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b pot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6초

꽃게 통발용 인공미끼의 생분해도 및 해양수질 영향 (Biodegradability of Artificial Bait for Blue Crab Pots and Its Effect on Seawater Quality)

  • 정병곤;구재근;장호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6-103
    • /
    • 2009
  • 고등어내장, 다랑어 내장 및 크릴새우 분쇄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꽃게 통발용 인공미끼에 대하여 수중 생분해도와 현장해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내 생분해도 실험은 유효용량 10L의 아크릴 수조에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12시간, 수조 통과유속은 1m/d로 물을 통과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인공미끼의 생분해도를 평가하였다. 23일간의 실험기간 중 인공미끼는 원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초기에 빠른 속도로 분해된 후 5일 후부터는 안정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분해속도는 사용 원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유기물 분해속도 측면에서는 다랑어내장으로 만든 미끼가 가장 빠르게 분해되었는데 반해 암모니아성 질소 분해 측면에서는 고등어 내장을 이용하여 만든 미끼가 가장 빠르게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미끼 사용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공미끼를 사용한 현장해수에서 통발의 위치 및 깊이에 따른 SS, COD, DO, 인 및 질소와 같은 해양수질을 측정하였다. 현장 해수와 대조구의 수질을 비교해 본 결과, 인공미끼 사용으로 인한 해양수질에 대한 영향은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꽃게 통발용 미끼의 형태에 대한 생분해도 평가 (Evaluation of biodegradability according to bait type for crab pots)

  • 정병곤;장호영;구재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4권1호
    • /
    • pp.20-30
    • /
    • 2008
  • In order to evaluate the biodegradability of bait used in the pot for swimming crab, water tank experiments were conducted. Mackerel is the most commonly used natural form of bait to catch the swimming crabs, and therefore was used in this experiment for the biodegradability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it. From the biodegradability test on chemical oxygen demand(COD), total nitrogen(T - N), total phosphorus(T - P), ammoniac nitrogen, nitrite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per unit weight of the bait based on the production rate and the accumulated amount of pollutants, it was concluded that the smaller the size of the mackerel pieces, the higher the production rate and accumulated amount of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which was unfavorable to water pollution. The amount of pollutants released from the intestine of the tuna was similar with that from the whole mackerel. For the operation period of 111 days, the accumulated concentrations of tested pollutants from the tuna which were 67.3 mgCOD/g d, 86.4 mgT N/g d, 3.1 mgT - P/g d, were almost half comparing with those from the mackerel which were 65.7 - 94.4 mgCOD/g d, 83.8 - 109.4 mgT - N/g d, 3.1 - 5.2 mgT - P/g d. The amount of pollutants released from the intestine of the tuna was slightly less than that from the mackerel that was cut into 8 pieces. but more than that from the mackerel which was not cut into piece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key factor in determining water pollution potential is not the kind of bait, but the processing or preparation method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