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on of Jobs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2초

농촌지역 불완전고용 해소와 농업의 일자리 확대 방향 (A New Direction of Rural Underemployment and Non-Farm Employment)

  • 이민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2호
    • /
    • pp.13-29
    • /
    • 2018
  • 현재 농촌은 농업의 경제적 비중이 줄어드는 대신 타 산업의 비중이 커지는 구조적 변화를 겪고 있다. 본 연구는 농업에 기반한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국내 농촌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농촌 고용구조 변화의 가장 큰 특징인 농가의 불완전고용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불완전고용 해소를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는 농촌지역의 농업 및 비농업부문 고용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지역의 일자리 구조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농촌지역 일자리 창출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농가는 농업소득과 농업외 소득 확보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화되고 있다. 따라서 농업경영체의 발전 경로를 고려한 농가별 맞춤형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둘째, 불완전 고용상태에 놓여 있는 저소득 농가에 대한 정책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농가소득 변화를 살펴보면 농가의 불완전 고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농가다각화 및 농외 일자리 창출 정책을 통해 불완전고용 농가의 소득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농촌창업을 농업외 일자리 창출의 핵심정책으로 설정하고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농촌창업 기업가들은 지역 혁신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가장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넷째, 최근 농촌지역에서 가장 빨리 증가하는 일자리는 보건·복지분야이다. 보건·복지분야의 일자리를 지역공동체와 연계하여 안정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공동체 기반 농촌형 사회적기업, 커뮤니티 비즈니스, 협동조합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

ICT 산업의 여성인력 고용확대 방안 (A Study on the Plan of Creating Jobs for Women in the ICT Industry)

  • 우성희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9-24
    • /
    • 2014
  • 최근 정부는 '창조경제(Creative Economy)'를 통하여 상상력과 창의성, 과학기술에 기반한 경제 운용, 새로운 시장,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또한 과학기술과 ICT, 문화, 인문학 등이 융합하여 산업간 경계부분에서 창조경제의 성과를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 선진국의 창조경제 벤치마킹에서 증명되고 있다. 특히, 여성 과학기술인이 창조형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여성 과학기술인이 낮은 수준이고 전문적인 여성과학기술자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및 육성정책도 미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경제 활동 중이던 여성들은 육아와 출산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 복귀에서 겪는 어려움 때문에 30대 초 중반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적다. 창조경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를 이끌어갈 여성 과학기술인의 창조적 교육과 육성, 지원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창조경제 시대의 ICT 산업정책과 여성의 역할과 경제활동 참여 현황, 그리고 창조경제시대의 여성 일자리 창출방안과 문제점을 살펴본다.

  • PDF

GPU 컨테이너 동시 실행에 따른 응용의 간섭 측정 프레임워크 설계 (A design of GPU container co-execution framework measuring interference among applications)

  • 김세진;김윤희
    • KNOM Review
    • /
    • 제23권1호
    • /
    • pp.43-50
    • /
    • 2020
  •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GPGPU)는 최근 고성능 컴퓨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들은 GPU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대부분의 클러스터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은 정수 개의 GPU를 작업에 할당하고 다른 작업과 이를 공유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 경우 작업이 GPU에서 코어 및 메모리 등 자원이 집중적으로 필요하지 않다면 GPU 노드의 리소스 사용률이 저하될 수 있다. GPU 가상화는 응용의 동시 수행을 가능하게 하며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하지만 응용의 동시 수행 성능은 동시 수행되는 응용의 특성과 노드 안에서 자원 경쟁으로 인한 간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논문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인 쿠버네티스(Kubernetes)를 기반으로 다중 서버 생성 및 실행을 통하여 GPU를 공유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본 프레임워크를 통해 다양한 스케줄링 방법으로 GPU에서 여러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이에 따른 성능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GPU 메모리 사용량 및 컴퓨팅 리소스만 고려해서는 최적의 스케줄링을 할 수 없음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해당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응용들의 동시 실행에 따라 발생한 간섭을 측정한다.

대전시 ICT산업 일자리 창출 전략에 관한 연구 - 해외클러스터 일자리 창출 요인의 조직생태학적 접근 - (A Study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b Creation Strategy by ICT-based Industry - Factors for creating jobs in overseas clusters by organizational ecology approach -)

  • 홍은영;양승호;성을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3호
    • /
    • pp.53-82
    • /
    • 2020
  • 대전광역시는 4차산업에 필요한 최고의 혁신역량 인프라(ICT)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생태계를 저해하는 요인들이 산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일자리 창출 요인을 조직생태학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즉, 해외 ICT기반의 클러스터(또는 도시)를 통한 일자리창출 사례를 살펴보고, 조직생태학의 '적소', '변이', '선택', '보존'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대전광역시를 둘러싼 환경과, 기존 해외 클러스터사례의 교훈을 벤치마킹하여 ICT기반 일자리창출의 '적소'를 발견하고 생태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변이'과정에 필요한 전략과 생태계에서 '선택' 및 '보존'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4차산업혁명도시, 혁신도시 지정, SW의 우수한 역량확보 등 대전시가 가진 강점과 명실상부한 '혁신 허브'로서의 특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조직생태학적 접근의 전략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또한, 대전시가 가진 강점과 '혁신 허브'의 특별시로 명백히 자리매김하려면 실질적이며 생태계의 지속성을 꾀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최근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대전형 뉴딜정책', '대전 스타트업파크' 사업 등에 시도 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으리라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ICT기반 일자리 창출 연구의 희소성, 일자리 창출에 있어 지역의 중요성 인식, 지속가능한 클러스터의 조직생태학적 접근 제시 등 독창성 있는 연구로 그 동안 부족했던 선행연구에 이론적 기여가 있기를 기대한다.

사회적 경제 지원을 통한 산촌생태마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untain Eco-Village Revitalization through Social Economic Promotion)

  • 김성학;서정원
    • 농촌계획
    • /
    • 제20권3호
    • /
    • pp.21-3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motion strategies for revitalizing mountain eco-villages through social economic support. In order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operation conditions, income creation structures of 240 mountain eco-villages formed by Korea Forest Service, and reviewed systems for social economic support. As summarized in research outpu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ctivities of organizations for joint projects had not been properly implemented due to the absence of supporting systems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mountain eco-villages. In addition, 159 villages formed as experience villages could not be qualified for enterprise systems due to aging population and absence of network systems. As for income creation, as indicated by comparing net incomes for joint projects calculat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village management evaluation, the average net income of 51 highly-rated villages was 22 million Won and that of 128 moderately-rated villages was 3.5 million Won. Experience-based projects and the sales of processed forestry products made by young adult associations or women's societies were major sources of income, and the absence of inner economic bases or villages' jobs caused young adults and returned farmers to focus on working for outside economic activities.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strategies for mountain eco-village's social economic promotion and suggested four stages of social economic revitalization provisions.

한국의 초단시간 노동시장 분석 (The Short-Hours Part-Time Jobs in Korea)

  • 문지선;김영미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29-164
    • /
    • 2017
  • 이 글은 근로시간이 주당 15시간 미만에 불과한 초단시간 노동시장의 성장에 주목하여, 어떤 집단에서 초단시간 근로가 증가하고 있고 이들의 노동 상황은 어떠한지 분석한 탐색적인 연구이다. 초단시간 근로는 저학력 고령층 여성, 특히 사별 또는 이혼한 여성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단시간 근로의 증가는 여성의 일-가정 양립이나 경력단절에 초점을 둔 정부의 시간제 근로 장려 정책의 결과가 아니었다. 오히려 배우자가 있는 여성도 육아나 가사의 이유보다 원하는 일자리가 없거나 생활비가 필요해서 초단시간 근로를 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초단시간 근로란 일-가정 양립을 원하는 여성이 노동시간의 이점을 보고 선택하는 고용형태가 아닌 것이다. 초단시간 노동시장은 사회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저임금에 사회보험과 부가급여도 기대할 수 없는 열악한 특성을 띠고 있었다. 노동 수요와 공급, 정부와 제도 측면에서 볼 때, 초단시간 근로의 증가 현상은 급증하는 사회서비스의 수요를 민간에 넘긴 정부, 30인 미만 영세 사회서비스업 중심의 초단시간 고용, 주당 15시간 미만 근로에 대한 법적 보호를 배제한 미비한 법제도, 그리고 생계가 급급한 노동공급자라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였다. 사별 또는 이혼 상태인 저학력 고령층 여성은 경제적 동기는 강한 반면 시장에는 가장 취약한 집단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저임금 노동으로 초단시간 노동시장이 존재 할 수 있었지만, 고용의 질이 낮은 만큼 이들은 근로빈곤의 함정에 빠져있을 가능성이 높다. 노인빈곤율이 높은 현실과 호출근로같이 열악한 근로조건의 초단시간 노동시장을 감안할 때, 정부의 규제와 초단시간 근로자를 온전하게 보호하는 법 제도 등의 대책이 매우 시급하다.

융합 콘텐츠 산업의 일자리 창출방안:VR/AR 게임 산업을 중심으로 (Measures for the Job Creation in the Convergence Content Industry : Focused on the VR/AR Game Industry)

  • 김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110-1116
    • /
    • 2019
  •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새로운 산업 분야의 등장으로 4차 산업혁명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산업 간의 융합으로 인해 새로운 가치가 창조되고 실현되고 있다. 연구자는 국내외 주요 신기술 융합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주요 질문내용을 작성하였다. 연구자가 계획한 질문내용은 질적 연구방법론의 하나인 심층면담으로 진행 하였고 단편적 선호 경향만을 파악하기보다 다차원적이며 전략적 판단을 구체화할 수 있는 Kano방식 설문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VR/AR 게임 산업의 기술역량 강화와 함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적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산업체와 교육기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한 실무중심의 인력양성, 기존 게임 콘텐츠 인력의 재교육을 통한 지속적인 인력 공급이 VR/AR 게임 산업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마련에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다.

고령층 정보화교육의 현 실태 및 인력양성을 통한 일자리창출 실용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the Elderly informatization Education and the practical plan for creating jobs through human training)

  • 김기혁;박영식;정덕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7-240
    • /
    • 2014
  •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정보화시대가 젊은이를 대상으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나 고령층에 대한 고려가 빈약한 실정이다. 2012년을 기준으로 고령층 인구(만55세~79세)가 천만명을 넘게 진입한 상태이다. 이러한 변화에 따른 문제 중 고령층 정보화교육에 따른 정보격차 및 일자리 창출이 사회적인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에 고령층에 대하여 전문적인 정보화교육을 시켜서 멘토로 하는 다양한 정보격차를 줄이는 학습방법을 제안 해 보기로 한다. 숙련된 멘토로부터 일자리 창출을 확립시키므로 사회의 일원으로서 보람과 사회경제적 도움으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도록 함을 목표로 삶는다. 이에 양극화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고, 고령인구의 사회경제적 활동과 인간다운 삶을 위하여 정보격차 해소 및 고령층 일자리 창출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어르신IT봉사단 활동을 기반으로 연구를 하였다. 대한민국의 초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는 과정에서 노인정보화 교육을 통한 정보격차 해소와 컴퓨터 재능기부를 활용한 노인 일자리 창출에 대한 방향제시가 연구의 목적이다.

  • PDF

머신비젼을 이용한 크림솔더상에 장착된 SMD의 검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pection System of SMD Mounted on Cream Solder Using Machine Vision)

  • 신동원;박경석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7-74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he Inspection machine for SMD mounted on cream solder of PCB. There are mounting errors of SMD such as misalignment, missing part, wrong orientation, wrong polarity and so on. The main hardware of the system consists of a machine vision part and a motion control part. Operating software has been developed in GUI environment to help user convenience. The Inspection Jobs consist of two procedures, that is, creation of the inspection reference data and automatic inspection. The Inspection reference data has a tree structure of linked list including PCB information, blocks, components, windows, and inspection methods. This paper presents versatile inspection methods which include a section length method, a projection method and histogram method. Therefore, user can choose the suitable procedure for various components. Finally, the automatic Inspection procedure using the reference data checks the mounting errors of components.

  • PDF

기업환경 조성을 통한 한국 문헌정보학의 정체성 확립방안 (Identity Establishment of Korea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through Promoting of Business Environment)

  • 이경호;김상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17-343
    • /
    • 2003
  •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연구이다. 정체성 확립의 방안으로 문헌정보학의 기업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문헌정보학의 정체성이 훼손되고 있는 사례를 조사하고, 정체성 훼손의 사례가 왜 발생하고 있으며, 이것이 문헌정보학의 기업환경 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또한 문헌정보학의 기업환경 조성으로 사서의 전문성과 일자리 창출 등 정체성 확립의 가능성에 대해 진단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