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pping system

검색결과 558건 처리시간 0.029초

콩 논 재배시 연차별 토양특성 및 생산력변화 (Annul Variation of Soil Properties and Yield of Soybean in Paddy Field)

  • 김민태;서종호;조현숙;성기영;이종기;엄순표;전원태;이장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70-374
    • /
    • 2007
  • 본 연구는 논에서 콩을 연속으로 재배 하였을 때 연차별 토양 특성 및 생산력 변화를 구명하여 식용콩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논-밭 윤환에 따른 토양 물리성은 표토의 기상률은 매년 윤환구에서 17.4%였으나 콩 4년 재배구에서는 21.8%로 증가하였고, 액상률은 29.0%에서 24.5%로 낮아졌으며, 심토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2. 토양 화학성분의 변동은 콩 1년 재배지에 비하여 유기물은 콩 1년 재배지 $21.5g\;kg^{-1}$보다 2년 재배지가 $21.8g\;kg^{-1}$로 약간 높아졌다가 3년부터는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며, 치환성가리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그밖에 무기성분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콩 생육은 콩 $1{\sim}2$년 재배구에 비하여 콩 $3{\sim}4$년 연작구가 경장도 $5{\sim}9cm$ 짧고 분지수도 $0.5{\sim}1.0$개 적었으며, 엽색도도 $3.5{\sim}7$정도 낮았는데 이는 연작기간이 길어질수록 생육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4. 콩 수량은 논밭 윤환시 255 kg/10a에 비하여 2년 연작시 222 kg/10a로 12.9%, 3년 연작시 201 kg/10a로 21% 감수하였으며, 생육시기별 뿌리혹 건물중 및 뿌리혹 착생은 1년 재배지에 비하여 재배 년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Cropping System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in Middle Region of Korea)

  • 박준혁;윤기용;박상수;노진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3-384
    • /
    • 2011
  • 본 실험은 중부지역 작부체계 확립을 위한 유기조사료 생산하여 중부 지방에 적합한 초종을 선별하고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가축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수행되었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결과 밭 토양에서는 밭 토양에서의 건물수량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이 10.9 $ton{\cdot}ha^{-1}$이었고 호밀+레드클로버와 호밀+헤어리베치에서 3.3 $ton{\cdot}ha^{-1}$로 가장 높았으며 호밀 단파구에 대한 상대수량이 높아 혼파효과가 입증되었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이 조단백질(CP) 함량은 6.2%, 상대사료가치(RFV)는 옥수수가 가장 뛰어난 96.6이지만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84.4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호밀+레드클로버에서 TDN(total digestible nutrient) 함량 59.7%로 다른 처리 구보다 높았다. 상대사료가치는 호밀+레드클로버가 83.8로 가장 높았지만 처리 간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밭 토양에서 가축사육능력은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수수${\times}$수단그라스교잡종이 4.27 head/ha/yr로 나타났다. 동계작물에서는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호밀+레드클로버가 1.74 head/ha/yr로 가장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논토양에서 건물수량은 유기볏짚이 3.3 $ton{\cdot}ha^{-1}$이였고 호밀+레드클로버가 4.1 $ton{\cdot}ha^{-1}$로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 논토양에서 유기 볏짚의 조단백질함량은 3.1%였고, 유기볏짚의 TDN 함량은 55%이었다. 호밀+레드클로버에서 TDN 함량은 59.7%로 다른 처리 구보다 높았다. 상대사료가치는 호밀+레드클로버가 83.8로 가장 높았지만 처리 간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논토양에서 가축사육능력은 유기볏짚이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 1.04 head/ha/yr. 호밀+레드클로버의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1.84 head/ha/yr로 가장 높았으나 전 처리 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중부지역의 최적 작부조합은 밭 토양에서 수수${\times}$수단그라스교잡종+(호밀+레드클로버)와 논토양에서는 유기볏짚+(호밀+레드클로버)을 최적의 작부체계라고 판단된다.

남부지역에서 사료용 벼와 동계작물을 연계한 조사료 생산 체계 연구 (Study on the Forage Cropping System Linked to Whole Crop Rice and Winter Crop in Southern Region)

  • 김종근;유창;조국강;김학진;김맹중;김천만;안억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02-209
    • /
    • 2018
  • 본 시험은 남부지역 논에서 사료용 벼와 월동작물은 연계하여 연간 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사료용 벼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된 수원 605호, 영우, 목우 품종을 이용하였으며 월동작물로 호밀(곡우), IRG(그린팜) 그리고 트리티케일(조성)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작물은 표준재배법을 이용하여 재배하였으며 사료용 벼의 수확은 품종별로 출수 약 30일후에 실시하였다. 월동사료작물의 초장은 호밀이 가장 컸으며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함량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가 가장 낮았으며 트리티케일이 평균 29.4%로 가장 높았다. 건물 수량은 호밀이 가장 높았으며 이탈리안라이그라스와 트리티케일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료가치는 파종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초종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호밀은 다른 초종에 비해 CP, IVDMD, TDN 및 RFV 수치가 낮게 나타났다. 사료용 벼 출수기는 수원 605호가 가장 빨랐으며 목우가 가장 늦었다. 건물함량은 목우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건물생산량은 평균 18,484kg/ha로 품종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가치에 있어는 목우의 조단백질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TDN 및 RFV 값은 목우가 가장 높았다. 연간 생산성 평가에 있어서는 호밀-수원 605호가 86,741kg/ha로 가장 높은 생초수량을 나타내었으며 건물수량도 26,515kg/ha로 가장 높았다. 트리티케일과 IRG도 수원 605와의 작부체계시 건물 및 TDN 생산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남부지역에서의 사료용 벼를 이용한 연중 사료작물 생산체계시 수원 605호와 호밀 (곡우) 조합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남부지역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하계 사료작물을 연계한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age Cropping System Using Summer Forage Crops with Italian Ryegrass at Paddy Land of Gangjin Region in South Korea)

  • 정종성;이세영;오미래;박형수;윤아나;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5-41
    • /
    • 2023
  • 본 시험은 남부지역 논에서 IRG를 수확한 후 하계사료작물로 사료용 벼 '영우'와 사료 피 '제주피'를 파종하여 하계사료작물의 이용성을 구명하고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축산연구소 시험포장(강진, 논 조건)에서 2020년 10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수행하였다. IRG 초장은 108-112 cm범위었고 건물수량은 6,783~11,530 kg ha-1로 조사되었다. IRG의 조단백질 함량은 6.0-8.44%, NDF와 ADF 함량은 각각 55.6~60.2%와 32.58~36.7%로 나타났다. 사료용벼의 건물수량은 숙기가 진행될수록 수량(유숙기 14,310 kg ha-1, 황숙기 16,167 kg ha-1, 완숙기 18,891 kg ha-1)은 증가하였으나(p<0.05) 사료가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 피의 건물수량은 숙기가 진행될수록 수량(출수후기 11,194 kg ha-1, 완숙기 14,308 kg ha-1)은 증가하였으나(p<0.05) 사료가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계사료작물인IRG와 하계작물인 사료용 벼 및 사요용 피를 이용한 작부체계에서 총 건물수량은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보는바와 같이 남부지역 논에서 IRG 후작으로 사료용벼가 생산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사료 피도 재배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Silage용 옥수수와 두과작물의 간작에 관한 연구 I. Silage용 옥수수 ( Zea mays L. ) 동부 ( Vigna sinensis King ) 의 간작이 생육특성과 건물 및 유기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Corn-Legume Intercropping System I. Growth charateristics, dry matter and organic matter yield of corn (Zea mays L.)-cowpea (Vigna sinensis King) intercropping)

  • 이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7-54
    • /
    • 1988
  •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per unit area of two cultivation systems of forage, corn (Zea mays L.) monoculture and corn-cowpea (Vigna sinesis King) inter-cropping were compared and obtained follow results. 1. The two cultivation system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ngth of internode with harvesting time. 2. The weight of stalk and leaves of a plant were decreased with maturity, while weight of ear was markedly increased. The patterns of relative ratio of each components was essentially same in each cultivation system. In corn monocrop., the percentages of stalk, leaf and ear at final harvesting stage were 22.9, 13.7 and 63.4, respectively. 3. Dry matter yield per unit area (33kgIlOa) of intercropped corn at yellow stage was similar to that of monocropped corn ( l,482.8kg/ 10a vs 1 ,SO8.9kg/ 10a). At ripe stage, however, the DM yield of intercrop. was higher than that of monocrop. (1,810.4kg/lOa vs 1,660.4 kg/ 1 Oa). 4. The same pattern was observed in organic matter yield.

  • PDF

Net Ecosystem Productivity Determined by Continuous Measurement Using Automatic Sliding Canopy Chamber

  • Kim, Gun-Yeob;Lee, Seul-Bi;Lee, Jong-Sik;Choi, Eun-J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179-1186
    • /
    • 2012
  •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arbon cycle dynamics of an agro-ecosystem, an accurate assessment of seasonal and daily $CO_2$ flux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crop productivity. We developed the automatic sliding canopy chamber (ASCC) system that measured continuous net ecosystem productivity (NEP) over whole growing season under the natural meteorological rhythm. The ASCC was composed of two main parts which were sliding part for measuring NEP, a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hamber (AOCC) for measuring soil respiration (SR) on the soil surface. The ASCC was developed by using open flow method for measuring soil $CO_2$ efflux. The disturbance of natural meteorological condition was minimized by opening the base frames. In the field test with barley (Hordeum vulgare L.), NEP was calculated at $140mg\;CO_2\;m^{-2}h^{-1}$ on a clear day using continuous data and eliminated the possibility of overestimate about 16% using one hour data during the day time. Unlike other small scale chamber system, installation on cropping-field made it possible to take any modifications which might be caused by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

농가생활(農家生活) 및 영농여건변화(營農與件變化)에 관(關)한 사례조사(事例調査) (A Case Study on Changing Conditions of Farm Household Economy)

  • 신용인;강재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65-75
    • /
    • 1990
  • This study is purposed to examine how fanner's living conditions and managements have been improved during the last five years(1985 through 1989)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got from the sample survey of 30 farm households chosen in Galma-ri, Buseok-Myeon, Seosan county, Chungnam province. The followings are major results of the study. (1) There have been much improvement of kitchen facilities and increasing number of cultural goods, but not much in the condition of sanitation facilities. (2) The size of farm warehouse and stall have been greatly enlarged and there has been large variation in the heads of big animals such as cattle during the surveyed period. This may reflect the facts that farm managements become more diversified and commercialized. (3) It is shown that fanners more voluntarily accept new fanning techniques about their concerning crops. Also there have been rapid changes in the pattern of upland cropping system, adjusting to the commercialization of agriculture. (4) Currently, fanners tend to react to the price signal of market system more sensitively than before. Accordingly, agricultural income structure is varied subject to price fluctuation in the short run period.

  • PDF

A New Formulation System for Slow Releasing of Phosphorous Acid in Soil for Controlling Phytophthora Diseases

  • Park, Hae-Jun;Kim, Sung-Ho;Jee, Hyeo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26-30
    • /
    • 2007
  • Phosphorous acid is known to effectively control various Oomycetes diseases. The phosphoric acid moves upward and downward through the xylem and phloem in plants. The sustainable forms of the slow releasing chemical in rhizosphere would be ideal to be up-taken by plants. Therefore, we developed a new system for phosphorous acid formulation using a carrier coated with polysaccharides. When the product was applied in rhizosphere, the adequate amount of phosphorous acid was consistently released up to 4 weeks in rhizosphere soils. While soil drenching with phosphorous acid at 1,000 ${\mu}g/ml$ and metalaxyl at 150 ${\mu}g/ml$ were not effective to control pepper Phytophthora blight for 4 weeks, direct application of our formulation product around basal stem of pepper plants resulted in excellent disease control effect against Phytophthora blight over 4 weeks. The application of 4 g of our product per plant was optimum to control the disease, and 8 g product/plant did not cause phytotoxicity.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applications of the formulation product once or twice during cropping season can control Phytophthora diseases on various crops.

Pest Control System using Deep Learning Image Classification Method

  • Moon, Backsan;Kim, Dae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9-23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layer structure of a pest image classifier model using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background removal image processing algorithm for improving classification accuracy in order to build a smart monitoring system for pine wilt pest control. In this study, we have constructed and trained a CNN classifier model by collecting image data of pine wilt pest mediators, and experimented to verify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model and the effect of the proposed classification algorithm.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successfully detected and preprocessed the region of the object accurately for all the test images, resulting in showing classification accuracy of about 98.91%. This study shows that the layer structure of the proposed CNN classifier model classified the targeted pest image effectively in various environments. In the field test using the Smart Trap for capturing the pine wilt pest mediators, the proposed classification algorithm is effective in the real environment, showing a classification accuracy of 88.25%, which is improved by about 8.12% according to whether the image cropping preprocessing is performed. Ultimately, we will proceed with procedures to apply the techniques and verify the functionality to field tests on various sites.

벼-보리 작부지대(作付地帶) 유기물연용시용법(有機物連用施用法) 연구(硏究) (Studies on Establishment of Application Method of Organic Matter in Rice-Barley Cropping System)

  • 한규흥;나오도 마즈다;노태홍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3-337
    • /
    • 1986
  • 벼-보리 작부시(作付時) 유기물연용(有機物連用) 시용방법(施用方法)을 확립(確立)하기 위(爲)하여 각(各) 작기별(作期別)로 유기물자재(有機物資材) 및 시용량(施用量)을 달리하여 세립회색(細粒灰色) 저지토(低地土)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중(土壤中) 부식함량(腐植含量)과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은 볏짚 환원구(還元區)를 제외(除外)한 모든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에서 증가(增加)되었고 그중(中) 퇴비배량구(堆肥倍量區)가 제일(第一) 높았다. 2) 추출질소(抽出窒素)(지력질소(地力窒素))는 볏짚+보리짚 시용구(施用區)에서 분해과정(分解過程)이 지연(遲延)됨에 따라 수확기(收穫期) 잔존량(殘存量)이 제일(第一) 많았으며 완숙퇴비(完熟堆肥) 시용구(施用區)에서는 오히려 적었다. 3)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수량(收量)은 퇴비배량구(堆肥倍量區)에서 높았고 부식함량(腐植含量), 전질소(全窒素),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수량간(收量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相關)을 나타냈으나 추출질소(抽出窒素)와 전질소(全窒素) 및 수량간(收量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4)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에 의(依)한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 변화(變化)는 인산(燐酸)과 가리(加里)는 각(各)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 C. E. C는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에서 다소(多少) 높았으며 물리성(物理性) 변화(變化)는 거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