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teria for the Fertilizer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3초

A Study on Soil Suitability Criteria for Adzuki Bean

  • Cho, Hyun-Jun;Hyun, Byung-Keun;Sonn, Yeon-Kyu;Hur, Seung-Oh;Shin, Kook-Si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12-417
    • /
    • 2014
  • Soil properties and yields of red been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soil suitability of Korean adzuki bean at 166 farms in Korea. The soil morphological and phys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1:5,000 scale average yield of 2~3 years. The impact factors to the adzuki bean yields and soil properties were selected based on standard error of each factor. The yields of adzuki bean showed the greatest values when the morphology was alluvial plains, the drainage was well or moderately well, the slope was 2~7%, the texture was fine loamy, the gravel content was less than 15% and the available soil depth was more than 100 cm. Contribution factors of soil properties to the yields were 0.18 of morphology, 0.18 of drainage level, 0.23 of slope, 0.20 of texture, 0.11 of gravel content and 0.10 of available soil depth, respectively. Soil suitability levels were set as the best suitable land if score was greater than 90, suitable land if score ranged from 89 to 85, the possible land if the score ranged from 79 to 84 and low productive land if score was less than 78. According to the criteria 37.5% of the production area was the best suitable land, 29.4% was suitable land, 22.3% was possible land and 10.8% was low productive land. The best and suitable lands were total of 66.9% in Gyeongju, Gyeosangbuk-do.

Analysis of land use change for advancing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using land cover map: focus on Sejong City

  • Park, Seong-Jin;Lee, Chul-Woo;Kim, Seong-Heon;Oh, Taek-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4호
    • /
    • pp.933-940
    • /
    • 2020
  • Land-use change matrix data is important for calculating the LULUCF (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sector of the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In this study, land cover changes in 2004 and 2019 were compared using the Wall-to-Wall technique with a land cover map of Sejong City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City was classified into six land use classes according to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guidelines: Forest land, crop land, grassland, wetland, settlement and other land.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land cover maps of 2004 and 2019 were harmonized and the land use was reclassified. The results indicate that during the 15 years from 2004 to 2019 forestlands and croplands decreased from 50.4% (234.2 ㎢) and 34.6% (161.0 ㎢) to 43.4% (201.7 ㎢) and 20.7% (96.2 ㎢), respectively, while Settlement and Other land area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8.9% (41.1 ㎢) and 1.4% (6.9 ㎢) to 35.6% (119.0 ㎢) and 6.5% (30.3 ㎢). 79.㎢ of cropland area (96.2 ㎢) in 2019 was maintained as cropland, and 8.8 ㎢, 1.7 ㎢, 0.5 ㎢, 5.4 ㎢, and 0.4 ㎢ were converted from forestland, grassland, wetland, and settlement, respectively. This research, however, is subject to several limitations. The uncertainty of the land use change matrix when using the wall-to-wall technique depends on the accuracy of the utilized land cover map. Also, the land cover maps have different resolutions and different classification criteria for each production period. Despite these limitations, creating a land use change matrix using the Wall-to-Wall technique with a Land cover map has great advantages of saving time and money.

토양질소(土壤窒素)의 유효도(有效度) 검정방법(檢定方法)에 의한 황색종연초(黃色種煙草)의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 추정(推定) (Prediction of Optimum Fertilizer Rate for Flue-Cured Tobacco by Nitrogen Availability in Soils)

  • 정훈채;조성진;홍순달;이윤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9-176
    • /
    • 1985
  • 토양질소(土壤窒素)의 공급능력(供給能力)(유효도(有效度)) 검정방법(檢定方法)에 의한 밭토양의 비옥도(肥沃度) 평가(評價) 및 황색종연초(黃色種煙草)의 정적시비량(定適施肥量)을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1982~1983년(年)에 23개소(個所)의 재배전(栽培前) 공시토양(供試土壤) 시료(試料)를 재료(材料)로 몇가지 토양검정치(土壤檢定値)에 의한 실내실험(室內實驗)과 이미 얻어진 무비구(無肥區) 건엽중(乾葉重)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검토(檢討)하였다. 토양(土壤)의 유효태질소(有效態窒素) 검정방법(檢定方法)으로서 본연구(本硏究)에서 사용(使用)된 a) 2주(週), b) 4주(週)동안의 항온(恒溫) 항습처리(恒濕處理)로 무기화(無機化)된 $NO_3-N$값, c) 0.01M-$NaHCO_3$ 침출물(浸出物)의 자외선(紫外線)(260nm) 흡광도(吸光度)값과 d) 동침출액(同浸出液)의 산분해(酸分解) 질소(窒素)값, e) 0.01M-$CaCl_2$ 용액(溶液)으로 자비(煮沸)하여 침출(浸出)한 질소(窒素)값과 f) 동용액(同溶液)으로 고온가압(高溫加壓) 침출(浸出)한 질소(窒素)값등의 모든 검정방법(檢定方法)이 무비구(無肥區)에서의 건엽중(乾葉中) 및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었다. 따라서 유효태질소(有效態窒素) 토양검정결과(土壤檢定結果)로서 황색종연초(黃色種煙草)의 무비구(無肥區) 건엽중(乾葉中)의 추정(推定)은 물론,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 등급구분(等級區分) 및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 추천범위(推薦範圍)의 산출(算出)도 가능(可能)하였다.

  • PDF

제주 서부지역 양돈장에서 생산된 돈분액비의 비료성분과 그 성분간 상관관계 (Determination of Nutrient Contents of Liquid Pig Manure and the Correlation of Components as Fertilizer in Western JeJu Area)

  • 송상택;김문철;황경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24
    • /
    • 2006
  • 본 연구는 제주도의 서부지역 돼지사육농가에서 생산되고 있는 돈분액비의 비료가치 및 전기전도도나 건물함량과 성분간 상관관계를 구하여 간편한 비료가치 구명방법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돈분액비의 시료는 118개 농가에서 수집되었고 건물수준을 기준으로 4개의 형태로 분류하였다. 전기전도도 (EC), 건물함량(DM), 암모니아성질소$(NH_4-N)$과 여러 가지 무기물을 분석하였고 이들 성분간에 상관성이 조사되었다. 118개 양돈농가 중 92개 농가는 액비의 건물함량이 3% 미만이었으며, $3{\sim}6%$가 18농가, $6{\sim}9%$ 미만이 5개 농가였고 나머지 3개 농가는 9%이상의 건물함량을 보여 대부분의 돈분액비는 낮은 건물함량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액비 중 건물함량은 EC, $NH_4-N$, T-P, Ca, Mg, Na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p<0.01), 또한 전기전도도(EC)도 Mg을 제외한 모든 성분간의 유의성을 보였다. 따라서 건물함량과 전기전도도는 액비의 양분함량의 평가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 하였다.

인체 위해성평가 모델을 이용한 폐광산 주변 농경지 적합성 평가 (Suitability Assessment for Agriculture of Soils Adjacent to Abandoned Mining Areas Using Different Human Risk Assessment Models)

  • 이준수;김영남;김계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74-6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폐광산 주변 농경지 용도의 경작 적합성을 판단하고자 토양의 위해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인 한국, 미국 및 영국의 위해성평가를 이용하였다. 예비위해성평가를 통하여 선택한 DM, MG 및 KS광산을 위해성평가 대상 지역으로 선택하여 토양 및 농작물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후 토양과 농작물 시료 중 중금속 분석을 통하여 위해성 평가 및 농경지 적합성 판단을 위한 변수를 확보하였다. 토양 중 중금속 분석결과, 환경부 보고서에 수록된 수치보다 토양 중 중금속의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대상 광산지역 모두에서 토양 중 Cd의 함량이 토양 환경보전법의 1 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3와 S6지역은 As함량이 각각 1 지역의 대책기준과 우려기준을 초과하였다. 농작물 내 중금속 농도는 작물의 중금속 한계 농도를 근거로 DM광산주변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추, 콩, 옥수수에서 Zn의 경우에만 오염식물의 범위로 판단되었으며, 이 외의 중금속 함량은 Kabata-pendias and Pendias의 일반적으로 오염되지 않은 식물의 배경농도 범위에 비교하여 안전한 수준을 보였다. 위해성평가 결과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의 위해 성평가 모델의 경우, MG광산과 KS광산에서 농작물 내 Pb에 의한 인체 위해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었고, 영국의 모델에서는 조사 전 지역에서 농작물의 Pb에 의한 독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후 위해성평가 모델을 통한 토양 중 중금속의 오염기준을 한국의 정화목표치과 영국의 토양지침값으로 도출하고, 현재 토양 중 중금속 농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현재 토양 중 중금속의 농도가 영국의 토양지침값을 초과하여 MG광산, DM광산 및 KS광산지역에서 농경지 용도로 토지를 사용하는 데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고, 오염물질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Chronological Role of the Soil Research in Korea - Analysis of Research Reports on Soil from 1906 to 2012 -

  • Yun, Sun-Gang;Kwon, Soon-Ik;Hong, Seung-Chang;Kim, Min-Kyeong;Chae, Mi-Jin;Park, Chan-Won;Jung, Goo-Bo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03-307
    • /
    • 2013
  • Research reports on soil during the years from 1906 to 2012 have been analyzed to understand the role and pattern of soil research in agriculture. The number of research reports in relation with the key word of soils were 2,211 cases and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of research area,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place of report papers. During the 40 years from 1906 to 1946, research work on soil chemistry was reached 62%, highest in the research area. In the case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reports on soil fertility and soil nutrients was highest as 42.2%, and the next subject on soil salt and desalinization was about 19.5%. Research places were in the order of paddy as 34.1%, upland as 23.7%, and reclaimed soil as 22.5%. From 1953 to 2012 during 60 years, in the research area report papers were mainly concentrated on chemistry area as 32% and the next was physics as 26%, and environment as 12%. In the case of research subject during the same period, nutrient management report was reached 21.1%, and soil improvement on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for optimum crop growth was 11.9%. Soil survey and data base establishment report was 8.6%. Research place were in the order of upland as 34.9%, paddy as 25.7%, and vinyl house as 12.5%, which showed reversed pattern compared to that of before 40 years.

포장대맥(圃場大麥)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양분농도(養分濃度)와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 (Relation between yield and nutrient contents at various growth stages of hulled barley in fields)

  • 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45
    • /
    • 1976
  • 농가포장(農家圃場)에 실시(實施)한 대맥(大麥) 삼요소(三要素) 시험(試驗)(1967/68)지(地)를 대상(對象)으로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N.P.K.Ca.Mg 농도(濃度), NPK와 수량(收量)과의 상관(相關) 및 NPK 이용율(利用率)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농도(濃度)의 변화량(變化量)으로 보아 N와 K가 유이(類似)하고 P, Mg, Ca가 유이(類似)하였다. 2. 수량(收量)은 해빙직후(解氷直後) N농도(濃度)와 가장 유의성(有意性)이 깊고 북부(北部) 즉(卽) 강원(江原)과 충남(忠南)에서는 동결직전(凍結直前)의 P및 N농도(濃度)와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기타(其他)의 시기(時期)는 P, K에서 부(負)의 관련경향(關聯傾向)을 보였는데 K에서 더욱 그러했다. 3. 시비량(施肥量)이 증가(增加)할수록 N.P.K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은 초기(初期)일수록 뚜렷하고 N에서 더욱 뚜렷하며 P와 K가 생육후기(生育後期)에 상대적(相對的)으로 많은 반면 N가 적은 것을 잘 보였으며 N와 K간(間)의 길항관계(拮抗關係)도 잘 보였다. 4. 이용율(利用率)은 N(55)>K(27)>P(12)의 순(順)이었으며 N이용율(利用率)은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다. 5. 수량(收量)과 관련(關聯)된 영양진단(營養診斷)은 해빙직후(解氷直後) 또는 직전(直前)이 가장 좋을 것으로 나타났고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영양(營養) 기준(基準)을 제시(提示)하였다.

  • PDF

국내육성 주요 딸기 품종에서 발생하는 붕소 과잉 증상 및 영양진단을 위한 식물체 내 한계농도 (Characterization of Toxicity Symptom and Determination of Tissue Threshold Levels of Boron for Diagnostic Criteria in Domestically Bred Strawberries)

  • 최종명;남민호;김대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144-151
    • /
    • 2012
  • 미량원소인 붕소(B)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한 관비용액으로 '금향', '매향' 및 '설향' 딸기를 재배하면서 시비수준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 생육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의 한계농도, 그리고 B 과잉시비로 유발되는 생리장해의 특징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0.25mM B 시비구에서 세 종류 딸기 품종의 생체중 및 건물 중이 가장 무거웠고 관부직경도 가장 굵었지만 B 시비농도가 높아짐에 지상부 생장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B가 과다하게 시비되면 신생엽에서는 황화현상, 중간에 위치한 잎들에서는 잎 가장자리의 갈변 및 괴사현상, 그리고 하위엽들이 괴사하면서 안쪽으로 말리는 증상이 나타났다. 하위엽에서 나타나는 증상은 '금향'의 경우 2mM 이상의 처리구, '매향'과 '설향'은 0.5mM 이상의 시비구에서 잎 선단부의 갈변 및 괴사, 그리고 잎 내부에 갈변 및 괴사현상이 나타났다. B 시비농도가 증가하여도 다량원소중 양이온인 K, Ca 및 Mg 함량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음이온인 인산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B 시비농도가 증가할 때 '금향'과 '설향' 딸기에서 Fe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Zn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물중에 기초한 지상부 생장량의 90%와 이 때의 B 함량을 정상생육을 위한 최대한계점으로 간주할 때 '금향', '매향' 및 '설향' 딸기에서 식물체내 B 함량이 각각 25.1, 44.2 및 $62.5mg{\cdot}kg^{-1}$ 이하를 유지하도록 B 시비농도를 조절하여야 과잉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초지조성방법에 따른 작업항목의 재설정 및 초지조성단가 추정 (Redeveloped Work Criteria and Cost Unit in Grassland Establishment)

  • 윤병구;김지융;김병완;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2-40
    • /
    • 2022
  • 본 연구는 초지조성방법과 작업항목을 재설정하고 이에 따른 비용 추정을 통하여 적정 초지조성단가를 산출하였다. 초지조성방법은 경운조성(전체벌목)과 불경운조성(전체벌목과 부분벌목)으로 구분하였다. 초지조성방법별 작업항목에 대한 비용은 인허가와 조성작업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인허가 비용은 환경영향평가(소규모환경영향평가), 재해영향평가, 측량, 산림조사 및 산지전용협의에서, 조성작업 비용은 벌채, 벌개제근, 파종, 비료, 가축분뇨퇴비, 목초종자, 제초제, 인건비(비료, 종자, 제초제 등 살포) 진압, 목도 및 목책에서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적정 초지조성단가는 경운조성이 115,894,212원, 불경운조성의 전체벌목과 부분벌목(임간조성)이 각각 110,281,572원과 106,680,122원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초지조성방법, 작업항목 및 이에 따른 초지조성단가 추정은 정부지원사업을 수행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cision of Available Soil Depth Based on Physical and Hydraulic Properties of Soils for Landscape Vegetation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Jung, Yeong-Sang;Lee, Hyun-Il;Jung, Mun-Ho;Lee, Jeong-Ho;Kim, Jeong-Tae;Yang, Jae 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22-527
    • /
    • 2015
  • Decision of available soil depth based on soil physical and hydraulic properties for the $3^{rd}$ Landscape Vegetation Project in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as attempted. Th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8 sites at different depths, 0-20 and 20-60cm, for the three project fields, A, B, and C area.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organic matter conten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analyzed. Hydr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bulk density and water holding capacity at different water potential, -6 kPa, -10 kPa, -33 kPa, and -1500 kPa were calculated by SPAW model of Saxton and Rawls (2006), and air entry value was calculated by Campbell model (1985). Based on physical and hydrological limitation, feasibility and design criteria of soil depth for vegetation and landfill were recommended. Since the soil salinity of the soil in area A area was $19.18dS\;m^{-1}$ in top soil and $22.27dS\;m^{-1}$ in deep soil, respectively, landscape vegetation without amendment would not be possible on this area. Available soil depth required for vegetation was 2.51 m that would secure root zone water holding capacity, capillary fringe, and porosity. Available soil depth required for landscape vegetation of the B area soil was 1.51 m including capillary fringe 0.14 m and available depth for 10% porosity 1.35 m. The soils in this area were feasible for landscape vegetation. The soil in area C was feasible for bottom fill purpose only due to low water holding cap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