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sis response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21초

식품산업체의 위기관리 조직 및 위기대응 절차 (Organization of Crisis Response Teams and Operating Procedures for Crisis Response Activities in the Food Industry)

  • 김종규;김중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1-202
    • /
    • 2015
  • Objectives: Promotion of food safety/eradicating adulterated food has been listed as one of the four major issues recently identified for action by the Korean government. Due to the related seriousness, the food industry has been encouraged to take steps to restore consumer confidence. In order to set guidelines for the creation of manuals for the response to a food safety crisis by the food industry, this study provided a suggested organization for a crisis response team and operating procedures for crisis response activities. Methods: The prototypes of a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a set of standard procedures for a crisis response system were provid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a crisis response team should be comprised of four divisions of responsibility: information analysis, site response, communication and operational support. The organization chart and the role and functions for each division of the crisis response team should be indicated. Response activities will be more effective when the team features multi-disciplined staffing, such as public relations, food safety/technology/quality, sales/marketing, purchasing, production, distribution/logistics, regulatory affairs/legal, and consumer service specialists. This study created a flow chart for the total crisis response system, which included crisis and normal situations. A crisis response team should be continuously operated for both crisis and normal conditions. This study also suggested a scenario to explain the procedures for crisis response activities. Conclusion: In order to cope more effectively with a food safety crisi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its functions should be defined clearly, and a detailed set of standard procedures for response activities should be offered.

IT Manager Behavior in Crisis Response: Understanding Crisis Cases Using Recommendations from the Crisis Management Literature

  • Tommi Tapanainen;Olivier Lisein;Ryuichi Hosoya;Taro Kamioka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9권1호
    • /
    • pp.144-164
    • /
    • 2019
  • In their role as stewards of organiz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IT), IT managers participate in crisis management activities. While much has been said about the power of technology in improving preparation for emergencies, the behavior of IT managers in crisis situations is not well understood. This paper addresses IT manager actions during the crisis response effort, when appropriate actions need to be taken at short notice. Recognizing that few guidelines exist for IT managers in these situations, we use recommendations from the crisis management literature in analyzing five earthquake cases from Japan and Taiwan. We identify several recommendations from this set for IT managers, which are related mainly to communications and leadership behaviors, suggesting that the IT manager role is a vital one in crisis response. The research additionally shows that recommendations from the crisis management literature have value also when applied to IT managers. Finally, we conclude on several ways that our understanding of IT manager crisis response could be developed by future research.

기업의 위기대응전략에 대한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반응 연구 (A Study of Social Media User Response about Firms' Crisis Response Strategies)

  • 김보라;김우희;정윤혁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7-39
    • /
    • 2017
  • 기업은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 제품의 홍보와 고객관리를 위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나아가 기업의 위기상황에 대한 실시간 대응 채널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은 확장되고 있다. 특히, 기업의 예상치 못한 위기상황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전파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기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위기대응은 효과적이다. 이러한 대응은 소비자의 기업의 이미지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는 기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대응 사례를 태도(수용적 vs. 방어적)와 속도(빠른 대응 vs. 느린 대응)로 구분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위기 관련 트위터 버즈의 지속기간을 분석하였다. 12개의 기업 위기 대응 사례에 대한 트워터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기업의 위기대응 전략 수립 및 위기별 대응전략 수립에 기본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식품 및 의료제품 위기 대응역량 향상을 위한 연구 (A study on Improve the Response Capability during the Crisis of Food and Medical Products)

  • 위금숙;황요한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7-3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 및 의료제품의 위기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무원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위기대응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식품 및 의료제품 위기발생시 필요한 대응활동과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식의약 관련 위기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 Emergency, Crisis 등과 관련된 역량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및 자료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위기 시 대응역량을 '위기 시 조치사항을 신속하게 수행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식약처 위기매뉴얼을 분석하여 조치사항을 도출하였다. 조치사항을 명확히 도출하는 것은 교육훈련 및 연습과 평가 환류의 기준이 되어 직접적이면서도 실질적인 역량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의 위기대응전략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위기 유형과 기업의 공익연계 마케팅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Crisis Response Strategy on Brand Attitude - Focus on the Crisis Type and Cause Related Marketing -)

  • 설상철;정성광;최우영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251-276
    • /
    • 2015
  •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이러한 모든 기업들은 위기로부터 자유롭지 못한다. 이와 더불어 위기에 대한 대처의 부족으로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 또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위기상황에서 기업이 수행하는 위기대응전략(방어적vs수용적)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에 대해 살펴 보았다. 또한 기업이 실시하는 위기대응전략과 기업의 위기 유형(역량 차원vs사회적 책임 차원)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이와 더불어 기업이 위기상황을 맞기 전에 실시하는 공익연계 마케팅의 메시지 유형(추상적vs구체적)과 위기상황 이후에 실시하는 위기대응전략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역시 살펴 보았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공익연계 마케팅에 대한 관여도를 공변량으로 통제한 후에도 같은 결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대응전략에 따라 기업의 위기대응은 방어적 전략보다 수용적 전략의 자세를 갖추는 것이 소비자의 태도에 더욱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위기대응전략과 기업의 위기 유형간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위기대응전략은 공익연계 마케팅 메시지 유형간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여도는 공변량으로서 유의한 효과를 드러냈으며 관여도를 통제한 후에도 기업의 위기대응전략, 기업의 위기 유형, 공익연계 마케팅 메시지 유형간에도 상호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결과로 인한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에 대하여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위기 유형별 위기 대응 커뮤니케이션 전략 실태 연구 : 기업 사과문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according to Type of Crisis in Korea)

  • 민지선;최성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471-482
    • /
    • 2015
  • 기업의 위기 관리에 관한 주요 PR 이론 중 하나인 상황적 위기커뮤니케이션 이론에서는 위기 유형에 적합한 위기 관리 대응 전략을 사용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주로 기업의 책임이 높은 경우에는 순응적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기업의 책임이 낮은 경우에는 대응적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본다. 그런데 이러한 이론이 한국에서도 실제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기업이 위기 관리 유형에 따라 차별화되는 위기 대응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2년부터 2015년 봄까지 언론 등에 발표된 사과문 224개를 분석한 결과, 한국에서는 일단 모든 경우에 사과, 개선 등 순응적 전략이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적으로,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에서 제시하는 위기별 대응 전략과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위기별 실제 대응 전략 간에는 차별성이 존재했다. 한국에서는 기업의 책임 여부에 상관없이 사과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응 전략이었으며, 회사 대표가 전면으로 나서는 경우도 위기 유형별로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론은 한국에서의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적용과 이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정치적 위기에 대한 정당들의 위기대응 메시지와 뉴스보도와의 차이 (The Difference between News Coverage and News Release of Political Parties During A Political Crisis)

  • 조승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47-5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치적 위기 상황에서 위기대응에 대한 언론보도와 정당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과거 정치적 사례를 통해 정치적 상황, 정치적 집단의 위기대응, 언론보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 살펴본 사례는 16대 대통령 선거운동에서 불법 선거자금 모금과 관련해서 두 정당(새천년민주당 vs. 한나라당)의 대응이다. 두 정당은 그들의 이미지 회복을 위한 위기대응 전략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위기대응메시지와 언론보도 메시지의 차이를 내용분석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정 정당의 위기대응 메시지와 뉴스미디어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른 정당의 경우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뉴스보도와 정당의 메시지 일치 여부는 공중의 위기평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위기커뮤니케이션에서 조직의 위기대응 메시지와 뉴스미디어의 보도 차이의 중요성을 다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위기 유형에 따른 위기 대응 커뮤니케이션 전략 및 역할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and PR Team's Role according to Type of Crisis)

  • 민지선;최성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98-409
    • /
    • 2017
  • 기업의 위기 관리와 관련된 상황적 위기커뮤니케이션 이론에서는 위기 유형별로 서로 다른 전략이 사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기업의 책임이 높은 경우에는 사과, 개선 방안 제시 등 순응적 전략을 사용하고, 기업의 책임이 낮은 경우에는 공격, 부인 등 대응적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서 실제 홍보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위기 유형별로 사용하는 위기관리 전략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홍보 담당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실제 기업의 위기 유형별로 위기관리 전략에 차이가 존재 하였다. 기업의 책임이 없는 경우에는 부인 및 공격적 대응 전략이 상대적으로 선호되었고, 기업의 책임이 있는 경우에는 사과 및 개선 전략이 상대적으로 우세하였다. 또한 위기 유형별로 기업 내에서 홍보팀의 역할도 차이가 존재했다. 위기 수준이 높을수록 홍보팀의 역할이 증대되기는 하지만, 의사결정 권한은 약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론은 한국에서 위기 관리 전략의 실태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위기대응 전략으로서 정체성 프레이밍 효과 (The Effect of Identification Framing as Crisis Response Strategy)

  • 조승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27-33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위기커뮤니케이션 주로 다뤄진 규범적 이론을 넘어서 상이한 위기유형에 대응할 수 있는 프레이밍 전략으로 정체성 프레이밍을 소개하고 이에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정체성 프레이밍은 포괄적이며 조직정체성을 위한 전략적 메시지이며 이것은 사회적 정체성과 유사하다. 본 연구는 정체성 프레이밍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디자인을 통해 위기유형, 위기대응, 프레이밍 효과를 조작화 하였다. 위기유형은 내부적인 요인에 발생한 위기와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 요인으로 조작화 하였고, 위기대응은 사과와 부정으로, 마지막으로 정체성프레임 유무를 통해 $2{\times}2{\times}2$ 요인설계 되었다. 총 242명의 대학생이 이 실험에 참여했으며, 주요한 연구결과는 정체성 프레이밍 위기 유형과 위기대응 전략에 상관없이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팀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A Review and Its Implications on School-based Crisis Response Team in the U.S.)

  • 이동훈;정보영;강은진;명소연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2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미국 학교위기대응체계 및 학교기반 위기대응팀과 위기개입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국내의 학교기반 위기대응체계 구축 및 개선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과 한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체계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미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은 학교기반 위기대응을 위한 기구와 재정이 법으로 명시되어있어서, 위기발생시 지역, 구, 학교의 역할과 책임소재가 명확하고, 단일한 위기관리 명령체계 구축으로 인한 혼선을 방지한다. 둘째, 학교위기사건 발생 시 학교는 사건지휘체계에 따라 전문위기대응에 관한 역할이 분담되고 위기대응팀과의 협력을 통해 사회 각 영역 간에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조정한다. 셋째, 위기대응팀은 위기사건에 지치거나 압도당하지 않도록 팀 구성에 유연성을 발휘하면서 소진을 예방하고 있으며, 학교와 위기대응팀의 협력을 통해 학교자체의 위기역량강화에 초점을 둔다. 넷째, 미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팀은 예방단계에서 장기화된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위기개입을 실시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학교기반 위기대응체계의 구축 및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