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sh Severity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5초

안전띠 착용 유무에 근거한 두 단계의 충돌 가혹도 수준을 갖는 충돌 판별 알고리즘 (Crash Discrimination Algorithm with Two Crash Severity Levels Based on Seat-belt Status)

  • 박서욱;이재협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48-156
    • /
    • 2003
  • Many car manufacturers have frequently adopted an aggressive inflator and a lower threshold speed for airbag deployment in order to meet an injury requirement for unbolted occupant at high speed crash test. Consequently, today's occupant safety restraint system has a weakness due to an airbag induced injury at low speed crash event. This paper proposes a new crash algorithm to improve the weakness by suppressing airbag deployment at low speed crash event in case of belted condition.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two major blocks-crash severity algorithm and deployment logic block. The first block decides crash severity with two levels by means of velocity and crash energy calculation from acceleration signal. The second block implemented by simple AND/OR logic combines the crash severity level and seat belt status information to generate firing commands for airbag and belt pretensioner. Furthermore, it can be extended to adopt additional sensor information from passenger presence detection sensor and safing sensor. A simulation using real crash data for a 1,800cc passenger vehicle has been conduc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

VEHICLE CRASH ANALYSIS FOR AIRBAG DEPLOYMENT DECISION

  • Hussain, A.;Hannan, M.A.;Mohamed, A.;Sanusi, H.;Ariffin, A.K.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179-185
    • /
    • 2006
  • Airbag deployment has been responsible for huge death, incidental injuries and broken bones due to low crash severity and wrong deployment decision. This misfortune has led the authorities and the industries to pursue uniquely designed airbags incorporating crash-sensing technologies. This paper provides a thorough discussion underlying crash sensing algorithm approaches for the subject matter. Unfortunately, most algorithms used for crash sensing still have some problems. They either deploy at low severity or fail to trigger the airbag on time. In this work, the crash-sensing algorithm is studied by analyz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variables such as (i) change of velocity, (ii) speed of the vehicle and (iii) acceleration. The change of velocity is used to detect crash while speed of the vehicle provides relevant information for deployment decision. This paper also demonstrates crash severity with respect to the changing speed of the vehicle. Crash sensing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Simulink, Stateflow, SimMechanics and Virtual Reality toolboxes. These toolboxes are also used to validat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imulated experiments of crash sensing, airbag deployment decision and its crash severity detection of the proposed system.

도로변 수직구조물 충돌사고의 심각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Crash Severity Impact of Fixed Roadside Objects using Ordered Probit Model)

  • 임준범;이수범;윤덕근;박재홍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73-180
    • /
    • 2016
  • OBJECTIVES : Fixed roadside objects are a threat to drivers when their vehicles deviate from the road. Therefore, such roadside objects need to be suitably dealt with to decrease accidents. This study determines the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accidents because of fixed roadside objects.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the crash severity impact of fixed roadside objects by using ordered probit regression as the analysis methodology. In this research, data from 896 traffic accidents reported in the last three years were used. These accidents consisted of sole-car accidents, fixed roadside object accidents, and lane-departure accidents on the national highway of Korea. The accident severity was classified as light injury, severe injury, and death. The factors relating to the road and the driver were col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variables of the crash severity impact are the collision location (left side), gender of the driver (female), alcohol use, collision facility (roadside trees, traffic signals, telephone poles), and type of road (rural segments). Additionally, the collision location (left side), gender of the driver (female), alcohol use, collision facility (street trees, traffic signals, telephone poles), and type of road (rural segments), in order of influence, were found to be the factors affecting the crash severity in accidents due to fixed roadside objects. CONCLUSIONS : An alternative solution is urgently required to reduce the crash severity in accidents due to fixed roadside objects. Such a solution can consider the appropriate places to install breakaway devices and energy-absorbing systems.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버스 운송사업 유형 별 사고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Factors Influencing Crash Severity by the Types of Bus Transportation Services Using Ordered Probit Models)

  • 윤상원;고승영;김동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22
    • /
    • 2018
  • 버스는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 중 하나로서, 운행 목적, 운영 거리, 관리 기관 등에 따라 운송사업 유형별로 구분되어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버스 관련 사고는 높은 재차인원으로 인하여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버스 운송사업 유형에 따른 사고심각도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버스 관련 사고의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분석하고 버스 운송사업 유형 별 사고심각도를 저감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통사고 분석시스템(TAAS)에서 추출된 5년 동안의 버스 관련 사고 자료가 사용된다. 시내버스, 시외 및 고속버스, 그리고 전세버스의 세 가지 운송사업 유형 별 순서형 프로빗 모형이 사고심각도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추정된다. 분석 결과 속도, 노면상태 등 모든 버스 운송사업 유형의 사고심각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도 존재하는 반면 버스 운송사업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사고심각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시내버스의 경우 시간대, 도로 선형 및 신호기 설치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외 및 고속버스의 경우 안전벨트 착용여부와 도로 등급이 사고심각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며, 전세버스의 경우 시간대, 운전자의 운전 경험, 안전벨트 착용여부, 신호기 설치 여부 및 시간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버스 운송사업 유형 별 사고심각도를 저감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충격흡수시설의 탑승자보호 성능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jury Criteria of the Occupant Protection Performance of Crush Cushions)

  • 임재문;정근섭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49-57
    • /
    • 2008
  • The performance of crash cushion systems is certified through the full scale crash tests by the standard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guidelines for roadside safety appurtenance. The impact severities of impacting vehicles in collision with crash cushion systems are rated by indices THIV and PHD. Crash test results are considered to study the performance of three crash cushion systems. In case of the frontal impact or the offset frontal impact, the results show that THIV values of three systems are very close to the threshold limit for the occupant protection. Also, the results show that PHD would be improper for the occupant protection performance index. In order to improve the occupant protection performance of crash cushions, ASI needs to be included in the impact severity index.

차량 블랙박스 자료를 활용한 택시-이륜차 사고에서의 이륜차 이용자 사고 심각도 분석 (njury Severity Analysis of Cyclists in Two Wheeler to Taxi Crashes: An Application of Vehicle Black Box Data in Incheon, Korea)

  • 김선중;정연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6호
    • /
    • pp.917-923
    • /
    • 2018
  • 최근 도입되고 있는 첨단 차량 장치는 교통 안전분야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어왔던 중대형 사고 위주의 자료수집, 사고 자료의 정확성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첨단 차량 장치의 하나인 차량 블랙박스 자료를 활용하여, 이륜차(two wheeler: TW) 즉, 자전거 혹은 오토바이와 택시간 사고 발생 시 이륜차 운전자의 사고 심각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인천시에서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영업용 택시 블랙박스에 기록된 택시-이륜차 사고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심각도 분석을 위해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 연구결과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새로운 심각도 요인이 발견되었다. 즉, 충돌 직전의 택시 속도가 높을수록, 택시 또는 이륜차의 파손이 발생한 경우, 사고 후 이륜차 운전자의 보행이 불가능할 경우, 그리고 1차 사고 후 이륜차 운전자가 2, 3차 충격으로 이어진 경우 사고 심각도는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적용한 고속도로 화물차 사고 심각도 (Injury Severity Analysis of Truck-involved Crashes on Korean Freeway Systems using an Ordered Probit Model)

  • 강찬모;정연식;장유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3호
    • /
    • pp.391-398
    • /
    • 2019
  • 일반적으로 화물차 사고는 일반 승용차 사고 대비 심각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국내 화물차 사고 발생건수 및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 화물차 사고 심각도 관련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국내 고속도로에서 과거 6년간 발생한 화물차 사고 심각도를 분석하여 화물차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순서형 프로빗 모형이 적용되었으며 총 10개의 주요 인자가 도출되었다. 이중 8개 인자(나이가 많을수록, 졸음운전의 경우, 추돌 사고의 경우, 사고 후 전도나 전복이 된 경우, 사고 후 화재가 발생한 경우, 사고에 포함된 차량 수가 많을수록, 충돌 속도가 높을수록, 야간주행(0-6시)에 발생한 사고의 경우)는 사고 심각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2개 인자(눈이 오는 경우, 단독차량사고의 경우)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고속도로 화물차 사고 심각도를 낮추기 위한 정책 수립 시 기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율주행차 충돌시나리오 파라미터 분석과 차대차 충돌해석 DB 구성 (A Parametric Study of Crash Scenario of Autonomous Vehicle and Database Construction)

  • 소영명;김호;배준석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47
    • /
    • 2023
  • Research on the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countries, including the European Union, and computer simulation techniques so called 'Virtual Tool Chain' are mainly used. As part of the crash safety study of autonomous vehicle, 25 car to car collision scenarios were provided as a result of a real accident-based accident reproduction analysis study conducted by a domestic research institution, and a vehicle cras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FE car to car model of the Honda Accord.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car to car simulation and to construct a database, major crash parameters were selected as impact speed, angle, location, and overlap, and a method of defining them in an indexed form was presented. In order to compare the crash severity of each scenario, a valu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resultant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ACU of the vehicle was applied. The equivalent collision test mode was derived by comparing the crash severity of the regulation test mode, 30 deg rigid barrier mode, in the same way.

탑승자 안전도를 고려한 교각 방호시설물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Non-Redirective Crash Cushion for Bridge Piers Considering Occupant Safety)

  • 박재홍;성정곤;남민균;윤덕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20-126
    • /
    • 2018
  • The traffic accident typ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vehicle to vehicle accident, vehicle-to-person accident and single-vehicle. Especially, the single-vehicle accident types are severe when the vehicle crashed into road facilities such as bridge, piers, utility poles. The severity of single-vehicle accidents are ten times higher than that of all other accidents types. It is needed to consider to reduce accident sever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crash worthy safety design facility to ensure the vehicle occupant safety. The simulation and the crash tests were conducted for assessment of the safety performance to check the criteria of CC2(Crash Cushion 2) level. THIV(Theoretical Head Impact Velocity) and PHD(Post-impact Head Deceleration) were used to assess occupant impact severity for crashes. The non-redirection collision test conditions for 900 kg and 1,300 kg-head on crash tests, 900 kg-1/4 offset crash tests, 1,300 kg-head on crash test with $15^{\circ}$angle were conducted.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 test result showed that THIV values were below 44 km/h criterion, PHD values were below the 20G. The development non-redirective crash cushion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fixed object such as bridge piers for assuring occupant safety.

계층 이항 로지스틱모형에 의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 분석 (Analysis of Traffic Crash Severity on Freeway Using Hierarchical Binomial Logistic Model)

  • 문승라;이영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99-209
    • /
    • 2011
  • 교통사고발생시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기하구조나 환경 측면에서 교통사고 발생을 예방하고 운전자와 사고 차량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 이항 로지스틱모형에 의해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영향변수 간 차이를 나타내는 비교위험도(odds ratio)를 도출하였다. 사고 심각도는 인명피해와 차량피해로 구분하여 사망사고모형과 차량완파사고모형을 구축하였다, 종속변수는 사망자 발생과 완파차량 발생 여부이며, 각각 사고-탑승자, 사고-차량의 2수준 계층구조를 적용하였다. 추정 결과 설명변수의 고정효과는 두 모형이 유사한 결과를 보이나 종속변수의 속성에 따라 차별화된 결과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본선과 진출입부에서의 사고가 가장 위험하며, 중앙선 침범과 통행위반, 과속 사고의 상해나 차량 파손 위험도가 높고, 충돌사고와 추돌사고, 화재 사고의 피해가 크다. 사고 심각도는 노면 상태나 시야 조건 등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으나 기하구조 조건은 관련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