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diameter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초

Transrectal Ultrasound Scanning for Detecting the Early Pregnancy in Korean Black Goats

  • Shin, H.G.;Choi, Y.S.;Jang, S.K.;Yang, H.S.;Lee, O.K.;Lee, D.S.;Cho, J.K.;Shin, S.T.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09-212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early pregnancy diagnosis with evaluation of size of embryonic vesicles and change of crown-rump length (CRL) by transrectal ultrasonography in the Korean black goats. Early pregnancy diagnosis was performed in the 114 goats from 19 to 35 days after coitus by transrectal 5.0 MHz transducer. Embryonic vesicles and CRL in the 142 goats from 19 to 42 days was measured to establish the correlation between gestational age and these parameters. The early pregnancy diagnosis achieved 80% accuracy after days 25 and 100% accuracy after days 28 after breeding. Diameters of embryonic vesicle and CR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gestational age. In these facts, early pregnancy diagnosis is possible on Days 25 after breeding and measurement of embryonic vesicles and CRL were useful to predict the gestational age in Korean black goat.

완도지역 붉가시나무의 성장 및 결실 특성과 종실량 상대성장식 (Growth and Fruiting Characteristics and No. of Acorns/tree Allometric Equations of Quercus acuta Thunb. in Wando Island, Korea)

  • 김소담;박인협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40-446
    • /
    • 2019
  • 완도수목원내 백운로 상부의 붉가시나무림을 대상으로 난대 상록활엽수림 복원 시 붉가시나무의 성장 및 종실공급과 관련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붉가시나무의 성장 및 결실특성을 조사하고 종실량 상대성장식을 구하였다. 성장특성은 평균흉고직경급에 속하는 실생 임목 3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여 수간석해하였다. 표본목의 평균치의 수령(X)에 의한 흉고직경과 수고의 성장특성(Y)의 상대성장식(Y=aX+b)을 개발하였으며, 추정식에 의한 붉가시나무 수령에 따른 흉고직경 및 수고를 추정하였다. 결실특성은 성숙종실초기인 8월에 평균 흉고직경급에 속하는 임목을 대상으로 결실이 충실한 임목 3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여 조사하였다. 붉가시나무의 종실량 상대성장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결실목 중 흉고직경이 고르게 10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였다. 벌목한 표본목은 흉고직경, 수고, 수관폭, 수관고 등의 성장특성(X)과 종실량(Y)을 조사 분석하여 종실량 상대성장식($Y=aX^b$)을 유도하였다. 표본목 평균치의 수령에 의한 상대성장식은 흉고직경 Y=0506X-2.064($R^2=0.999$), 수고 Y=0.321X+0689($R^2=0.992$)이었다. 개발된 상대성장식에 의하여 수령 10, 20, 30, 40년일 때 흉고직경은 각각 3.0cm, 8.1cm, 13.1cm, 18.2cm, 수고는 각각 3.9m, 7.1m, 10.3m, 13.5m가 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실특성 조사 결과 결과모지(結果母枝)당 잎 수를 제외한 결과모지의 길이, 직경, 결과모지 당 결과지 수, 종실 수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수관 상, 중,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종실 총수의 경우 수관 상, 중, 하부 각각 1,312립, 115립, 5립이었다. 붉가시나무 표본목을 일괄하여 추정한 종실량 상대성장식의 흉고직경(D)를 독립변수로 하는 상대성장식은 $Y=0.003X^{4.260}$, 결정계수($R^2$)은 0.896이었다. 흉고직경만을 독립변수로 하는 상대성장식은 흉고직경과 수고($D^2H$)를 독립변수로 하는 결정계수가 다소 낮으나, 측정오차를 고려하면, 흉고직경만을 독립변수로 하는 상대성장식을 적용하는 것이 실용적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인에서의 혼합치열기 공간분석 (The prediction of the tooth size in the mixed dentition for Korean)

  • 문성환;김성오;유형석;최병재;최형준;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3-261
    • /
    • 2006
  • 이번 연구의 목적은 혼합치열기 아동에서 미맹출된 견치와 소구치의 크기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한국인에 맞는 방정식을 만들기 위함이다. 미맹출 치아의 크기를 예측하는 것은 혼합치열기 교정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미맹출된 견치와 소구치 크기를 예측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이 모이어의 예측 표와 다나카와 존스턴의 방정식이 있다. 하지만 그것들은 백인을 위해서 제작된 것이고 치아 크기는 인종에 따라서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치아크기를 측정하여 하악 영구 절치의 크기 합과 견치 및 소구치의 크기 합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하고 회귀방정식을 이용해서 한국인에 맞는 예측표를 만들었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178명의 한국 학생(남 108명, 여 70명, 평균연령 21.63)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영구치의 근원심 폭경을 석고모형상에서 calipers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성별간의 치아 크기는 차이가 있었다 (p<0.05). Correlation coefficient는 0.57에서 0.64의 범위였고, standard errors of the estimates는 여성에서 0.6으로써 남성보다 우수하였다. ${\gamma}^2$값은 0.27에서 0.4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 PDF

한국인 아래턱큰어금니 교두 변이에 관한 연구 (Variations in the Cusps of Mandibular Molars in Koreans)

  • 유홍일;김지혜;김선헌
    • 해부∙생물인류학
    • /
    • 제27권3호
    • /
    • pp.155-163
    • /
    • 2014
  • 본 연구 목적은 한국인 아래턱큰어금니 hypoconulid와 관련된 각 교두의 크기 및 형태적 특징 및 성별 차이와 아래턱큰어금니 사이의 크기 및 형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조사 대상은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남학생 78명, 여학생 32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0세였다. 대상자의 치아모형을 제작하여 아래턱첫째 및 둘째큰어금니의 최대 안쪽-먼쪽너비, 볼쪽-혀쪽너비, 5개 교두(protoconid, metaconid, hypoconid, entoconid, hypoconulid)의 개별면적, 총교두면적, 교합상면적을 측정하였다. 성별 차이와 아래턱첫째 및 둘째큰어금니 간의 차이 및 상관성에 관해서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남녀 모두 아래턱큰어금니의 안쪽-먼쪽너비, 볼쪽-혀쪽너비, 총교두면적, 교합상면적 측정값은 첫째큰어금니가 둘째큰어금니보다 크게 나타났다. 아래턱첫째 및 둘째큰어금니 모두 protoconid 면적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hypoconulid 면적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아래턱큰어금니 5개 교두 중 크기 및 형태 변이가 가장 큰 것은 hypoconulid였으며, hypoconulid 발현빈도는 아래턱첫째큰어금니가 둘째큰어금니보다 더 높았다. 모든 측정값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아래턱첫째큰어금니 entoconid (p=0.06)와 둘째큰어금니 hypoconulid (p=0.24)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측정값들은 모두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은 남녀 모두 다른 인종에 비해 전반적인 치아 크기(너비, 면적)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 치아 크기가 여자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늦게 발생이 일어나는 치아일수록 치아크기는 작고 변이는 더 큰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제일 늦게 발생하는 hypoconulid 변이 정도가 제일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인 아래턱큰어금니의 비교치아 형태학 자료를 제공한다.

항공사진(航空寫眞)을 이용(利用)한 산림자원조사법(山林資源調査法)의 연구(硏究)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aerial photographs for forest inventory)

  • 김갑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1976
  • 항공사진(航空寫眞)을 이용(利用)한 자원조사법(資源調査法)에는 지상법(地上法) 항공사진법(航空寫眞法) 및 지상병용법(地上併用法)이 있는데 본시험(本試驗)에서는 지상병용법(地上併用法)을 적용(適用)할때 그 정도(精度)를 검정(檢定)한 것이다. 충북(忠北) 보은군(報恩郡)을 대상(對象)으로 임상구분(林相區分)한 후 면적(面積)을 점격자법(點格子法)에 의(依)하여 확정(確定)시켰으며 임상도(林相圖)에서 820개(個)의 Sample plot를 계통적(系統的) 추출법(抽出法)에 의(衣)하여 추출(抽出)한 후 항공사진(航空寫眞)에서 수고(樹高) 수관밀도(樹冠密度) 수관직경(樹冠直徑) 등(等)을 측정(測定)하여 Stereogram과 대조(對照) 비교(比較)하여 ha당(當) 재적(材積)을 추정(推定)하였고 820개(個)의 약(約) 4.5%에 해당(該當)하는 38개(個) plot를 Double Sampling에 의(依)하여 추출(抽出)한 후 현지(現地) 측정(測定)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점격자법(點格子法)에 의(依)한 면적측정치(面積測定値)와 행정통계치(行政統計値)와의 사이에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2. 추정치(推定値)와 실측치(實測値) 간(間)에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계수(係數) b의 값은 1.18이였다. 3. 침엽수(針葉樹)의 수고측정(樹高測定)은 비교적(比較的) 용이(容易)하였으나 활엽수(濶葉樹)인 경우는 정부(頂部)가 흐려져 측정(測定)이 비교적(比較的) 곤란(困難)하였다. 4. 재적(材積)이 적은 임분(林分)에서는 과대평가(過大評價)를 재적(材積)이 많은 임분(林分)에서는 과소평가(過小評價)되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5. 지상병용법(地上併用法)을 적용시(適用時)는 숙달(熟達)된 기술자(技術者)에 의(衣)하여 추진(推進)되어야 하겠으며 사진재적표(寫眞材積表) 조제(調製) 먼저 이루어져야 하겠다.

  • PDF

임분(林分) 공간구조(空間構造) 분석(分析)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for Stand Spatial Structure Analysis)

  • 신만용;오정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389-399
    • /
    • 1999
  • 본 연구는 개체목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밀 임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임분의 3차원 공간구조 분석이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임분의 ha당 통계량 계산 등 양적 정보뿐만 아니라 직경, 수고, 재적분포, 그리고 3차원 임분 공간구조와 수관투영도 등의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컴퓨터 상에서 가상 시업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업후의 임분구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통계분석 부분은 SAS의 분석결과와 비교하였고, 그래픽 정보의 표현 능력은 유사한 3차원 수관도 프로그램인 TreeDraw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자료분석 시간이나 결과의 요약 등 실용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해당 임분에 대한 적합한 조림조치와 합리적인 경영에 필요한 다양한 임분 공간정보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레진시멘트 색상이 상용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n cement color on the color of commercially available zirconia crown)

  • 하현승;임범순;이상훈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33-24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레진시멘트 색상이 상용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에는 $NuSmile^{(R)}$ ZR Zirconia LT Shade (LT) 지르코니아와 $RelyX^{TM}$ U200 TR, A2, A3O (TR, A2, A3O) 레진시멘트를 사용했다. 이 때 지르코니아와 레진시멘트 시편은 직경 5 mm, 두께 1 mm의 디스크 형으로 각 조건 당 다섯 개씩 제작했다. CIE $L^*a^*b^*$값은 검은색과 흰색 배경에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해 지르코니아와 레진시멘트 단독 조건과 겹친 조건에서 각각 측정했다. 레진시멘트 색상이 상용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은 측정된 값을 이용해, 반투명도(TP, translucency parameter), 대조비(CR, contrast ratio), 색차(${\Delta}E{^*}_{ab}$)의 계산을 통해 평가했다. 각 변수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는 동일한 실험군에서 CIE $L^*a^*^b^*$ 값을 3회씩 측정하여 구했다. 실험군의 통계적 유의성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Tukey-multiple comparisons test로 검증했다. 그 결과, 지르코니아 하방에 레진시멘트를 겹친 조건일 때는 지르코니아 단독 조건일 때에 비해 반투명도는 감소했고(p<0.05) 대조비는 증가했다. 검은색 배경에서 지르코니아와 지르코니아 하방에 레진시멘트를 겹쳤을 때의 색차는 모든 실험군에서 색의 변화를 인지할 수 없었고 LT/A3O 조합에서 최소값을 보였다. 한편, 흰색 배경에서 지르코니아와 지르코니아 하방에 레진시멘트를 겹쳤을 때의 색차는 LT/TR 조합에서 색변화를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경계값을 보였다. LT/A2 조합에서는 색변화를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없었고, LT/A3O 조합에서는 색변화를 인지할 수 있었으나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는, 흰색 배경의 LT/A2 조합 외에는 지르코니아 색상에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없는 색변화를 주는 레진시멘트는 없었다. 그 중 지르코니아 색상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는 레진시멘트 색상은 A3O였다. 따라서, 본 연구와 동일한 상용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치아에 접착할 때 색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A3O 색상의 레진시멘트 사용이 추천된다.

X-선 투과검사를 이용한 저항 점용접부 품질평가기법 (Weld Quality Evaluation Method for the Resistance Spot Welds using X-ray Transmission Inspection)

  • 이종대;이소정;방정환;윤길상;김목순;김준기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32권6호
    • /
    • pp.1-7
    • /
    • 2014
  • For the resistance spot welds of CR1180 and GA1180 TRIP steels, the weld quality evaluation method using the digitalized X-ray transmission imaging apparatus was investigated in comparison with the crosssectional examination method. In the case of the resistance spot welding of CR1180, three circular regions, such as WZ(white zone), GZ(grey zone) and DZ(dark zone), appeared on X-ray image and they corresponded to the diameters of indentation mark, nugget and corona bond, respectively. The variation of X-ray transmission thickness due to the thickness variation of the weld seemed to be mainly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of those contrasts. The X-ray image contrast formed from the variation of transmission thickness at the outer border line of DZ could also enable the inspections of the notch shape, nonuniformity of the welding pressure and spatter from its sharpness, concentricity and the normal straight line, respectively. The X-ray image of the resistance spot weld of galvannealed GA1180 TRIP stee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CR1180 TRIP steel except the crown shaped outer border line of DZ which wa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melting behavior of zinc having the boiling temperature even lower than the melting temperature of steel.

주입선 설계에 따른 Heat-pressed ceramic의 파절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EXURAL STRENGH OF HEAT-PRESSED CERAMICS ACCORDING TO SPRUE DESIGNS)

  • 오상천;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0-143
    • /
    • 1997
  • A heat-pressed technique(IPS-Empress, Ivoclar) has been described to construct single unit crown, inlay/onlay and veneers using a partially pre-cerammed and pre-colored glass-leucite ingot that has the greateast strength by the combination of heat-pressed procedure through the smalldiameter sprue and heat treatment proced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lexure strength of a heat-pressed ceramic material(IPS-Empress) without simulated firing treatments according to pontic designs. Two groups of 9 disks(1.4mm thick, 14mm in diameter) each using two types of sprues with different diameters($({\Phi}2.8\;,{\Phi}1.8)$) and numbers were prepared. The specimens were mounted in the testing jig. The flexural strengths were determined, by means of the bi-axial bending test, by loading the center of disk to failure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Zwick 145141, Zwick, Germany) at a cross-head speed of 1.0 mm/min. The means flexural strength value of one group using a sprue with ${\Phi}2.8$ was $140.4{\pm}8.0Mpa$. That of the other group using two sprues with ${\Phi}1.8$ was $151.8{\pm}10.3Mpa$. Afte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roups(t=2.33m p<0.05). No clnical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these data because of absence of simulated firing treatment.

  • PDF

영구치 절치의 크기와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ooth size and shape of the permanent Incisor teeth)

  • 이태정;신종우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9-94
    • /
    • 1993
  • The tooth size and shape of the permanent incisor teeth have been studied and analyzed about the mean size, S.D, S.E, etcs and percentage from stone model of 100 Korean male and 74 Korean fem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rown length of permanent incisor teeth were longer in males than in females statistical differences of males and female were not found. 2. the mesio-distal diameters of permanent incisor teeth were larger in males than in females and statistical differences of males and females were found in mandibular lateral incisor and the bigest were max. central incisor, 2nd max. lateral incisor, 3rd man. lateral incisor and the smallest were man. central incisor. 3. The square form in max. central incisor was the greatest percentage and the tapering form in max. lateral incisor and man, incisor was the greatest percentage but tapering form and ovoid form and other shape were found in max. lateral at the same ratio. 4. Concerning the labial developmental groove "midium" was the greatest percentage in the max. central incisor and "low" was the greatest percentage in the man incisor. Concerning the incisal line, straight line was the greatest percentage in the max, incisor and man, incisor and concerning the lingual tubercle "none" was the greatest percentage in the max. incisor. 5. In comparison between left side and right side of incisor, the ratio of same shape ware 22.4%-36.2% but similar or dissimilar cases were more frequently fou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