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walk lighting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횡단보도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기준검토 및 검증 테스트를 통한 보완 기준(안) 연구 (The Study of Complementary Standards to Improve Visibility on Crosswalk throughout Verification Studies after Reviewing Standards)

  • 이미애;이동희;이윤경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8호
    • /
    • pp.14-23
    • /
    • 2014
  •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rosswalk pedestrian accidents, accidents that occur at night represent 70% of all deaths among crosswalk pedestrians when compared to accidents occurring in the daytime. This is due to the poor visibility that hinders drivers to recognize pedestrians at night. Illuminance o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road and the current state of crosswalk lighting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comply with standards. Thus, we analyzed factors derived from lighting environment studies on improving crosswalk visibility, domestic and foreign crosswalk lighting standards, and subsequently proposed solutions which are needed to raise domestic crosswalk lighting standards, and a means to uphold those standards through proper verification.

두 가지 배광을 갖는 LED 횡단보도 조명장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Novel LED Lighting Fixture for Crosswalk Having Two Different Light Distributions)

  • 김형진;이동규;곽준섭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606-611
    • /
    • 2014
  • Recently, LED lighting fixtures for crosswalk become popular in order to recognize the pedestrians at crosswalk, which can enhance the safety of the pedestrian at crosswalk.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related to the LED lighting fixtures for crosswalk, such as a lot of energy consumption due to a constant illumination during night and glaring of pedestrians at the opposite side of crosswalk. In this study,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have investigated a novel LED lighting fixture for crosswalk, which has two modules with different angles ($60^{\circ}$, $120^{\circ}$). Illuminance of min and max at four-line city street crosswalk shown 50 Lux, 125 Lux, respectively. Illuminance of min and max at eight-line city street crosswalk shown 150 Lux, 200 Lux, respectively. Simulation investigation was optimized design using optical program. Prototype was verified measurement by goniometer system.

지방부도로 횡단보도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조명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ighting Environment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Crosswalk in Rural Highway)

  • 이미애;이석기;이동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6-35
    • /
    • 2013
  • According to traffic accidents-related statistics, 57.6 percent of the fatality of vehicle-to-pedestrian accident, occurred on crosswalk in rural highways.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n South Korea is conceiving to reduce in the number of the fatality. This study is to reestablish the criteria of implementing lighting through field experiments and to develop an effective alternative of crosswalk lighting.

지방지역 도로 횡단보도 조명 개선 방안 (Alternative to Improve the Lighting of Crosswalk on Rural Highways)

  • 이석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35-443
    • /
    • 2013
  • 지방부 도로는 도시부 도로에 비하여 교통량은 적은 편이나 주행속도가 높으며 그 차이가 도시부 도로에 비하여 큰 편이다. 이러한 지방부 도로의 주행 특성은 연속조명이 없는 구간에서의 시거불량, 불필요한 신호 대기로 인한 운전자 인내심 자극 및 신호 위반을 조장하여 보행자 사망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횡단보도만 밝게 비추는 기존 조명 방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법과 기술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존 횡단보도 조명의 문제점 및 한계는 너무 밝고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글레어(Glare)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에너지 낭비 및 조명에 의한 통행이 방해되고 있다. 또한 지방지역 횡단보도 야간 교통사고는 주로 50~70세의 고령자에게 발생하였으며 자동차 진입 방향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보행자 이동시 사망자 수가 그 반대의 경우에 비하여 약 2.3배 높았다. 그 이유는 자동차 전조등 조사 범위의 한계로 인하여 보행자 인식 불능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횡단보도 보행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횡단보도 조명설치 현황 및 문제점과 이용자 서면 설문을 통한 횡단보도 조명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보행자 안전을 위한 최적 조명 방향을 설정하였다. 운전자 및 보행자에 대하여 서면 설문을 한 결과, 횡단보도 조명 설치로 인한 야간 시환경 개선일 필요하며 횡단보도 및 보행자 대기 공간까지 비추는 방식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너무 밝지 않고 횡단보도뿐만 아니라 보행자 대기 공간까지 비춰지는 조명환경 구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횡단보도 조명시설의 설치효과에 관한 연구 (An Effect of Lighting Facilities on Crosswalk Accident)

  • 박제진;박주천;하태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33
    • /
    • 2008
  • 야간에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교통사고 방지대책과 구분하여 야간의 특수성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교통사고 방지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횡단보도에서 보행자 교통사고 잦은 지점의 개선을 위하여 설치한 도로조명 개선 시행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집중조명 방식의 가로등에 대한 설치효과 분석 결과, 평균 22.4%의 야간 교통사고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시행효과분석에서 공용기간 내 순현재가치는 25,648백만원, 편익비용비는 12.85로서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집중조명시설 설치 전 후의 교통사고 비교 유의성 검정 결과 유의수준 0.05에서 집중조명시설 설치 후 교통사고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조명시설의 설치시기가 서로 다르며 그 표본의 수가 적어 전국적인 대표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는 없으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한 개선사업의 효과를 구체화 할 수 있는 대안은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특성 및 감소방안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The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Reduction Methods of Elderly Pedestrian in Accordance with the Advent of the Aging Society -Focused on Jeju)

  • 김경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7-20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보행중 교통사고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감소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노인보행자의 사망사고 특성(시간과 장소 별)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노인보행자의 교통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앙에 보행 안전섬을 설치하여 횡단대기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둘째, 횡단보도 방지 가드레일과 잔여시간표시기 설치해야하며, 셋째, 보행자 작동 신호기를 확대 설치하고, 넷째, 야간 조명시설을 설치가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노인보호구역을 지정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안이 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노인을 위한 교통안전정책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지방부 신호교차로 안전성 판단을 위한 사고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Frequency Model for Evaluating Safety at Rural Signalized Intersections)

  • 김응철;이동민;김도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3-63
    • /
    • 2008
  • 일반도로구간에서의 사고발생건수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감소추세를 보이는 반면 교차로에서의 교통사고건수는 현재까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교차로에서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에서의 도로조건, 교통조건, 교통운영상의 조건 등을 분석하여 교차로의 설계 안전성을 저해시키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그 요인들과 사고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지방부 4지 신호교차로의 안전성 판단을 위한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사전에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교차로에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교차로에서의 안전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교차로에서의 사고분석을 위하여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사고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모형들을 이용하여 차대차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명변수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모형분석결과, 포아송회귀분석(Poisson Regression)이 모형개발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좌회전 전용차로, 횡단보도, 제한속도, 조명시설, 교차각, ADT 등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