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dibility of the Government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1초

유기식품 시장의 확대를 위한 소비자 기대 충족 요건 (Requirements for Meeting Consumer Expectations to Expand the Market for Organic Products)

  • 피어슨 데이비드;정만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91-502
    • /
    • 2012
  • The world's food production systems are becoming an area of great concern for both human and ecological health. Research has identified that one of the greatest threats to sustainability is conventional industrial agricultural systems and the high energy and material cost they require to function. The organic food movement is contributing as promising alternative to the current dominant model. Over the last 50 years it has developed into the most visible brand for a healthier and mor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food system. However, to achieve its full potential there are still a number of hurdles which must be overcome to make organic products a more viable and appealing option for consumer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key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on why consumers are buying organic products, what they are buying and what is preventing them from purchasing more. It concludes that the key challenge is for the organic food movement to convince existing consumers of the superior 'value' of its products. In addition there are a number of methodological issues associated with analysing the market for organic products as well as issues of limited distribution, intermittent availability and high prices that are currently preventing increases in sales.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these barriers could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targeted research into consumer food purchasing motivations and subsequently the development of more sophisticated marketing strategies that assist in maintaining integrity with consumers and fending off challenges from conventional as well as other complementary food systems such as local food movement. And finally to achieve these market growth strategies the organic food movement will need to cope with its diverse constituency - ranging from global corporates through to loc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 and provide attractive opportunities to individuals and business at all stages in supply chain whilst retaining credibility with government to ensure ongoing policy support.

EVMS 최종공사비 예측 모델 최적성과지수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Best Performance Index for Estimate at Completion Forecasting Model on the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EVMS))

  • 김선규;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101-107
    • /
    • 2000
  • 2000년 7월 1일 건설교통부는 EVMS를 공공부문에 도입하는 것을 입법예고 하였다. 그러나 EVMS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고, 일부 전문가들은 정부에 의해 제안된 또 하나의 실패사례가 될 것이라는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EVMS는 미국 국방성에 의해 1967년부터 많은 프로젝트에 적용되어 강력하고 효율적인 프로젝관리 도구로 검증된 C/SCSC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아무리 훌륭한 도구라 할지라도 한국과 미국 건설사업 환경 및 제도의 차이로 인해 미국의 건설체계 도입 적용의 많은 실패 경험을 무시할 수 없다. 본 논문은 그 동안 국내에 적용된 일부 EV자료를 통해 EVMS의 가장 중요한 기능중 하나인 최종사업비예측(EAC) 모델에 대한 국내환경 적합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여 EVMS의 성공적인 국내 도입에 일조 하고자 한다.

  • PDF

한국의 국가통계체계에 대한 소고 (Reviews and prospects on the official statistical system in Korea)

  • 이인실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3호
    • /
    • pp.419-446
    • /
    • 2012
  • 우리나라는 국가통계체제는 고속성장이라는 국가적 과제와 발전의 궤를 같이 하면서 필요할 때마다 관련 통계를 만들어 왔으며 이로 인해 기초통계가 체계적으로 균형 있게 발전해오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변화하는 경제사회 환경에 맞추어 필요통계를 발굴해내는 수요체계 파악, 국제기구의 통계와의 정합성 제고, 유사중복통계 작성 방지, 통계인력의 전문성 제고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적 및 실질적 운영상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국가통계 총괄 조정기능 강화하고 실천력이 전제되는 거버넌스 구조를 위해 통계청을 차관급인 처나 장관급 행정부로 격상시키고 통계기관장을 임기제로 하고 공모를 통하여 선정해야 한다. 행정자료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대통령직속위원회의 신설, 민간 통계생산기관과의 협력강화,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역량 제고, 자료처리센터의 설치, 마이크로데이터의 공동 활용 시스템 설치 등도 시급한 과제들이다.

해수담수화 산업기술동향 (Status-of-arts of Desalination Technology)

  • 고은옥;문종덕;박종만
    • 멤브레인
    • /
    • 제20권3호
    • /
    • pp.185-196
    • /
    • 2010
  • 현재 우리나라가 세계최고 수준을 보유한 해수담수화기술과 해외 플랜트 수주확대를 위한 정부정책의 필요성에 따라 지속적인 해수담수화 시장 선점을 위한 새로운 핵심기술개발이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물산업의 동향, 해수담수화기술의 개요 및 시장현황을 고찰하고, 국가 R&D지원 정책방향 및 기술개발지원현황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기업의 담수플랜트 운전경험 축적을 바탕으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원천기술확보를 위한 전략적 R&D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담수화 플랜트에 소요되는 핵심기자재에 대한 국산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선진국의 획득조직 현황과 방위사업감독관 운용방안 연구 (Aquisition System of Developed Countries and Operational Planning Research of DAPA Commissione)

  • 황광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26-43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주요 선진국의 국방획득조직 현황과 관련 분석에 따른 시사점, 국방획득체계의 전문성 활용 방안과 관련 과 방위사업감독관의 운용현황, 결론적으로 각 전문분야에서의 전문화 및 운용방안, 기대효과와 향후방향을 중장기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 주요 선진국의 국방획득조직의 현황을 통해서 국내에 적용 가능한 운용체계를 식별하였고, 각 분야의 운용방안을 반영하면서 방산비리 근절과 방위사업감독관의 효율적인 운용이라는 부분이 정부를 비롯하여 각 기관, 민간 기관들 등 전사적인 노력이 밑받침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법적 제도적 관점에서 법 정비의 시급성을 강구하는 기회가 되었고, 그리고 현재의 사전검증 절차 수립이라는 부분이 투명성, 신뢰성, 전문성을 제 3자 관점에서 투명성을 확립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한다. 결론적으로, 방위사업감독관의 운용은 방위사업 전반에 대한 사전 감독체계 수립을 가능하게 하고, 업무적 독립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영향력을 기대해 볼만 하다.

경영혁신형 중.소 제조기업 선정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ng Model for Small and Medium Management Innovative Manufacturers)

  • 유연우;노재확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5-75
    • /
    • 2010
  • 본 연구는 정부가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선정에 사용되는 모형을 찾는 것을 첫 번째 목표로 삼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현재의 선정 지표의 가중치 개선의 방향은 무엇인가를 찾는 것을 부차적 목적으로 삼았으며, 먼저,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선정에 사용되는 원래의 지표 변수(10개)를 독립요인으로 변환하여 본 결과 3개의 지표가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비교한 3가지 선정 모델은 원 변수 사용모형, 9개 독립 요인모형, 7개 독립 요인모형 이다. 3개의 모형 중에서 7개의 독립 요인으로 추정한 모형의 설명력이 다른 2개의 모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선정 지표의 가중치 개선도 이를 반영한 방향으로 개선된다면 모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7개의 독립 요인으로 추정한 모형을 다시 원래의 10개 변수의 영향력으로 복원하여 그 설명력을 최초의 변수들과 비교한 결과 조직프로세스, 마케팅관리, 관리프로세스, 생산설비 현황, 예측수준 등이 실제 선정 시에는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전략, 지식정보관리, 성과수준, 운영수준 등은 실제 측정되는 지표상의 가중치에 비하여 영향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양방 통합의료의 갈등과 방향에 대한 연구 - 한.양방 의료 및 관련 종사자 대상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Conflicts and Future Direction of Integrative Medicine in Korea)

  • 임은진;김소윤;손명세;최평락;오병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3-250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integrative medicine in Korea, specifically conflicts between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within Parallel (Dual) health care systems. Qualitative methodology using grounded theory guide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Western Medical Doctors (W.M.D., n = 6), Oriental Medical Doctors (O.M.D., n = 5)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actitioners (T.C.M.P., n = 4).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broad themes from the interviews. 15 professionals (W.M.D. (40%), O.M.D. (33%), T.C.M.P. (27%), 10 males (67%) and 5 females (33%), mean age 45) were interviewed, recorded, and transcribed. Thematic analysis revealed three key themes: systematic conflicts, integration and future directions. Subthemes of systematic conflicts included: credibility of Oriental Medicine, commercial imperatives, maintaining social standing of O.M.D.,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nd lack structures supporting collaborative practice. Integration subthemes included lack of academic linkage and clarity for appropriate triage, opposing medical paradigms and limited social imperative. Future directions should include: social justification, guarantee of oriental medicine legitimacy, role of government and understanding of scientific evidence. To successfully integrate dual medical systems there is a need to address differences in social-environmental factors and perceptions of scientific understanding, as well as developing strong academic links in clinical practice.

도로포장자산관리를 위한 한국형 생애주기비용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Life Cycle Cost Analysis Model for Road Pavement Asset Management)

  • 한대석;도명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1639-1650
    • /
    • 2013
  • 도로관리는 도로의 건설과 동시에 반 영구적으로 지속하여야 하는 행위로써, 막대한 예산이 소요됨은 물론 국가 경제 및 국민의 이동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관련된 전략은 당연히 객관적인 정보 하에 수립되어야 하며, 그를 뒷받침 하는 의사결정시스템은 도로투자 효과에 대한 사회적 편익을 보다 현실적이고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하여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리자비용은 물론 도로포장 상태를 함수로 하여 도로이용자 및 사회환경비용을 예측할 수 있는 한국형 생애주기비용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제시된 모형은 우리나라 국도 실정에 맞추어 개발되었으며, 결과의 공신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국토교통부)가 제시하는 투자평가지침을 가능한 참조 하되 포장관리분야의 실정에 맞지 않거나 개선의 여지가 있는 사항들에 대해서는 추가, 대체, 부분수정을 통해 개발되었다. 이러한 자기화 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하는 시도는 그간 상용화된 분석프로그램에 의존하던 소극적 도로자산관리를 탈피함은 물론, 도로관리로 인한 사회적 편익에 대한 인식개선에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수산식품 구매요인 우선순위 분석: AHP 기법을 활용하여 (Priority Analysis for Consumers' Purchasing Factors of Seafood Online Using AHP Method)

  • 정현기;기해경;박세현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449-461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factors consumers prioritize when purchasing seafood online. The originality of the study lies on adopting AHP-based approach in analyzing prioritized purchasing factors of seafood online. Design/methodology/approach -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Korean consumers who have purchased seafood online. AHP method was applied to rank factors consumers prioritize before making decision. Findings - First, product's factor ranked first among other high level factors including delivery service, seller, online platform. Second, sanitation, taste, country of origin ranked first, second, third respectively, within product's factors. Third, safe delivery, timeliness, information accuracy ranked first, second, third respectively, within delivery factors. Fourth, consumer reviews, consumer response ability, promotion ranked first, second, third within seller factors. Fifth,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redibility, user-friendliness ranked first, second, third, within online platform factor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o activate seafood online market, it is crucial to assure consumers that the seafood is well managed in a sanitary way from the production site to table. Existing government programs such as seafood traceability system, HACCP, and cold-chain infrastructure needs improvement. Due to highly perishable characteristic of seafood, delivery factors matter when purchasing online. Online platforms needs to continue to improve delivery service. Seafood products are mostly not branded and without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ir properties. Creating quality classification and seafood brands are likely to help consumers chose seafood online.

한국정치에서 음모론과 선거의 연관성: '장준하 사망', '광주민주화운동', '천안함 침몰'을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f Political Conspiracy in Korea)

  • 정태일
    • 한국과 국제사회
    • /
    • 제1권1호
    • /
    • pp.7-30
    • /
    • 2017
  • 음모론은 모든 국가와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한국사회에서도 정치적 사건에 대한 음모론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음모론은 사회현상의 근본적인 발생 원인에 대해 공식적 원임규명에 대해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의도적으로 원인규명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반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음모론은 국가와 정부의 사건에 대한 원인규명에 저항하여 신뢰성에 반발하면서 저항하여 타격을 주는 것이다. 한국사회에서 음모론은 주로 정치적 사건에서 발생하였는데, 정치적 사건에 대한 음모론은 정치권력을 안정화시키려는 세력과 정치권력을 교체하려는 보수와 진보의 작용과 반작용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장준하 사망사건에 대한 음모론은 집권세력에 저항한 인물의 갑작스런 죽음에 의문을 제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권세력의 대한 정당성을 불신하는 측면이 강하였다. 또한 광주민주화운동과 천안함 침몰에 대한 음모론은 전자가 신군부의 정권탈취를 위한 폭력의 정당화, 후자가 남북관계의 단절에 대한 정당화에 근거로 활용되는 것에 대한 국민들의 저항적 성향을 지니고 있다. 한국정치에서 음모론은 각종 선거과 관련하여 활용되는 특성이 강하지만 선거 결과에 직접적이고,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지는 못하였다. 그렇지만 한국정치에서 음모론은 정치적 사건의 원인규명에 대한 진위논란에서 음모론의 정당성 여부에 관계없이 한국사회를 혼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