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Model

검색결과 894건 처리시간 0.034초

간호학 문제중심학습에 기초한 창의성통합교육모형(C-PBL)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of Creativity Integrat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or Nursing Education)

  • 강소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33-44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aimed at (a) developing an instructional model of creative thinking education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C-PBL) i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at one University, and (b) examining its effect on nursing students' level of creativity and outcomes from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The C-PBL model was implemented on 43 juni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30 hour-nursing class during one semester. The control group, with 54 seniors, received 4 hours of problem based learning training in an adult nursing class. Pre-and post-tests were done with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for creative thinking ability, the Integrated Creativity Instrument for creative motivation and attitudes, the Problem Solving Competency questionnaire,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Instrument. Results: The C-PBL model was developed using a caring situation scenario to solve nursing problems with 3 training steps of 'encountering a patient in a caring situation', 'exploring nursing knowledge', and 'designing creative caring beyond given knowled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ity (p<.010), problem-solving ability (p<.010), and self-directed ability (p<.010). Conclusion: This C-PBL method could contribute in increasing creative competency as well as problem-solving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수학사에 근거한 수학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 개발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Creative Product in View of Mathematical History)

  • 김선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5-94
    • /
    • 2005
  • 이 연구는 창의적 생산력 계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서 수학영재 학생들이 생산한 창의적 산출물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수학사를 통해 수학자들이 이룩한 산출물을 토대로 창의적 산출물 생산 모델을 제안하였는데, 이 모델은 수학적 지식, 수학적 사고, 수학적 탐구 기술의 세 가지 요소와 창의적 산출물 전체에 대한 평가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산출물은 모델의 각 요소에 초점을 둔 것에 대응시킬 수 있었다. 수학에서의 창의적 산출물에 대한 평가 준거는 창의적 산출물 생산 모델의 요소에 근거하여 개발하였으며, 이 준거에 의한 평가는 타당성과 신뢰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창의·인성모델학교와 일반학교의 창의·인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reativity·Personality in Creativity·Personality Model Schools and Public schools)

  • 장주식;유병길;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476-48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within creativity personality model schools and public schools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s on of the management of Creativity Personality Model School.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different 4~6th grade classes in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nam-do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301 students Y Elementary school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composed of 231 students G Elementary school. Before carrying out the study, both groups took the preliminary examination about their creative personality. After three months,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ook the post examination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was observed that the management of Creativity Personality Model School would have meaningful effects to improv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students. A important factor was that operated a variety program of creative personality, such as 'Rainbow School' and 'Rainbow Experiential learning'. Through this study, it seemed to conclude that the management of Creativity Personality Model School was more effective on improving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CPS(Creative Problem Solving)를 활용한 창의적 설계 및 실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reative Design and Practice using CPS(Creative Problem Solving))

  • 홍성도;허용정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6
    • /
    • 2012
  • 전공과목과 더불어 학습자들에게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교육하기 위한 창의적 사고 기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실무 현장에서도 전공 능력과 창의력의 동시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창의적 문제 해결 기법인 CPS는 빠르고 명확한 문제 해결의 가능성이 높은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CPS는 문제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단계별 분석을 통해 명확한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5단계 가이드를 제시한다. 또한, 적용범위가 넓어 실무 현장의 다양한 문제를 분석하고 명확히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PS 5단계를 활용하여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배양을 위한 실습교육을 학습자들에게 제공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실습에 필요한 과정을 제안하였다.

  • PDF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 유상미;김형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93-200
    • /
    • 2021
  •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평가를 위한 요인을 탐색하고 측정 항목을 규명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와 설문을 통해 7개의 요인과 26개의 예비 문항을 얻을 수 있었다.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하여 문제해결 절차 면에서 문제 발견 능력, 아이디어 생성 능력, 아이디어 평가 능력, 아이디어 실행 능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제해결 수행자간의 상호작용 능력과 문제 해결 수행자의 창의적 효능감 요인이 탐색 되었다. 마지막으로 HTE 창의교육 모델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요인으로 은유와 비유적 인지 사고 능력과 그에 대한 평가 항목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를 통해 HTE 창의 교육 평가 모델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초등정보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과 통합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 (A Subject Integration Robot Programming Instruction Model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Information Gifted Students)

  • 서영민;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9-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초등정보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방법의 하나로 교과 통합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수업 모형은 초등학교 5, 6학년 정보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교과 통합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도전 과제들로 구성되어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겪는 오차를 수정하는 형태의 일반적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을 실시하였다. 적용 결과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창의적 성향, 창의적 인지 능력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교과 통합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이 초등정보영재의 창의적 성향, 창의적 인지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 PDF

Research on the Evaluation and Promotion Plan of Competitiveness of Chines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 Taking Provinces and Cities Along the "Belt and Road" As an Example

  • Chen, Lu;He, Jia;Bae, Ki-H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6권3호
    • /
    • pp.66-86
    • /
    • 2020
  • With the rapid growth of high-tec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has gradually become the focus of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With the proposal of China's "Belt and Road" strategy, the role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in the provinces and cities along the "Belt and Road" in the entire international trade is becoming increasingly critical. It is necessary to explore solution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China's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factoring the surrounding cities of the "Belt and Road" as an example. Thus, this paper proposes the six-element diamond model based on innovation capability and government support to render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competitiveness of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in the 31 provinces and cities across the country.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the 18 provinces and cities along the "Belt and Road"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is weak. Focusing on the 18 provinces and cities along the "Belt and Road", using the linear regression measurement model quantitative analysis, the four types of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the competitiveness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along the "Belt and Road" were obtained. Finally,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influence, the competitiveness improvement plan is proposed from the four aspects: government role, consumption preference, industrial innovation ability, and the introduction of high-quality talent.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수학 수업 모형 사례 (Model lessons of mathematical practice focus o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curriculm)

  • 권오남;박지현;박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4호
    • /
    • pp.403-428
    • /
    • 2011
  • The direction of recent education literature points to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creative practices, which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aracter education and has been recognized as being invaluable for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21st century. As such, the goal of mathematics educators and researchers has also been 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building character and promoting creative practices. In this research, we study the pedagogical measures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classrooms to foster creative mathematical thinking and practices in students. In particular, the mathematical topic of interest is three-dimensional geometry, and especially polygons, and processes in which mathematical knowledge and creative practices play out in classrooms. For example, we explore how these creative lessons can be organized as the target internalization lessons, concepts definition lessons, regularity and relationship lessons, question posing lessons, and narrative story lessons. All of these lessons share three commonalities: 1) they require specific planning and execution challenges in order to achieve creative tasks, 2) they take advantage of open-ended problems, and 3) they are activity-oriented.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n successful creative mathematical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help establish model lessons and materials for teachers and educators to use towards such goals.

학문 통합적 비유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대학교 화학 실험 수업 전략의 개발 및 효과 (제II보)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Using Inter-Disciplinary Analogy to Enhanc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Examination of Its Effectiveness (II))

  • 방담이;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857-874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학문 통합적 비유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지향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이 전략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학업적 자기 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탐구 수업 모형에 비유 활동의 PDCA 네 단계 모형을 활용한 '학문 통합적 비유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탐구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이 모형에 따라 구체적인 대학교 화학 실험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예비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수업 전략을 한 학기 동안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영역에서 창의적 사고력 하위 범주 중 독창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의 영역에서 비판적 사고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 조절에 대해서는 확인된 조절과 통합된 조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창의적 인성에 대해서는 모든 하위 영역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