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roaker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8초

The diet of three commercial fishes based on stomach contents in the Yellow Sea

  • Heeyong Kim;Wongyu Park;Jung Hwa Cho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10호
    • /
    • pp.628-636
    • /
    • 2023
  • Stomach contents of three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anchovy (Engraulis japonica),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difference of prey between Spring and Fall. Trawl surveys for target fishes were conducted at 12 stations by the RV Tamgu-8 in the Yellow Sea-Korean side in Spring and Fall 2008 as a part of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Global Environment Facility (UNDP/GEF), Yellow Sea Large Marine Ecosystem (YSLME) survey. Stomach contents of 50 individuals of each species were analyzed to species level of prey, if the number of specimens was more than 50 for each species. Fullness and digestion condition of stomach contents were determined by five and six levels, respectively. In anchovy stomachs, 23 species in Spring and 15 species in Fall were identified, respectively. Stomach contents were mostly occupied by copepods and euphausiids, mostly Euphausia spp., calyptopis in Spring while by copepods and amphipods in Fall. In small yellow croaker stomachs, 23 species in Spring and 11 species in Fall were identified. Stomach contents were mostly occupied by copepods and euphausiids in Spring, but by only euphausiids in Fall. Total 368 yellow goosefish (151 in Spring and 217 in Fall) were captured, but stomach contents only in Fall were analyzed. Most of stomach contents were anchovy with small proportion of Hakodate sand shrimp, Tanaka's snailfish, Pacific cod, and miscellaneous things. The present research unveiled that main food items of plankton feeder were distinctly different by species and seasons in the Yellow Sea-Korean side, as coincided with previous reports.

국내산 및 수입산 참조기류 중 황색색소의 이화학적 특성 및 유통저장중의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Yellow Pigments in Domestic and Imported Yellow Croakers and Their Changes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 김희연;권용관;홍영표;안영순;김태운;박희옥;진명식;장해춘;이명렬;신일식;조재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03-81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조기류 성분의 유통저장품의 이화학적 변화와 조기류의 황색색소 및 착색용 황색색소의 이화학적 특성 및 유통저장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각 인공색소의 저장조건에 따른 연구결과 황색색소와 적색색소의 최대흡수 파장을 UV/Vis spectrometer로 측정한 결과 적색색소는 504 nm, 황색색소는 412 nm에서 최대흡수 파장을 나타내었으며, 황색색소는 산성, 중성, 염기성의 조건과 온도변화에 상당히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색색소는 산성과 중성의 조건에서는 온도의 변화에 대해서는 안정하였으나 고온의 염기성 물질에서는 상당히 불안정함을 나타내었다. 황색색소와 적색색소의 인공조명에 의한 영향은 광을 차단하여 보관한 경우 색소의 잔존율에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인공광에 의한 손실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의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고 이에 따라 지방이나 단백질, 회분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참조기와 위화된 조기의 색도변화실험에서 참조기의 색소가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기류들의 색소 용출실험에서 $100^{\circ}C$에서 색소의 용출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보든 위화색소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여 위화조기의 판별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착색 변조된 조기의 육안을 통한 판별실험 결과 위화시 육안 판별이 어렵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동지나해, 황해의 참조기 어장분포와 해황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ceanographic Condition and Fishing Ground Distribution of Yellow Croaker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 양성기;조규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6-34
    • /
    • 1982
  • 동지나해,황해에 있어서 최근 10 개년간($1970\sim1979$) 안강망에 의한 참조기 어획통계자료로부터 어장의 평균분포와 해황과의 관계 및 계절만화를 제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조기의 중요어장은 제주도 서-남서방 $40\sim150$마일 해역의 9개 해구이며, 이 어장에 있어서의 어획양 영동계수는 $0.8\sim2.1$로서 크나, 년 평균어획양의 약 $70\%$가 여기에 집중되고, 그 면적은 어획이 있었던 전어장면적의 겨우 $11\%$에 지나지 않으며, 또 CPUE의 평균(27kg/hau1)이 비교적 컸다. 참조기의 어획양과 CPUE는 비슷한 계절변화를 하며, 주어기는 춘추 양어기가 있으며, 춘계($13\sim5$월)쪽이 추절 ($9\sim10$월)쪽 보다 어획양 및 CPUE가 크다. 어업의 중심은 주년 제주도 서-북서방에 집중하고 있다. 어장의 분산은 동서방향보다 남북방향이 크며, $10^{\circ}C$등온선이 남하하면 작아지고, 북상할 때 커지는 경상을 나타내어 황해저층냉수의 지표인 $10^{\circ}C$ 등온선의 소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 PDF

미토콘드리아 DNA의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을 이용한 보구치(Pennahia argentata) 계통 분석 (Phylogenetic Analysis Using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of Silver Croaker(Pennahia argentata) Mitochondria DNA)

  • 박재원;박기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3권3호
    • /
    • pp.265-274
    • /
    • 2020
  • 보구치는 난류성으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해양 저층에 주로 서식하는 어종이다. 광양만에 서식하는 보구치의 미토콘드리아 DNA에서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유전자를 발굴하고 해양 어류종에서의 계통유전학적인 위치를 분석하였다. 발굴된 미토콘드리아 DNA 내 605 bp COI 시컨스의 다중배열 결과 광양만 보구치들에서는 높은 염기서열 상동성을 확인하였다 (98~100%). 하지만 광양만 내해와 외해의 어획지점에 따라 염기서열 변이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외해지점의 보구치들에서 COI 내 염기서열 변이가 높게 나타났다(43.2~70.3%). 나아가 13종 어류의 COI 계통유전학적 분석결과 광양만 보구치는 타이완에서 보고된 보구치와 하나의 계통군 (clade)으로 묶이고 진화적 거리는 0.036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어(M. miiuy)와 대두이석태(Pennahia Macrocephalus)에 속한 어종과 진화적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0.041~0.048).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산 보구치의 분자 계통유전학적 정보를 제공함으로 연안환경에 따른 어류자원 모니터링 및 종다양성 관리에 주요한 유전적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어육의 배소에 의한 지질산화에 관한 연구 II. 백색육어의 배소 및 재가열에 의한 지질의 산패 (Lipid Oxidation in Roasted Fish Meat II. Rancidity in Roasted and/or Reheated White Musled Fish)

  • 이강호;조호성;이종호;심기환;류홍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14-718
    • /
    • 1997
  • 수산물 열처리과정이나 식생활에서 행해지는 배소, 가열 및 재가열 등 연속적으로 또는 시차를 두고 되풀이되는 가열에 따른 지질산화 경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백색육어인 각시가자미와 조기를 단계적으로 가열처리한 후 지질 산패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산의 경우 각시가자미가 $27.4\%$, 조기가 $33.4\%$였으며 monoene산은 $36.5\%$$38.7\%$였다. 또한 polyene산에서는 각시가자미가 $34.5\%$인 반면 조기는 $26.5\%$였다. 각시가자미와 조기의 불포화지방산대 포화지방산 (UFA/SFA)의 비는 2.6과 2.0이였으며, 총지질함량은 $1.4\%$$0.8\%$였다. 과산화물가는 각시가자미의 경우 배소 후 과산화물가가 증가하였으나, 가열 후부터 감소하였다. 조기의 경우는 배소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물이 가열 후 분해되어 감소하였으나 재가열 후에는 다시 증가하였다. 따라서 초기산화의 진행은 총지질 함량과 polyene산의 조성비에 따라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TBA가는 배소 및 가열 후 증가하였으나 재가열 후 크게 감소하였다. 배소, 가열 및 재가열 후 유리지방산의 생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은 각시가자미가 조기보다 생성된 유리지방산이 많았다. 공역이중결합은 배소처리 후에는 온도에 따른 산화양상은 그다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가열, 재가열처리에 의해 초기 산화가 상당히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자연산 암컷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의 생식년주기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Wild Femal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 강덕영;조기채;이진호;강희웅;김효찬;김규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8-196
    • /
    • 2006
  • 한국산 참조기 암컷의 연중 생식주기를 조사하기 위해, 2004년 2월부터 2005년 2월까지 계절에 따라 추자도, 영광 및 목포에서 포획된 자연산 암컷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참조기의 난소는 좌우비대칭의 낭상형으로 복강 배측(背側)후방부에 위치하며, 복강의 가장자리 뒤끝 부위에서 합일되어 뇨관과 연결되어 비뇨생식공으로 개구되어 있는 형태였다. 생체지수의 경우, 비만도(CF)와 간중량지수(HSI)는 생식선 발달과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대신 내장중량지수(VSI)는 역상관 관계, 생식소중량지수(GSI)는 정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생식세포 월별 변화의 조사를 통해 참조기는 수온이 낮아지기 시작하는 9월부터 생식소내 난원세포가 난모세포로 발달하기 시작하여 1차 성장기를 나타내고, 10월$\sim$12월에 2차 성장기를 보냈다. 다음해 1월$\sim$4월에 난소는 본격적으로 성숙을 시작하여, 5월에 최종 성숙, 배란 및 산란 단계를 나타내었다. 이후 6월까지 참조기는 왕성한 산란 시기에 머물러 있었으며, 7월에 이르러 산란 후 잔존 난모세포를 퇴화, 흡수시키고 8월에 이르러 휴지기에 접어들었다. 이때 생식세포발달 양식은 난군동기발달형이며, 산란형은 봄-여름 산란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남해 참조기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the South Sea of Korea)

  • 김영혜;이선길;이재봉;이동우;김영섭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4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어종 중의 하나인 참조기의 이석을 이용하여 최근 어획되는 참조기의 연령과 성장을 추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참조기의 이석은 제주도 근해에서 쌍끌이기선저인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것으로 2002년 3월부터 12월 자료와 2005년 1, 2월 자료이다. 사용된 개체수는 1,175미였고, 연령사정에 이용된 개체수는 506미였다. 체장의 범위는 16.3~26.9 cm였으며, 연령은 수컷이 7세, 암컷이 8세까지 나타났다. 참조기의 전중 (Body Weight)와 체장 (Total Length)의 관계는 $BW=0.0044TL^{3.2502}$ ($R^2=0.97$)이었고, 암 수별로 체장에 대한 전중의 차이가 있었다(P<0.05). 참조기의 연령에 대한 체장 자료의 오차구조를 확인한 결과 합의 오차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참조기의 성장식은 von Bertalanffy model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비직선회귀 (non-linear regression)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참조기의 성장식은 TL=33.88 ($1-e^{-0.20\;(t+2.39)}$ ($R^2=0.77$)이었다. 암 수간의 연령에 대한 체장의 상대성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발돌재질에 따른 참조기유자망의 수중거동특성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sinkers of the yellow croaker drift gill net in the field)

  • 강경범;김석종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1호
    • /
    • pp.10-19
    • /
    • 2010
  • As a series of studies about improvement of yellow croaker drift gill net fishing gear and development of the labor saving fishing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fishing gear, which does use three types of different sinker materials in the field tests. The result of maritime performance test indicated that the fishing gear which used the lead reached the maximum depth and bio ceramics hauled to the surface of water the fast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nking time (St) and depth (Dsl, Dsc, Dsb) of maritime performance test can be shown such experimental equations as Dsl=2.70St - 0.75, Dsc = 2.38St - 1.15, Dsb = 1.77St - 4.00.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uling time (Ht) and depth (Dhl, Dhc, Dhb) of maritime performance test can be shown such experimental equations as and Dhl = 7.88Ht + 35.48, Dhc = 7.80Ht + 40.01, Dhb = 7.95Ht + 36.44.

Pharmacokinetic Study of Florfenicol in Healthy and Vibriosis-infected Pseudosciaena crocea after Oral Administration

  • Wang, Li;Han, Yan-nan;Jin, Shan;Ma, Yin;Wang, Guo-liang;Zhao, Qing-song;Chen, Yin-er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4호
    • /
    • pp.363-368
    • /
    • 2015
  • The pharmacokinetics of florfenicol were studied in healthy and vibriosis-infected large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crocea) following administration of a single oral dose of $20mg{\cdot}kg^{-1}$ at $25{\pm}2^{\circ}C$. After oral administration, florfenicol levels in tissues (liver, kidney, muscle, serum, and skin) were analyz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 two-compartment open model was used to describe the pharmacokinetics of florfenicol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Compared to the healthy group, the absorption rate of vibriosis-infected fish significantly decreased, peak-time ($T_{max}$) delayed, maximum concentration ($C_{max}$) declined, total body clearance decreased, the elimination half-life ($T_{1/2{\beta}}$) was extended,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20mg{\cdot}kg^{-1}$ oral dose of florfenicol administered once daily continuously for 4 or 5 days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Vibrio alginolyticus infection in large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crocea).

황해저층냉수에 따른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어황의 변화와 예측 가능성 (Predicting Changes in Fishing Conditions for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based on Expansions of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 임유나;김희용;김대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19-423
    • /
    • 2014
  • We consider changes in the fishing ground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discuss their utility in predicting fishing conditions for this species. The fishing ground, which having been formed around Jeju Island since the 1970s, is dominated by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YSBCW), and variation in its southward expansion from the Yellow Sea is the single most key environmental factor affecting the L. polyactis catch. When the YSBCW showed strong expansion and the fishing ground shifted to the west and southwest of Jeju Island, as occurred in the late 1980s, late 1990s, and early 2000s, the L. polyactis catch was low; conversely, when expansion was weak, as in the early 1990s and late 2000s, the L. polyactis catch was high. This relation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hould be useful in predicting fishing conditions for L. polyac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