는 T2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지방 내 지방산 조성을 보면, palmitic acid 와 arachidic acid 함량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대조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건물과 질소 소화율에서는 T1과 T2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고 분내 propionic acid 함량은 T1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비육돈 사료 내 호맥 사일리지의 혼합급여는 사료섭취 량, 혈액 내 코티졸 함량의 감수 육의 명도, 육색, 근내 지방도 및 건물과 질소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비추어 볼 때 배합사료 원료를 호맥 사일리지로 $3.32\%$ 대체하여 혼합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식이섬유 섭취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Dietary Fiber Intake of College Students)

  • 이혜성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6호
    • /
    • pp.534-546
    • /
    • 1991
  • Three-day dietary records data from 237 college students(male 65, female 172) were used as the basis to estimate total dietary fiber(DF) intake of Korean adults & to investigate the major food sources of fiber. Mean daily DF intake of the subjects was 15.2$\pm$3.7g range being 7.5-34g When related to energy intake women consume more DF(7.7$\pm$1.5/1000kcal) than men(6.8$\pm$1.7g/1000kcal) Mean daily crude fiber(CF) intake of the subjects was 6.2$\pm$2.4g The mean DF:CF ratio for the subjects was 2.5$\pm$0.5 indicating that DF intake is 2-3 times of CF intakes The intakes of the two measures of fiber were highly correlated(r=0.791) The major food sources for DF in Korean are vegetables cereals and fruits and 14.3% respectively In comparision with limited international data on the DF intake by adults DF intake by the subjects was similar to those of developed countries.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DF intakes of the subjects are considerably lower than recommended level and they need to consume more DF than the present level.

  • PDF

Application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the Selection of Cotton Fibers

  • Majumdar Abhijit;Sarkar Bijan;Majumdar Prabal Kumar
    • Fibers and Polymers
    • /
    • 제5권4호
    • /
    • pp.297-302
    • /
    • 2004
  • In many engineering applications, the final decision is based on the evaluation of a number of alternatives in terms of a number of criteria. This problem may become very intricate when the selection criteria are expressed in terms of different units or the pertinent data are difficult to be quantifi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s an effective way in dealing with such kind of complicated problems. Cotton fiber is selected or graded, in the spinning industries, based on several quality criteria. However, the existing selection or grading method based on Fiber quality Index (FqI) is rather crude and ambiguous.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pproach of cotton fiber selection using the AHP methodology of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신선초(Agngelica Keiskei Koidz)의 일반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식이 섬유 및 사포닌 조성 (Proximate, Free Sugar, Amino Acid, Dietary Fiber and Saponin Composition of Agngelica Keiskei Koidz)

  • 강성구;최옥자;김용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1-37
    • /
    • 1999
  • 신선초를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하여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신선초의 부위별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 및 식이 섬유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신선초의 가식부를 평균함량으로 보면 수분이 88.43%, 회분은 1.96%, 조지방은 0.16%, 조지방은 2.95%, 조섬유는 1.26%, 총 비타민C는 67mg%로 나타났으나 수분과 조섬유를 제외하고는 줄기보다 잎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유리당 함량은 잎이 줄기보다 1.68배정도 높았으며 유리당의 종류와 함량을 보면 포도당이 평균함량으로 688mg, 과당이 703mg로 대부분 이였으며 서당은 미량 검출되었다. 잎에는 총 유리아미노산이 54.39%로 줄기의 28.07%보다 1.9배 이상 많은 함량을 보였다. 잎과 줄기의 총 구성 아미노산은 각각 1737.41mg%, 319.71mg%로 잎 이 줄기의 5.4배 높게 나타났다. 수용성 식이 섬유(SDF) 함량을 살펴보면, 신선물 기준으로 줄기가 1.00%로 잎의 0.99%보다 0.01% 높게 나타났으며, 불용성 식이 섬유(IDF) 함량 역시 잎의 3.07%보다 줄기가 3.52%로 0.45% 더 높게 나타났다. 신선초의 saponin의 함량은 잎이 535.51mg%로 줄기의 463.09mg%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근적외선 분광법에 의한 춘계 파종 사초의 성분추정 (Prediction on the Quality of Forage Crop Seeded in Spring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 이효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9-414
    • /
    • 2011
  • 본 연구는 춘파용 사초의 사료가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습식분석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근적외선분광 분석법을 이용한 사초의 분석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2009년에 생산된 사초 175점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보리, 그리고 완두를 혼파한 것으로 NIR System으로 400~2,400nm 사이의 파장을 얻었다. 그리고 수분, 조단백질, 조회분, NDF, ADF를 분석한 다음, 파장과 습식분석치를 이용하여 중회귀식을 만들어 미지의 시료를 분석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근적외선 분석법의 중요한 지표는 결정계수 $r^2$와 표준오차이며, 본 실험의 결과에서 검량식의 $r^2$는 수분, CP (crude protein), CA (crude Ash), ADF(acid detergent fiber), NDF (neutral detergent fiber)에서 각각 0.65, 0.97, 0.93, 0.99, 0.97을 보여주었다. 검증식은 그 값이 0.15, 0.94, 0.96, 0.98, 0.98이었다. 본 실험 결과, 근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한 춘계 파종 조사료의 품질 예측이 가능하며, 수분을 제외한 모든 성분에서 이 방법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표적인 시료가 검량식개발에 사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Effect on the Emulsification Stability and Quality of Emulsified Sausages Added with Wanggasi-Chunnyuncho (Opuntia humifusa f. jeollaensis) Fruit Powders

  • Jeong, Yiji;Han, Youngsi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53-965
    • /
    • 2019
  • In this study, the Opuntia humifusa f. jeollaensis (Wanggasi-Chunnyuncho) fruit (WCF) was used as a source of viscous dietary fiber and color pigmentation in sausage production to improve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cooking loss and emulsion stability. Control and treatment sausages were formulated with 0%, 1%, 5%, and 10% WCF powder, respectively, and the following quality measures were investigated: general composition, fiber content, cooking loss, emulsion stability, chromaticity, pH,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The moisture, dietary fiber, and ash contents showed increasing trends (all p<0.05)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fruit powder. Conversely,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exhibited decreasing trends with increasing fruit powder concentrations (p<0.05). Moreover, both the moisture and dietary fiber contents affected cooking loss, water retention capacity, and the sausage texture, causing the cooking loss to decrease, while the water and oil retention capacity increased (p<0.05)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WCF powder. Furthermore, hardness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ing trend as the concentration of WCF powder increased (p<0.05). This finding suggested that both dietary fiber and viscous materials, along with the protein and moisture content, affected the product hardness. In addition, sensory evaluation of the WCF powder groups showed better results than did the control group, and the strongest results obtained for the group containing 5% fruit powder (p<0.05).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WCF powder improves the quality of emulsified sausages and can potentially be applied as a naturally-derived additive.

Chemical composition of banana meal and rice bran from Australia or South-East Asia

  • Natalia S. Fanelli;Leidy J. Torres-Mendoza;Jerubella J. Abelilla;Hans H. Stein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10호
    • /
    • pp.1568-1577
    • /
    • 2023
  • Objective: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anana meal and rice bran from Australia or South-East Asia and test the hypothesis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rice bran produced in different countries, bu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full-fat and defatted rice bran. Methods: Two sources of banana meal and 22 sources of rice bran (full-fat or defatted) from Australia or South-East Asia were used. All samples were analyzed for dry matter, gross energy, nitrogen, amino acids (AA), acid hydrolyzed ether extract (AEE), ash, minerals, total starch, insoluble dietary fiber, and soluble dietary fiber. Banana meal was also analyzed for sugars including glucose, fructose, maltose, sucrose, stachyose, and raffinose. Results: Chemic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banana meal from the Philippines is primarily composed of starch. Full-fat rice bran from Australia had greater (p<0.05) concentrations of AEE, lysine, and glycine than samples from the Philippines and Vietnam. Full-fat rice bran from Australia and Thailand had greater (p<0.05) concentrations of gross energy and most AA than rice bran from Vietnam. Full-fat rice bran from Australia had greater (p<0.05) concentrations of tryptophan and manganese than all other sources, but full-fat rice bran from the Philippines contained less (p<0.05) zinc than all other sources of rice bran. Gross energy, AEE, and copper were greater (p<0.05) in full-fat rice bran compared with defatted rice bran, but defatted rice bran contained more (p<0.05) crude protein, ash, insoluble dietary fiber, total dietary fiber, AA, and some minerals than full-fat rice bran. Conclusion: Banana meal is a high-energy source tha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ingredient in livestock diets. Full-fat rice bran from Australia and Thailand contained more concentrations of AEE and AA than samples from the Philippines or Vietnam. Full-fat rice bran had more gross energy and AEE than defatted rice bran, whereas defatted rice bran contained more crude protein, ash, and total dietary fiber.

보검선인장과 저단선인장의 열매와 줄기 영양성분 조성 (Nutrient Composition in the Par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and Opuntia humifusa)

  • 서혜지;최용민;황인국;남진식;황진봉;이기택;이준수;이지윤;김세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63-669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utrient compositions of stem and frui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OF) and Opuntia humifusa (OH). The results of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indicated that the parts, varieties and parts*varieties had influence on nutrient content except crude protein, soluble dietary fiber, Fe, Se, I, vitamin E, niacin and vitamin C. Moisture and crude ash content was higher in stem than in fruit, while crude lipid and insoluble dietary content was higher in fruit than in stem. Mineral content revealed that K (1,313.67 mg% in OF, 1,351.38 mg% in OH) was the highest in fruit and Ca (5,146.29 mg% in OF, 1,388.19 mg% in OH) was the highest in stem. Vitamin C was the most abundant vitamin in the fruit of OF (199.98 mg%) and OH (187.12 mg%). Polyunsaturated fatty acid was the highest among fatty acids (66.9~70.1%), with higher content in the stem (753.89 mg%) than fruit (578.01 mg%) in OF, while higher in the fruit (1,093.63 mg%) than stem (475.07 mg%) in OH. Moisture, crude protein, Mg, Se and riboflavin was higher in OF than OH; whereas, crude lipid, insoluble dietary fiber, total dietary fiber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were higher in OH than OF.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F and OH could be a good food source for Ca, K and Vitamin C. Also, different nutrient content by parts and varieties, can be helpful in choice of parts or varieties for consumer purp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