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ne

검색결과 498건 처리시간 0.029초

LncRNA AC005332.7 Inhibited Ferroptosis to Alleviat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rough Regulating miR-331-3p/CCND2 Axis

  • Rixin Dai;Xiheng Yang;Wujin He;Qiang Su;Xuexin Deng;Juanfen Li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3권3호
    • /
    • pp.151-167
    • /
    • 2023
  • Background and Objective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often occurs suddenly and leads to fatal consequences. Ferroptosis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gression of AMI. However, the specific mechanism of ferroptosis in AMI remains unclear. Methods: We constructed a cell model of AMI using AC16 cells under oxygen and glucose deprivation (OGD) conditions and a mice model of AMI using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LAD) ligation. The 3-(4, 5-dimethylthiazol-2-yl)-2, 5 diphenyltetrazolium bromide was employed to determine cell viability. The levels of lactate dehydrogenase, creatine kinas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lutathione (GSH), malondialdehyde (MDA), and iron were measured using corresponding kits. Dual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RNA-binding protein immunoprecipitation, and RNA pull-down were performed to validate the correlations among AC005332.7, miR-331-3p, and cyclin D2 (CCND2).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was employed to evaluate myocardial damage. Results: AC005332.7 and CCND2 were lowly expressed, while miR-331-3p was highly expressed in vivo and in vitro models of AMI. AC005332.7 sufficiency reduced ROS, MDA, iron, and ACSL4 while boosting the GSH and GPX4, indicating that AC005332.7 sufficiency impeded ferroptosis to improve cardiomyocyte injury in AMI. Mechanistically, AC005332.7 interacted with miR-331-3p, and miR-331-3p targeted CCND2. Additionally, miR-331-3p overexpression or CCND2 depletion abolished the suppressive impact of AC005332.7 on ferroptosis in OGD-induced AC16 cells. Moreover, AC005332.7 overexpression suppressed ferroptosis in mice models of AMI. Conclusions: AC005332.7 suppressed ferroptosis in OGD-induced AC16 cells and LAD ligation-operated mice through modulating miR-331-3p/CCND2 axis, thereby mitigating the cardiomyocyte injury in AMI, which proposed novel targets for AMI treatment.

인삼을 함유한 약선레시피가 운동수행능력 및 항피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aksun Recipe with Korean Ginseng on Exercise Practice Ability and Fatigue Variable Factor.)

  • 김미림;박순애;김민주;신미래;노성수;박해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97-105
    • /
    • 2024
  •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yaksun recipe on the anti-fatigue and endurance enhancement properties in the forced swimming test (FST). Methods : The treatment groups were divided randomly into three groups: water-treated FST (control), 200 mg/kg of red ginseng-treated FST (RG200), 200 mg/kg of water extract of yaksun recipe-treated FST (YS200). After FST, an autopsy was performed, and the tissue and serum were collected. Results : The swimming exhaustion time in the RG200 and YG200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YG200 group fatigue indicators, D-Lactate, LDH(lactate dehydrogenase), creatine kinase, and ammonia content,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liver glycogen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YG200 and tended to increase in RG200. Likewise, the glucos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muscle damage indicators 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nd BUN (blood urea nitrogen), a protein metabolite, in the YG200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 concentration of liver lipid peroxidation, MDA(malondialdehyde)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G200 and YG200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YG200 can increase the endurance exercise capacity by decreasing the fatigue indicators, saving glycogen, and elevating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Outbreaks of nosocomial feline calicivirus-associated virulent systemic disease in Korea

  • Junghoon Park;Dohyun Lee;Yeon-Jung Hong;Cheol-Yong Hwang;Jae-Eun Hyu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4호
    • /
    • pp.51.1-51.11
    • /
    • 2024
  • Importance: Feline calicivirus (FCV)-associated viral systemic disease (VSD) is a severe systemic disease caused by virulent FCV strains and has a very poor prognosis. Objectiv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 nosocomial FCV-VSD outbreak involving 18 cat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cats diagnosed with FCV-VSD from March to September 2018 at a referral veterinary hospital were reviewed. The patient's signalment, history, clinical features,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were evaluated. Results: Two outbreaks involving 18 cats diagnosed with FCV-VSD occurred over a 6-month period at a referral hospital in Korea. Anorexia, lethargy, fever, and limb edema were the most commonly observed clinical symptoms. Lymphopenia and macrothrombocytopenia were the most common hematological findings, and hyperbilirubinemia and increased level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creatine kinase, and serum amyloid A were the most frequent results of serum biochemistry. FCV was detect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11 patients and the remaining 7 were suspected with FCV-VSD.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72.2%. The hospital was closed and disinfected twice, and no additional outbreaks have occurred since the last patient. Conclusions and Relevance: The clinical and diagnostic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FCV-VSD describ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recognize and contain infectious diseases through quick action. To the best of the authors'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nosocomial outbreak of FCV-VSD in Asia.

개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봉독과 덱사메타손의 치료효과 (Therapeutic Effect of Bee-Venom and Dexamethasone in Dogs with Facial Nerve Paralysis)

  • 전형규;오현욱;한지원;이현화;정성목;최석화;김문호;김덕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03-508
    • /
    • 2007
  • 사람에서와 같이 개에서도 안면신경마비가 발생되지만, 특발성 원인에 의한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유용한 서양의학적 치료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개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약침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공 유발된 개 안면신경마비에 대하여 약침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안면신경마비가 인공적으로 유발된 12두의 개는 대조군(4두), 덱사메타손 투여군(4두) 및 봉독 투여군(4두)로 나누어 공시하였다. 안면신경마비 유발 후 대조군은 식염수 1ml을 머리 근육에 일주일에 두 번 근육주사 하였다. 반면에 덱사메타손 투여군과 봉독 투여군은 합곡, 영향, 사백, 하관, 예풍, 권료, 상관 및 양릉천 혈위에 각각 덱사메타손과 봉독을 일주일에 두 번 약침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임상증상과 혈중 creatine kinase(CK) 활성의 변화를 각각 검토하였다. 임상증상은 치료 14일에 봉독 투여군과 덱사메타손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저치를 보였으나 봉독 투여군과 덱사메타손 투여군 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혈중 CK 활성의 변화는 치료 7일 및 14일에 봉독 투여군과 덱사메타손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저치를 보였으나, 봉독 투여군과 덱사메타손 투여군 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개 안면신경마비의 치료에 봉독과 덱사메타손 약침이 효과적이었으며, 그 효과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방과 근육 세포주의 단독 및 공동배양을 통한 세포형태학 및 세포물질 비교 연구 (Comparison between Single and Co-culture of Adipocyte and Muscle Cell Lines in Cell Morphology and Cytosolic Substances)

  • 최창원;조원모;연성흠;황보순;송만강;박성권;백경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103-109
    • /
    • 2012
  • 본 연구는 기존 단독배양 위주로 이루어져온 세포배양 연구의 방법학적 한계의 극복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지방과 근육세포주의 단독 및 공동배양에서 배양기법에 따른 지방 및 근육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3T3-L1 (지방세포) 및 L6 (근육세포) 세포주는 성장배지인 10% FBS/DMEM (1% Pen-Strep solution 및 0.1% Fungizone 첨가) 하에서 48h 동안 단독배양 후 5% FBS/DMEM에서 배양하였다. 분화를 위한 단독 및 공동배양에서는 지방 및 근육세포 모두 분화유도물질 없이 2% FBS/DMEM으로 배양하였고, 공동배양에서는 $0.4{\mu}m$ insert membrane을 사용하여 6 well plate 하단에 L6 cell을, 상단에는 3T3-L1 cell을 공생시켰다. 지방 및 근육세포 분화정도 측정은 세포별 형태학적 측정과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및 creatine kinase (CK) 분석을 통해 조사되었다. 형태학적으로 볼때 3T3-L1 세포주는 공동배양보다 단독배양 시 분화가 더욱 잘 일어났고 L6 세포주의 경우 역으로 같았다. 세포물질 분석에서는 분화배지 처리일(day 0)과 비교해 단독 및 공동배양 모두 지방세포 내 GPDH의 활성도가 유의적으로(P<0.05)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단독배양이 공동배양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수준의 GPDH 활성도를 보였다. L6 역시 마찬가지로 분화배지 처리일에 비하여 단독 및 공동배양 모두 CK 활성도가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CK 활성도가 공동배양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이용된 단독 배양을 통한 세포 분화 결과 등은 생체와 비교 시 방법학적 한계로 인해 실제 생체 내에서는 그 분화정도가 매우 다를 것으로 생각되며, 이것은 앞으로 정확한 세포배양 결과 확보를 위해서는 단독배양보다는 공동배양기법을 사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향후 다양한 조건과 분화조절 물질들의 첨가를 통한 추가적인 공동배양실험이나 지방분화관련 분자생물학적 물질분석 등 다양한 실험 수행 시 보다 현실적이고 대량의 기초자료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절식과 출하취급이 출하돈의 스트레스 관련 혈액성상과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sting and Handling Stress on Plasma Concentrations of Glucose, Stress-associated Enzymes and Carcass Quality of Market Pigs)

  • 김두환;하덕민;서종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1-88
    • /
    • 2007
  • 출하전 절식과 출하 취급이 출하돈의 혈액성상과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출하전 12시간, 24시간 절식한 그룹 및 절식하지 않는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그룹에 대하여 출하 취급을 최대한 부드럽게 혹은 상차, 하차, 계류 과정에 전기봉 사용을 포함하여 고의적으로 거칠게 하는 그룹으로 나누어 체중 약 110kg에 출하되는 삼원교잡종 비육돈 144두를 공시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모든 출하돈은 계류장 도착 후 3시간 동안 계류하였다. 혈액은 도축직후에 채취하였고 배최장근 시료는 도축 12시간 후(overnight)에 채취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혈중 glucose 농도는 절식하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12시간 및 24시간 절식 그룹이 낮았으나 cortisol 농도는 반대로 절식하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24시간 절식 그룹이 높게(p<0.05)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관련된 glucose, cortisol, creatine kinase 및 lactate dehydrogenase 농도는 출하 취급을 부드럽게 한 그룹에 비하여 고의적으로 거칠게 취급한 그룹에서 높았다. 그러나 스트레스 관련 혈액성상에 대한 절식시간과 취급 스트레스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PSE 발생율과 drip loss는 절식하지 않은 그룹보다 12시간, 24시간 절식 그룹이 낮았으나 도체 pH와 육색은 절식 시간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PSE 발생율과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은 출하 스트레스에 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출하전 12시간(하루밤) 절식은 PSE 발생을 줄이기 위한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계류는 출하시 거친 취급으로 인한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출하 취급이 거칠면 혈중 스트레스 관련 지표들의 농도가 증가하여 동물복지를 나쁘게 할 수 있어 거친 취급은 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과 양성자 가지공명분광법을 이용한 시각자극에 의한 후두염 피질의 대사물질 변화 (Metabolic Changes on Occipital Cortex during Visual Stimulation with Functional MR Imaging and H MR Spectroscopy)

  • 김태;서태석;최보영;김성은;이흥규;신경섭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3권1호
    • /
    • pp.47-52
    • /
    • 1999
  • 목적 : 시각자극을 이용하여 대뇌 후두엽에서 BOLD(blood oxygen level dependent)효과에 의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양성자 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한 대사물질영상( metabolic i image)을 얻어 그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4세에서 30세 사이의 8명의 남자와 2명의 여자를 포함하는 10명의 정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1.5T MRI에서 시각 지극을 이용하여 echo planar imaging펠스시퀀스를 사용하여 BOLD효과에 의한 영상들을 대뇌 후두엽에서 얻었다. 시각자극은 8Hz의 red flicker를 이용한 광 자극을 주였다. MR에서 얻어진 영상들을 workstation으로 전송한 뒤 자체 개발한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계수방법을 이용하여 기능적 영상을 구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영상의 활성화 부위를 선정한 뒤 양성자 자기공명 분광법을 사용하여 시각 자극에 의한 뇌 활성화시 대사물질의 변화를 분석했다. 그 후 자가공명분광영상법(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ic imaging)를 실행하여 젖산(lactate)의 대사물질 영상을 얻었다. 결과 : 시각 자극에 따른 BOLD효과에 의한 뚜렷한 활성화 부위가 후두염 대뇌피질에 나타났다. 또한 이들 활성화 부위에서 자기공명분광법을 시행한 결과 휴식상태와 시각자극상태에서 NAA(N-acetyle aspartate)/Cr(creatine)이 $1.79{\pm}0.28$에서 $1.88{\pm}O.20$으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에 반해 lactate는 자극 전후 $9.48{\pm}4.38$배로 증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lactate에 대한 대사물질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 시각자극에 의한 뇌 활성화시 BOLD효과를 이용한 자기공명영상볍으로 활성화 부위를 확인할 수 있었고, 같은 부위에서 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하여 lactate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lactate의 증가를 대사물질영상으로 표현함으로써 두 결과에 대한 상관관계 및 뇌 기능적영상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 PDF

꼼치, Liparis tanakae에서 특이하게 발현되는 새로운 유전인자의 검색 (Molecular Cloning of Novel Genes Specifically Expressed in Snailfish, Liparis tanakae)

  • 송인선;이석근;손진기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67-77
    • /
    • 2000
  • 심해에서 서식하며 특이한 조직형태를 갖고 있는 꼼치조직에서 cDNA를 제작하여 클로닝을 통해서, 꼼치에서 특이하게 발현하는 유전인자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 62례의 클론이 알려진 유전자에 동질성이 있었는데 이들은 thioesterase가 9례, myosin이 8례, creatine kinase가 7례, skeletal alpha-actin이 6례, parvalbumin b와 ribosomal protein이 각각 5례, type I collagen과 muscle troponin이 각각 3례, dopamine receptor, histatin, 그리고 heat shock protein이 각각 2례, cystatin, lectin, statherin, secretory carrier membrane protein, keratin type I, desmin, chloroplast, muscle tropomyosin, reticulum calcium ATPase, ribonucleoprotein이 각각 1례로 나타났다. 나머지 클론은 동질성이 낮거나 비반복성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in situ hybridization으로 조직에서 특이하게 발현되는 5종류의 클론을 선택하여 분석하였으며, C 말단 단백질 구조와 특색(motif)을 분석하였다. 5종류의 클론에서 C9O-77은 약 5000bp 크기로 상피조직, 점액조직, 섬유조직 그리고 교원질 조직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보이는 세포의 기질단백질로 예상되었다. C9O-116은 약 1500bp 크기로 섬유조직, 상피조직 그리고 점액조직에서 약한 양성반응을 보였고, 근육 다발 주변 부위 세포에서 매우 강한 양성반응을 보이는 막투과성 단백질로 예상되었다. C9O-130은 약 1200bp 크기로 상피조직, 근육조직 그리고 점액조직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냈으며, 특히 상피조직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세포내 단백질로 예상되었다. C9O-161은 약 2000bp 크기로 상피조직 과 근육조직 그리고 점액성 섬유조직에서 약한 양성반응을 보였고, 상피세포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근육다발을 둘러싸는 섬유성 세포에서도 강한 양성반응을 보이는 세포외 기질단백질로 추측되었다. C9O-171은 약 1000bp크기로 상피조직, 근육조직 그리고 섬유기질 조직에 널리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냈으며 교원띠조직에서도 양성반응을 보이는 전사인자로 추측되었다.

  • PDF

관상동맥 우회술 후 심근경색의 표지자로서 Creatine Kinase MB 농도와 Cardiac Troponon I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Creatine Kinase MB mass and Cardiac Troponin I as a Marker of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이재진;김응중;이원용;신윤철;지현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호
    • /
    • pp.27-35
    • /
    • 2002
  • 배경: 술후 심근경색(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PMI)은 관상동맥 우회술 후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PMI의 진단 방법 중 CK-MB 활성도(CK-MB activity) 측정보다 민감하고, 간단한 측정 방법을 가진 CK-MB 농도(CK-MB mass)의 측정으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 또한, cardiac troponin I(cTnl)는 심근경색의 표지자로 민감도와 특이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소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관상동맥 우회술 후 심근경색의 표지자로서 CK-MB농도와 cTnl의 임상적 의의성에 대한 평가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4월부터 2001년 4월까지 강동성심병원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후 CK-MB 활성도, CK-MB농도, cTnl, 심전도, 심초음파, 임상적 자료를 전향적으로 기록하였다. 술후 심근경색의 진단은 심전도에서 새로운 Q파 출현, CK-MB 활성도가 72시간안에 200 lU/L 이상, 심초음파에서 심근벽의 새로운 심근벽 운동이상 등의 3가지 중 2가지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관상동맥 우회술 후 3례에서 진단 기준에 부합된 경우였다. 시간 경과에 따라, 술후 12시간의 CK-MB활성도와 술후 24시간의 CK-MB농도(R=0.946), 술후 48시간의 cTnl(R=0.933)는 매우 상관성이 있었다(p=0.000). PM의 진단기준치를 찾기 위해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곡선을 이용하였으며, PMI의 환자중 술후 24시간에서 CK-MB 농도가 30.05 ug/L보다 높은 측정값에서 PMI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이 때의 ROC 곡선의 하단 단면적은 1이었으며, 민감도 100%, 특이도 100%, 양성 예측도 100%, 음성 예측도 100% 이었다. cTnI의 경우 술후 48시간에서 17.15ug/L보다 높은 측정값에서 PMI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이 때의 ROC 곡선의 하단 단면적은 0.98이었으며, 민감도 100%, 특이도 96.6%, 양성 예측도 75%, 음성 예측도 100% 이었다. 결론: 관상동맥 우회술 후 심근경색의 진단적 표지자로서 CK-MB농도와 cTnl의 측정은 간단하고 정확한 방법으로 판단되며, 진단기준치를 제시함으로서 술후 심근경색의 조기 발견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환자 수가 적었고, 적은 수의 환자에서 심근경색이 발생하여 통계적인 제한이 있을 수 있어 향후 더 많은 대상의 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aolin 유발 고양이 수두증 모델에서 양자 자기공명 분광상의 경시적 변화 (Sequential 1H MR Spectroscopy(MRS) Studies of Kaolin-Induced Hydrocephalic Cat Brain)

  • 김명진;황성규;황정현;장용민;김용선;김승래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1호
    • /
    • pp.1421-1428
    • /
    • 2000
  • 목 적 : 실험적으로 유발된 고양이 수두증 모델을 통하여 양자 자기공명 분광상의 수두증에서의 임상적 적응과 경시적 뇌 대사산물의 변화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 30마리의 고양이에서 뇌대조내에 kaolin을 주입후 수두증을 유발한후 양자 자기공명 분광상을 이용하여 kaolin 주입전, 주입후 1, 3, 7, 14, 21, 28일째에 주요 대사산물인 N-acetyl aspartate(NAA), creatine(Cr), choline (Cho), lactate(Lac)의 분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 30마리의 고양이에서 모두 수두증이 유발되었고, 급성기에 NAA/Cr비가 감소하는 소견보였으며, 1마리에서 lactate peak이 관찰되었다. 만성기(>14 days)까지 생존한 4마리의 고양이에서 NAA/Cr비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임상적 증상의 회복과 상응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 론 : Kaolin 유발 수두증모델에서 양자 자기공명 분광상은 급성기의 진단적 정보의 제공과 수두증에서의 뇌대사 및 생화학적 결과를 반영해 준다. 그리고, 급성기에서 lactate peak없이 NAA/Cr비의 감소와 만성기의 NAA/Cr비의 회복은 수두증으로인한 뇌실질의 손상이 신경세포 자체보다는 축색손상을 의미한다. 급성기말까지 초기 NAA/Cr비 감소가 회복없이 lactate peak이 동반되는 경우는 불량한 예후인자가 된다. 만성기의 NAA/Cr비의 정상화는 NAA/ Cr비의 감소를 보이는 뇌피질위축의 경우와의 감별진단에 실마리를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