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degradability of Artificial Bait for Blue Crab Pots and Its Effect on Seawater Quality

꽃게 통발용 인공미끼의 생분해도 및 해양수질 영향

  • Jeong, Byung-Gon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Koo, Jae-Geun (Dept.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Chang, Ho-Young (Dept. of Marine Science & Production, Kunsa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5.25

Abstract

The biodegradability in water of the artificial baits for blue crab pots which were made of intestines of mackerel, tuna and grinded krill were studied. The biodegradability of artificial bait was evaluated with the effective capacity of 10L water tank which was made of acryl pipe at the velocity of 1m/d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of 12 hours. For the 23 days operation time, all artificial baits were degraded fast at the early stage of operation time and stabilized within 5 days after start up. The rates of biodegrada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aw materials of artificial baits. In terms of degradation rate of organic matter which can be expressed as COD, artificial bait made of tunas intestine showed the fastest degradation rate.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degradation rate of nitrogenous matter which can be expressed as ammonia nitrogen, artificial bait made of mackerels intestine showed the fastest degradation rate.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artificial bait on marine ecosystem, seawater qualities including SS, COD, DO, nitrogen, phosphorus were determined depending on depth and location during 2 days test operation period. It is apparent that the effect of artificial bait on seawater quality was negligible when comparing seawater quality of test operation area with control area.

고등어내장, 다랑어 내장 및 크릴새우 분쇄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꽃게 통발용 인공미끼에 대하여 수중 생분해도와 현장해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내 생분해도 실험은 유효용량 10L의 아크릴 수조에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12시간, 수조 통과유속은 1m/d로 물을 통과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인공미끼의 생분해도를 평가하였다. 23일간의 실험기간 중 인공미끼는 원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초기에 빠른 속도로 분해된 후 5일 후부터는 안정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분해속도는 사용 원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유기물 분해속도 측면에서는 다랑어내장으로 만든 미끼가 가장 빠르게 분해되었는데 반해 암모니아성 질소 분해 측면에서는 고등어 내장을 이용하여 만든 미끼가 가장 빠르게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미끼 사용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공미끼를 사용한 현장해수에서 통발의 위치 및 깊이에 따른 SS, COD, DO, 인 및 질소와 같은 해양수질을 측정하였다. 현장 해수와 대조구의 수질을 비교해 본 결과, 인공미끼 사용으로 인한 해양수질에 대한 영향은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관서, 권병국, 1987, “붕장어 통발의 개량", 한국수산학회지, 20(2), 95-105.
  2. 고관서, 김대안, 1984, “통발에 대한 어류의 행동과 어획성능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7(1), 15-23.
  3. 김대안, 고관서, 1987a,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1. 대통발과 플라스틱 통발에 대한 붕장어의 행동", 한국수산학회지, 20(4), 341-347.
  4. 김대안, 고관서, 1987b,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개량에 관한 연구, 2. 그물통발류에 대한 민꽃게의 행동", 한국수산학회지, 20(4), 348-354.
  5. 김대안, 고관서, 1990a,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3. 그물통발류에 대한 붕장어의 행동", 한국수산학회지, 23(3), 238-244.
  6. 김대안, 고관서, 1990b,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4. 민꽃게 통발의 개량실험", 한국수산학회지, 23(4), 310-314.
  7. 김대안, 고관서, 1990c,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2. 그물통발류에 대한 민꽃게의 행동", 한국수산학회지, 20(4), 348-354.
  8. 김형석, 이병기, 1990, "고등어, 전어 크릴의 추출물에 대한 붕장어의 반응",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6(2), 125-132.
  9. 서영태, 김광홍, 이주희, 1977, "장어 통발어구의 어획성능비교", 한국어업기술학회지, 13(2), 15-20.
  10. 염말구, 강석중, 최영준, 최병대, 조창환, 1990a, "어류유인활성물질의 응용에 관한 연구-I. 현장실험을 통한 붕장어 생미끼의 유인활성 검토",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6(4), 317-325.
  11. 염말구, 강석중, 최영준, 최병대, 조창환, 1990a, "어류유인활성물질의 응용에 관한 연구-I. 현장실험을 통한 붕장어 유인활성 물질의 검색",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6(4), 326-332.
  12. 염말구, 1991, "미끼의 종류에 따른 통발어획율의 변화",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7(4), 232-237.
  13. 염말구, 1998, "통발용 인공미기의 개발"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4(2), 185-190.
  14. 장호영, 조봉곤, 박종수, 고광수, 한민숙, 2002, "서해구 자원관리형 자망통발 어구어법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2. 수조실험에 의한 꽃게피뿔고등의 입롱율 조사",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 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요지집, PA-3, 31-32.
  15. 정병곤, 장호영, 구재근, 2008, “꽃게 통발용 미끼의 형태에 대한 생분해도 평가”, 한국어업기술학회지, 44(1), 20-30.
  16. APHA, AWWA, WPCF., 200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st Ed., Ameri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17. Carr, W.E.S. and Thompson, H.W., 1983, "Adenosine 5-monophoshpate, an internal regulatory agent, is a potent chemoattractant for a marine shrimp", J. Comp. Phsiol., Vol.153, 47-53. https://doi.org/10.1007/BF00610341
  18. Carr, W.E.S. and Derby, C.D., 1986, "Chemically stimulated feeding behavior in marine animals", J. Chem. Ecol., Vol.12, 989-1011. https://doi.org/10.1007/BF01638992
  19. Colt, J.E. and Amstrong, D.A., 1981, "Nitrogen toxicity to fish, crustacians and mollusks", In Proceedings of the Bio-engineering Symposium for Fish Culture, eds. L. J. Allen and Kinney, E. C. American Fisheries Society, Fish Culture Section, Bethesda, 39-42.
  20. Colt, J.E. and Tchobanoglous, V., 1987, "Chronic exposure of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to ammonia: Effects on growth and survival", Aquaeulture, Vol.15, 353-372.
  21. Hara, J.J.., 1982, Chemoreception in Fishes. (ed.by J.J.Hara). Elsevier Sci. Pub. Co, Amsterdam. 433.
  22. Westin, D.T., 1974, "Nitrate and nitrite toxicity to Salmonid fishes", Progressive Fish Culturist, Vol.36, No.2, 86-94. https://doi.org/10.1577/1548-8659(1974)36[86:NANTTS]2.0.CO;2
  23. Zimmer-Faust Richard K.,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chemoreception and foraging behavior in Crustaceans", Limnol. Oceanogr., Vol.34, No.7, 1367-1374. https://doi.org/10.4319/lo.1989.34.7.1367
  2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Act.
  25. MOMAF, 2005,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