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ssostrea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1초

동해안 참굴 양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ulture of Oyster, Crassostrea gigas (Thunberg) in Eastern Coast of Korean)

  • 이채성;박영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5-112
    • /
    • 1997
  • 동해안에서 고품질의 굴 양식 생산과 어업인의 안정적인 소득 향상을 도모하고저 경남 하동에서 채묘한 굴을 강원도 주문진 연안에 연승수하식으로 이식한 후 1994년 8월부터 1995년 7월까지 어장환경과 수층별 성장시험을 실시하였다. 환경요인 조사결과 수온은 8.33-$25.62^{\circ}C,\;염분\;32.84-34.28\textperthousand,\;영양염류인\;인산염은\;0.09-0.40\mug$-at/l, 용존성 무기질소(DIN)는 0.32-3.12$\mu$g-at/l로 나타났다. 굴의 성장은 상층이 각고 88.7 mm, 중층 84.9 mm, 하층 78.0 mm로 하층에 비해 상층의 성장이 더 빨랐다. 수층별 각고(SH)에 대한 각장(SL)의 상대성장식은 상층 SL=0.5403 SH+8.5486 (r=0.9959), 중층 SL=0.5813 SH+3.7775 (r=0.9869), 하층 SL=0.5159 SH+6.8736 (r=0.9961) 이였다. 육질은 상층 13.24 g, 중층 12.68 g, 하층 10.96 g으로 상층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수층별 전중량(TW)에 대한 육중량(MW)의 상대성장식은 상층 MW=0.1933 TW+0.1051 (r=0.9973), 중층 MW=0.1915 TW+0.1894 (r=0.9984), 하층 MW=0.1650 TW+0.0558 (r=0.9983)으로 나타났다.

  • PDF

완도군 군외면 연안 수평망식 참굴 (Crassostrea gigas) 양식해역의 세균학적 수질 평가 (Sanitary assessment of the oyster rack culture waters in Wando, Korea)

  • 강주현;조상만;김태옥;박권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9-136
    • /
    • 2015
  • 본 연구는 완도군 군외면 지역에 수평망식 갯벌참굴 양식을 도입하고자 하는 양식 기술개발의 일환으로서 양식해역의 위생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해수의 경우 2012년 4월부터 2013년 3월까지 매월 1회 실시하였고, 굴 시료는 높이 90 cm인 가상식 양성망에서 채집하였다. 조사해역의 평균 수온범위와 염분 농도범위는 $8.6-28.0^{\circ}C$이며, 26.2-33.5 psu였다. 해수의 대장균군 및 분변계대장균은 각각 < 1.8-13.0 MPN/100 mL의 범위로, 모두 기준치 43 MPN/100 mL이하를 유지하였다. 한편 굴의 분변계대장균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는 단 1건에 불과하였다. 강우 발생후, 경과일에 따른 참굴 및 해수의 분변계대장균은 모두 해역평균치로 회복되는 데는 약 5일이 소요되었다. 배수유역의 영향반경은 1-292 m에 불과하여 육상오염원에 의한 영향은 미미하였다. 조사해역은 우리나라 수출용 패류생산해역의 위생학적 수질기준과 미국의 패류양식장에 대한 세균학적 수질기준의 충족하며, 생산된 굴의 경우, 유럽연합 A등급 해역의 위생관리에 충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해안 3배체 굴 (Crassostrea gigas) 의 계절별 체성분, 아미노산, 지방산 및 글리코겐 함량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the body composition, amino acid, fatty acid and glycogen contents of triploi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 황인준;한종철;허영백;임현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9-277
    • /
    • 2016
  • 본 연구는 2015년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양식된 3배체 굴의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조성 및 글리코겐 함량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지방 함량은 겨울철에 가장 높았으며 (2월, $2.10{\pm}0.06%$), 단백질 함량은 가을철에 (11월, $9.09{\pm}0.04%$) 에서 가장 높았고 수분과 회분은 여름철 (8월, $86.00{\pm}0.12%$$2.67{\pm}0.03%$) 에 가장 높았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겨울철 (1,011.5 mg/100 g) 에 가장 높았고,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여름철에 가장 낮았다 (486.7 mg/100 g). 아미노산조성은 taur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및 alanine 등이 주요 아미노산으로 분석되었다. 지방산 조성에서 전체 지방산 함량의 50 % 이상을 차지하는 지방산은 EPA와 DHA로 확인되었다. 글리코겐 함유량은 여름철에 가장 높았으며 ($1.26{\pm}0.03g/100g$), 다른 시기에는 $0.69{\pm}0.04-0.86{\pm}0.01g/100g$의 범위로 일정한 함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3배체 굴은 불임처리를 통해 산란을 하지 않아 여름철에 글리코겐 함량이 높아 겨울철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도 상업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종 조개류 유생의 발생과 성장 (Development and Growth of Larvae of Four Bivalve Species)

  • 허영백;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9-128
    • /
    • 2000
  • 진주담치(Mytilus edulis), 홍합(Mytilus coruscus), 참굴(Crassostrea gigas) 및 진주조개(Pinctata fucata martensii)를 인위적인 방란 방정을 유도하여 이들의 수정란과 부유유생을 사육하여 난 발생, 유생의 성장 및 형태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정란의 크기는 진주담치와 홍합이 각각 65.1 ${\mu}m$, 70.3 ${\mu}m$로 비슷한 크기를 보였고, 참굴과 진주조개는 각각 52.3 ${\mu}m$, 45.3 ${\mu}m$로 비슷한 크기를 보였다. 수정란에서 D형 유생으로 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진주담치와 참담치는 자연수온(17.0$\pm$1$^{\circ}C$)에서 각각 47시간55분, 45시간 55분이 소요되었고, 참굴과 진주조개는 수온 21.$0^{\circ}C$와 26.$0^{\circ}C$에서 각각 23시간 55분과 22시간이 소요되었다. 진주담치, 홍합, 참굴, 진주조개가 초기 D형 유생에서 부착기 유생으로 성장하는 데는 각각의 수온에서 각각 20일, 27일, 22일, 및 21일이 소요되었고 이때의 평균 각장의 크기는 각각 194.1 ${\mu}m$, 233.6 ${\mu}m$, 274.9 ${\mu}m$, 190.9 ${\mu}m$ 였다. 초기 D형 유생에서 초기 부착기 유생까지 각장(L)과 각고(H)의 상관관계는 높으며, 각장에 따른 각고/각장의 비율(H/L)은 진주담치: H/L : 0.002L+0.5334 (($R^2$ = 0.957), 홍합: H/L : 0.001L+0.603 ($R^2$ : 0.944), 참굴: H/L =0.001L+0.871 (($R^2$=0.550) 및 진주조개: H/L =0.001L+0.791 (($R^2$ = 0.700)로 나타났다

  • PDF

동결건조한 Isochrysis aff, galbana를 이용한 굴 유생사육에 관한 연구 (Dietary Evaluation of the Freeze-Dried Alga Isochrysis aff. galbana for Larval Surrival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 임현정;박미신;조지영;홍용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54-658
    • /
    • 1999
  • 패류 인공종묘생산시 양질의 먹이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건조먹이를 생산하여, 굴 유생을 대상으로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건조먹이의 생화학성분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생화학성분 조성은 생먹이 및 농축먹이와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조성은 건조먹이가 생먹이보다 PUFA DHA 및 EPA의 비율이 높았으며 (p<0.05) 특히 EPA는 생먹이보다 7.35배 높았다. 농축먹이에 건조먹이를 비율별로 혼합하여 굴 유생을 15일간 사육한 후 유생의 생존율과 지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건조먹이를 $30\%$까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생먹이만을 공급한 것보다 굴 유생의 생존율이 향상되었으며, 그중 건조먹이를 $10\%$ 혼합하여 사육하면 생먹이만으로 사육한 것보다 생존율이 2.1배 향상되었다(p<0.05) 15일째 굴 유생의 지질 함량은 건조먹이를 $10\%$ 혼합하여 사육한 경우 생먹이만을 공급한 것보다 약 1.6배 높았다. 따라서 패류의 종묘를 생산하지 않는 시기에 먹이생물을 배양하여 건조먹이 형태로 보관하여 두었다가, 농축먹이와 혼합하여 사용한다면, 보다 간편하게 먹이를 공급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유생의 생존율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ributyltin and Triphenyltin Residues in Pacific Oyster(Crassostrea gigas) and Rock Shell (Thais clavigera) from the Chinhae Bay System, Korea

  • Shin, Won-Joon;Oh, Jae-Ryoung;Kahng, Sung-Hyun;Shim, Jae-Hyung;Lee, Soo-H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3권3호
    • /
    • pp.90-99
    • /
    • 1998
  • Butyltin and phenyltin residues were quantified in seawater and biota of the Chinhae Bay System, Korea in 1995. Butyltin compounds were detected in all seawater and biota samples, whereas phenyltin compounds were found only in the biota samples. Tributyltin (TBT) concentrations in seawater ranged from < 8-35 ng Sn/l. Tributyltin concentrations in Crassostyea gigas and Thais clavigera ranged from 95-885 and 23-414 ng Sn/g, respectively, Triphenyltin(TPhT) concentrations in each species ranged 155-678 and 46-785 ng Sn/g, respectively. Spatial distribution of TBT was closely related to boating and dry-docking activities. However, spatial distribution of TPhT was not consistent with that of TBT. The biological concentration factor for TBT in C. gigas was about 25000 that is four times greater than that of T. clavigera. Butyl- to phenyltin concentration ratio was greater than one in C. gigas, but that in T. clavigera was less than one. Major tissues of C. gigas also showed different accumulation patterns for butyl- and phenyltin compounds. Furthermore, 19 and 28% of total body burdens of TBT and TPhT were found in gonadal mass of C. gigas just prior to spawning.

  • PDF

해역별 굴 패각의 특성비교 (Comparative Study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yster Shells, Crassostrea gigas, Cultured in Various Waters in Korea)

  • 강주현;이승우;조상만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5-168
    • /
    • 2014
  • 굴 패각은 외부 침입자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능 외에도 잠재적 성장범위를 의미하므로 패각모니터링은 굴 성장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해 우리는 서로 다른 3해역 (완도, 한산거제만, 북만) 으로부터 채집한 패각의 성분분석을 통해 양식장 환경모니터링 도구로써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완도해역에서 채집된 굴 패각은 높은 열분해온도로 비교적 안정된 나노구조체 형상을 지닌 것으로 판단되고, 이는 상대적으로 진주층이 두터울 경우의 특징이다. 또한 패각중 성분분석결과 황의 함량이 낮고 납이 검출되지 않는 등 비교적 안정적인 굴양식환경을 나타내고 있다.

가막산 참굴의 집단 구조 분석 (The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e Oyster Crassostera gigas (Bivalvia:Ostreidae) from Gamak Bay in Korea)

  • 조은섭;정희동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1015-1018
    • /
    • 2008
  • 본 연구는 2007년 3월 가막만에서 양식하고 있는 참굴 34마리를 대상으로 미토콘드리아COI gene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유전자 집단을 조사했다. PCR 증폭에 사용된 primer는 HCO2918과 LCO1491로 product는 658 bp였다. 유전자 배열 결과 가막만 참굴 집단에서 CR1, CR2, CR3, CR4 4개의 haplotype이 나타났다. 그 중 CR3 haplotype이 73% 발생되어 가장 높은 빈도율을 보였다. 계층구조에서도 가막산 참굴은 남해안산과 유전적 유연관계를 보이나, 유전적 거리는 남해안 및 서해안과도 마이너스 값을 보이며 통계적으로도 유전적으로 하나의 집단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evelopment of Genetic Markers for Triploid Verification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 Kang, Jung-Ha;Lim, Hyun Jeong;Kang, Hyun-Soek;Lee, Jung-Mee;Baby, Sumy;Kim, Jong-J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7호
    • /
    • pp.916-920
    • /
    • 2013
  • The triploid Pacific oyster, which is produced by mating tetraploid and diploid oysters, is favored by the aquaculture industry because of its better flavor and firmer texture, particularly during the summer. However, tetraploid oyster production is not feasible in all oysters; the development of tetraploid oysters is ongoing in some oyster species. Thus, a method for ploidy verification is necessary for this endeavor, in addition to ploidy verification in aquaculture farms and in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is study, a method for ploidy verification of triploid and diploid oysters was developed using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anels containing primers for molecular microsatellite markers. Two microsatellite multiplex PCR panels consisting of three markers each were developed using previously developed microsatellite markers that were optimized for performance. Both panels were able to verify the ploidy levels of 30 triploid oysters with 100% accuracy, illustrating the utility of microsatellite markers as a tool for verifying the ploidy of individual oysters.

Tributyltin Compound in Sediments and Tissues of Oysters and Rock Shell in Gwangyang Bay, Korea

  • Shim, Won-Joon;Yim, Un-Hyuk;Kim, Nam-Sook;Hong, Sang-Hee;Oh, Jae-Ryoung
    • 환경생물
    • /
    • 제22권
    • /
    • pp.63-70
    • /
    • 2004
  • Tributyltin (TBT) and its degradation products, dibutyltin (DBT) and monobutyltin (MBT) were quantitatively determined in surface sediments and two molluscan species,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rock shell (Thais ctavigera), from Gwangyang Bay, Korea. Butyltin compounds were detectable in almost all sediment and biota samples. Tributyltin concentrations in surface sediment ranged<2∼33 ng g$\^$-1/, which is at a lower end of TBT concentrations in industrialized bays in Korea. However, TBT levels in sediments were related to boating activities around the bay. In biota samples, TBT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178∼2,458 ng g$\^$-1/ toy oyster and 47∼236 ng g$\^$-1/ for rock shell. Relatively high TBT concentrations in biota were found near wharves for fisherboats and harbor areas. About 90∼100% of the female T. clavigera displayed imposex, and relative penis length index of the imposexed-female was in the range of 20.9∼107.9%. Furthermore, TBT body resid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gree of imposex in T. clavigera. Overall, TBT concentrations in Gwanyang Bay were much lower than other major bay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