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Height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32초

항공 LiDAR의 높이분포변수를 이용한 임분재적추정에 관한 연구 (Estimating plot-level volume using LiDAR-extracted height distributional parameters)

  • 곽두안;이우균;조현국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4-141
    • /
    • 2010
  • 임분 단위의 재적 및 생체량은 LiDAR 자료의 높이 분포변수들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LiDAR 자료의 높이 분포변수들은 재적을 측정하는 임분고(stand height)와 임분평균 지하고(mean crown base height), 그리고 수관형태에 따른 평균수관장(mean crown depth) 등의 변수와 직 간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림의 샘플지역에서 반사된 LiDAR 자료의 높이분포변수를 이용하여 임분단위의 수간재적을 추정한 다음, 앞 세부연구에서 수행한 방법을 이용하여 임분의 생체량을 추정하였다. 변수는 임분 내에서 반사되는 LiDAR 자료의 평균높이, 최대 최소높이, 높이값들의 표준편차, 변이계수, 첨도, 왜도, 식생반사비율, 10분위 높이자료와 강도데이터의 기술통계량 등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인 임분수간재적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변수들은 임분수간재적과 가장 관련있는 2~3개의 변수들로 추려졌으며, 추정된 회귀식의 결정계수는 0.66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유보표본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의 결정계수는 0.59로 분석되어 LiDAR 자료의 높이분포변수들은 임분의 재적을 비교적 잘 설명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

상악 전치부 단일 임플란트 지지 수복금관의 주변 연조직반응의 단면적 연구 (Soft tissue reactions around implant-supported single-tooth replacements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 장문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321-337
    • /
    • 1998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firstly to investigate soft tissue reactions around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and secondly to compare soft tissue dimensions and conditions of the crowns in relation to interdental papillae, and lastly to investigate patients'esthetic satisfaction with their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according to the interdental papillae presence/absence. Twenty-nine patients (41 implants) whose single missing tooth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had been replaced by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 participated for the study and various variables of soft tissue conditions, dimensions and crown dimensions were measured around the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at clinical examination and from study models and slid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ft tissue conditions around the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were similar to those around implants used for partially or totolly edentulous patients. Except for the high frequency of bleeding on probing, all other parameters revealed healthy conditions. The buccal sites of the crown had a shallow pocket comparing with other sites. At all sites of the crown, similar status of little inflammation was found. Mesial sites and central-incisor positioned implantsupported crowns had lower contact point position than distal sites and lateral-incisor positioned crowns, respectively. Mucositis index, probing depth and contact point posi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pillae index(p < 0.05). More inflammation and lower contact point position were found at the implant-supported crown with no interdental space than that with interdental space. Patients showed high esthetic satisfaction regardless of interdental space presence. The result indicated that, despite of their submucosal crown margins,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s have soft tissue conditions as good as other implants used for the treatment of the different types of edentulism and a clinician can manipulate interdental papilla height by modifying crown shapes within the limits of not violating total esthetics.

  • PDF

완도지역 붉가시나무의 성장 및 결실 특성과 종실량 상대성장식 (Growth and Fruiting Characteristics and No. of Acorns/tree Allometric Equations of Quercus acuta Thunb. in Wando Island, Korea)

  • 김소담;박인협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40-446
    • /
    • 2019
  • 완도수목원내 백운로 상부의 붉가시나무림을 대상으로 난대 상록활엽수림 복원 시 붉가시나무의 성장 및 종실공급과 관련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붉가시나무의 성장 및 결실특성을 조사하고 종실량 상대성장식을 구하였다. 성장특성은 평균흉고직경급에 속하는 실생 임목 3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여 수간석해하였다. 표본목의 평균치의 수령(X)에 의한 흉고직경과 수고의 성장특성(Y)의 상대성장식(Y=aX+b)을 개발하였으며, 추정식에 의한 붉가시나무 수령에 따른 흉고직경 및 수고를 추정하였다. 결실특성은 성숙종실초기인 8월에 평균 흉고직경급에 속하는 임목을 대상으로 결실이 충실한 임목 3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여 조사하였다. 붉가시나무의 종실량 상대성장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결실목 중 흉고직경이 고르게 10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였다. 벌목한 표본목은 흉고직경, 수고, 수관폭, 수관고 등의 성장특성(X)과 종실량(Y)을 조사 분석하여 종실량 상대성장식($Y=aX^b$)을 유도하였다. 표본목 평균치의 수령에 의한 상대성장식은 흉고직경 Y=0506X-2.064($R^2=0.999$), 수고 Y=0.321X+0689($R^2=0.992$)이었다. 개발된 상대성장식에 의하여 수령 10, 20, 30, 40년일 때 흉고직경은 각각 3.0cm, 8.1cm, 13.1cm, 18.2cm, 수고는 각각 3.9m, 7.1m, 10.3m, 13.5m가 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실특성 조사 결과 결과모지(結果母枝)당 잎 수를 제외한 결과모지의 길이, 직경, 결과모지 당 결과지 수, 종실 수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수관 상, 중,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종실 총수의 경우 수관 상, 중, 하부 각각 1,312립, 115립, 5립이었다. 붉가시나무 표본목을 일괄하여 추정한 종실량 상대성장식의 흉고직경(D)를 독립변수로 하는 상대성장식은 $Y=0.003X^{4.260}$, 결정계수($R^2$)은 0.896이었다. 흉고직경만을 독립변수로 하는 상대성장식은 흉고직경과 수고($D^2H$)를 독립변수로 하는 결정계수가 다소 낮으나, 측정오차를 고려하면, 흉고직경만을 독립변수로 하는 상대성장식을 적용하는 것이 실용적이라고 판단된다.

항공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가로수 정보의 추출 (Extraction of Street Tree Information Using Airborne LIDAR Data)

  • 조두영;김의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45-57
    • /
    • 2012
  • 도시지역의 가로수는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며 탄소를 흡수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가로수의 위치, 수고, 수관폭 등에 대한 효율적인 획득과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항공라이다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지역 가로수에 대한 개수, 위치, 수고, 수관폭의 수치적인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가로수는 그 형태와 크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수관폭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가로수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가로수는 일반적으로 도로변을 중심으로 식재되기 때문에 이러한 식재위치의 직선적 특성을 이용하여 가로수점들을 선택하였다. 오산시 일부를 대상으로 가로수 추출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1/1,000 수치지도와 비교하여 제안한 방법론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서, 가로수의 위치오차는 최소 0.5m, 최대 1.9m, 그리고 평균제곱근오차는 약 ${\pm}0.4m$를 나타냈다.

T-Scan을 이용한 감소된 수직고경을 가진 소아의 가철성 의치 제작 (REMOVABLE DENTURE FOR CHILD WITH LOSS OF VERTICAL DIMENSION USING T-SCAN : A CASE REPORT)

  • 정양석;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3-108
    • /
    • 2006
  • 성장기 아동에서 외상, 유전적 질환 erosion, 다발성 우식증에 의해 1대구치의 조기상실 등이 야기되어 수직고경이 상실된 경우를 드물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고경이 상실된 환아에게는 저작력 저하 안모의 상실, 발음 이상, 저작근의 경련, 턱관절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중심교합을 상실한 경우 저작기능의 큰 저해요인이 될 수 있다. 성인의 경우 생리적 안정위, 평균적인 치조제간의 거리. 최대 교합력 등이 수직고경을 회복하는데 기준이 되나 소아환자의 기준에 대한보고는 미흡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증례에서 전치부는 celluloid crown form을 이용한 레진관, 유구치는 stainless steel crown으로 수복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수직고경의 기준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다발성 치아 우식증으로 인하여 모든 유구치와 3개의 제 1대구치가 조기 상실되어 수직고경과 중심교합을 상실한 환아에서, 의도된 악관관계를 재현하고 그에 따라 제작한 가철성 장치를 이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 PDF

Effects of Windbreak Planting on Crop Productivity for Agroforestry Practices in a Semi-Arid Region

  • Jo, Hyun-Kil;Park, Hye-M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348-354
    • /
    • 2017
  • Agroforestry has been practiced in arid and semi-arid regions for the purposes of preventing desertification and to increase income for locals. However, the intended effects of such practices have been limited due to strong winds and aridity. This study undertook multi-year monitoring of the productivity of income crops associated with windbreak planting in a semi-arid region of Mongolia, and explored strategies of windbreak planning to enhance the multi-purpose effects of agroforestry practices. The tree crown density of windbreak planting was on average 40% in one year after planting and 65% 2-3 years after, and thereby windspeeds were reduced by about 30% and 54%, respectively. Average windspeed reductions at leeward distances from the windbreak planting were approximately 60% within 3H (H=tree height), 50% at 5H, and 42% at 7-9H, presenting a pattern in which the farther the distance the less the reduction in windspeeds. The windbreak planting increased crop productivity by up to 6.8 times, compared to the productivity absent of windbreaks. Increases in the crown density as stated above resulted in increases of crop productivity by up to 3.6 times.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model of windbreak planning as a typical land-use system of border windbreak planting or alternate windbreak planting of combining trees and income crops. The model also included tree planting with a crown density of 60% and allocation of income crops within a leeward distance of 5 times the height of the trees to reduce windspeeds by about 50%.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pplicable to practicing agroforestry not only at the study site but also in other regions worldwide where strong winds and aridity are problematic.

월파에 의한 경사식구조물 배후면에 작용하는 낙하파압에 대한 실험적 연구: 비쇄파조건 (Experimental Study for Downfall Pressure on the Floor behind Rubble-Mound Structure by Wave Overtopping: Non-Breaking Condition)

  • 이종인;문강일;김영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27-36
    • /
    • 2022
  • 파랑이 구조물과 만나게 되면 강한 처오름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처오름은 월파를 야기하게 된다. 월파에 의해 야기된 월파수괴에 의해 구조물 배후면에 강한 낙하파압이 작용하게 된다. 구조물 배후면의 포장체 등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월파 등에 의한 낙하파압이 산정되어야 하지만 여전히 불명확한 부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사식구조물을 대상으로 월파에 의한 낙하파압 계측을 위한 수리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수리실험에서는 파랑조건, 여유고, 피복재 높이 및 파라펫의 유무에 따른 낙하파압의 변화를 계측하였다. 상치콘크리트에는 월파의 효과적인 저감을 위해 파라펫이 설치되기도 하지만, 파라펫 설치로 인해 배후면에 작용하는 낙하파압은 증가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수행된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경사식구조물의 상치콘트리트 배후면에 작용하는 최대 낙하파압을 산정할 수 있는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상악 전치부에서 치관 형태에 따른 치은의 특성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crown form and gingival feature in upper anterior region)

  • 김수형;정현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761-776
    • /
    • 2005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of the clinical crowns in the maxillary anterior segment and the clinical feature of gingiva such a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gingival thickness. Fifty periodontally healthy subjects were clinically examined regarding the probing depth, the thickness of the free gingiva, and the width of the keratinized gingiva. From study models of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the width at cervical third(CW) and the length(CL) of the clinical crown, the papillary height, and the gingival angle of the 6 anterior teeth were measured. Each tooth was classified into 4 groups (longnarrow, NL; narrow, N; wide, W; short-wide, WS) according to CW/CL ratio and all the data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NL and WS using independent t-tes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tooth region with the gingival thickness at the level of sulcus bottom,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and gingival angle as the dependent variables. As the results, the NL group of the upper anterior teeth displayed, higher papilla height, and narrower keratinized gingiva, more acute gingival angle resulting in pronounced "scalloped" contour of the gingival margin, compared to the WS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NL and WS with respect to probing depth and the gingival thickness. Th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gingival thickness in central inciso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to the mesio-distal width and bucco-lingual width of the crown, and labial probing depth.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abial probing depth in central incisors and with proximal probing depth and gingival angle in lateral incisors, and with labial and proximal probing depth, and gingival angle in canines. The gingival angl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pillary height and CW/CL ratio and additionally with proximal probing depth in central incisors, with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in lateral incisors, and with labial probing depth and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in cani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rm of clinical crown in upper anterior region could influence the clinical feature of gingiva and the influencing factors might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ooth region.

신품종 사계성 딸기 '고하'의 고랭지 여름재배 시 관부수와 화방제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as Affected by Controlled Crowns of the New Ever-bearing Strawberry 'Goha' in Highlands)

  • 이종남;김혜진;김기덕;유동림;임주성;용영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1호
    • /
    • pp.41-45
    • /
    • 2014
  • 본 실험은 고랭지에서 신품종 사계성 딸기 '고하'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부수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정식은 4월 29일에 재식거리를 $55{\times}30cm$로 실시하였으며, 시험구 처리는 관부수를 1, 3, 5개로 하고 대조구로 방임을 두었다. 생육초기에 관부수가 적을수록 잎은 커졌고, 화방경은 굵어졌다. 최종수확 시 초장은 크라운수가 많을수록 길어졌다. 생체중은 관부수 방임구가 118g으로 관부수 1개구의 40.8g보다 77.2g이 더 무거웠다. 발생된 화방수는 관부수 5개구와 방임구가 20.1개로 관부수 1개구의 6.8개에 비해 13.3개가 더 많았다. 그러나 관부수에 따른 과실품질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관부수가 많을수록 평균과중은 가벼웠으며, 상품과율은 감소하였다. 상품수량은 관부수 방임구가 $17,372kg{\cdot}ha^{-1}$로 가장 많았으며, 관부수 1개구에 비해 68% 증수되었다. 따라서 고랭지 사계성 딸기 '고하'의 여름재배 시 안정생산을 위해서는 관부는 방임하며, 화방굵기가 3mm 이하인 화방은 제거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였다.

전기성형술로 제작된 외관의 유지력에 내관의 축면경사도와 표면적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PER AND SURFACE AREA OF INNER CROWN ON THE RETENTIVE FORCE OF ELECTROFORMED OUTER CROWN)

  • 강완근;임장섭;전영찬;정창모;정희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5-173
    • /
    • 2006
  • Purpose: With gold electroforming system fir the double crown, the secondary crown is electroformed directly onto the primary crown. An even thick layer of high precision can be acquired. It is thought that the retention of electroformed outer crown is primarily acquired by the adhesive force (surface tension) through the saliva which is interposed between precisely fitted inner and outer cr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aper and surface area of inner crown on the retentive force of electroformed outer crow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saliva. Materials and methods: 32 titanium inner crowns with cervical diameter of 8 mm and cone angles of 0, 2, 4, 6 degrees, which had same surface area by regulated height, were machined on a lathe. Another 32 titanium inner crowns with cone angles of 0, 2, 4, 6 degrees, which had doubled surface area by increased cervical diameter. were fabricated. Eight specimens of each group, for a total of 64 titanium inner crowns, were prepared. The electroformed outer crowns were fabricated directly on the inner crowns by using electroforming machine(GAMMAT free, Gramm Technik, Germany). The tertiary frameworks were waxed-up on the electroformed outer crown and cast using nonprecious alloy($Rexillium^(R)III,\;Jeneric^(R)/Pentronh^(R)$ Inc., USA). The cast metal frameworks were sandblasted with alubimium oxides and cemented using resin cement(Superbond C&B, Sun Medical Co., Japan) over the electroformed copings of each specimen. Then, artificial saliva($Taliva^(R)$, Halim Pharm. Co., Korea) was spray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crown, and they were connected under 5 kg force. The retentive force was measured by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Tinius Olsen 1000, Tinius Olsen, USA) with a cross-head speed of 66.67 mm/sec. The direction of cross-head travel was exactly aligned with the path of removal of the respective specimens. This measurement procedures for retentive force of electroformed outer crown with artificial saliva were repeated in the same way without presence of artificial saliva. Results and Conclus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The retentive force of electroformed outer crown was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ed taper of inner crown(P<.05). 2. The retentive force of electroformed outer crow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urface area and the presence of artificial saliva(P>.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