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id_19

검색결과 4,351건 처리시간 0.029초

우유 대체 식물성 기반 우유 유사체 개발에 관한 현황과 미래 (Development of Plant-Based Milk Analogues as Alternatives to Cow Milk: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 김태진;서건호;천정환;윤혜영;김현진;김영선;김빈;정동관;송광영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129-144
    • /
    • 2021
  •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many people are increasingly becoming interested in health and environmental issues. Therefore, the sale of vegan or vegetarian products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last few years, as well as interest in non-dairy plant-based milk that can replace cow's milk. Furthermore, the global food industry has developed an interest in such products, considering the recent changes in consumer trends. In Korea, various products are being launched annually due to the increasing interest in non-dairy plant-based milk. However, research with regard to the quality and type of products produced in Korea is still at the preliminary stage when compared to those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erefore, the present review has summarized non-dairy plant-based milk analogues based on the following key aspects. First, the types of non-dairy plant-based milk analogues and their production technologies (in the order of almond milk > cocoa milk > coconut milk > hemp milk > kidney bean milk > oat milk > peanut milk > rice milk, and soy milk). Second,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for non-dairy plant-based milk analogues. Third, recent trends and future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non-dairy plant-based milk analogues. Fourth, the current status and outlook of the non-dairy plant-based milk analogue market in Korea. In conclusion, the present review could provide the food industry with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non-dairy plant-based milk analogue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related products. Data were obtained from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통전적 신앙형성을 위한 교리교육의 재개념화 (Reconceptualization of Catechesis for Forming Holistic Faith)

  • 장신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8권
    • /
    • pp.175-21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을 포함하여, 오늘의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마주한 다양한 위기와 도전들에 직면하여 대안적 형태의 교리교육을 모색한다. 그동안 한국교회의 현장에서 이루어져 온 교리교육은, 최근 교리교육에 대한 관심에서도 드러나듯이, 수직적 차원의 신앙에 초점을 두고, 좁은 의미의 교회 중심적 그리스도인 만들기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한국교회의 대사회적 신뢰도와 공공성의 상실은 일차적으로 이러한 지역 교회에 헌신하는, 좁은 의미의 혹은 사사화된 제자훈련으로서의 교리교육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교리교육 방법에 있어서도 교사가 일방적으로 교리 내용을 학습자에게 전수하거나, 학습자들이 그 내용을 반복하고 암송하는 방법이 흔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 결과 기독교교육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교리교육은 기독교교육학 가운데 가장 고루하고 뒤떨어진 영역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본 연구에서는 오늘의 교리교육의 현황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교리에 대한 새로운 관점들, 교리교육에 대한 기독교 교육학자들의 이론에 기초하여 통전적 신앙의 형성을 지향하는 교리교육을 목적, 교리개념, 체제, 내용, 방법론과 방법 등으로 나누어서 제안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기존 교리교육의 재개념화를 시도한다.

메타버스를 통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연구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on Digital Storytelling in the Metaverse)

  • 신현호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0권
    • /
    • pp.267-302
    • /
    • 2022
  •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사회 각 영역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은 기독교교육의 실천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메타버스(metaverse)로 명명되는 디지털 세계의 출현이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기독교교육이 실천될 수 있는 신앙교육의 확장된 공간으로 이해하고,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디지털 스토리텔링 접근을 탐색한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메타버스 공간에서 실천될 때 참여자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성찰하며 그것을 디지털화된 시청각 재료로 함께 하나의 디지털 스토리를 구성하고 공유함으로써 이야기의 의미를 발견하고 변화를 경험하도록 안내하는 실천의 가능성을 갖는다. 이러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상호작용성, 주도성, 시청각성, 사회성, 개방성의 특징을 지니며, 이것이 기독교교육 방법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재개념화가 요청된다. 이를 위해 이야기 연결하기를 통한 자유와 소명의 발견과 열정적인 경청의 공동체 형성을 강조했던 앤 윔벌리의 방법론을 고찰한다. 또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신앙형성의 한 방식으로 이해하며 권위와 진정성 있는 신앙, 그리고 주도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공간을 기독교교육의 장으로 해석한 메리 헤스의 접근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에서 기독교교육이 변화와 소명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장으로서, 상호적 디지털 공간에서 하나님의 은총에 대한 인간의 적극적 응답이 실천되는 공간이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는 참여자가 메타버스라는 디지털 공간 속에서 하나님의 주도성에 응답하며 놀이와 만들기의 형태로 실천되는 체현적, 관계적인 교육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통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신앙형성의 한 과정이 되기 위해서 확장된 세계 속 하나님 나라의 이야기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이야기로 연결하고, 환대와 경청을 통해 상호적인 공간을 지향하며, 몰입적 참여와 전인적 성찰을 증진하는 실천이 되어야 할 것을 주장한다.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한 샐러드 구매자 유형 및 구매행태 분석 (Analysis of Salad Purchaser Types and Purchasing Behavior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 하지영;임세화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87-304
    • /
    • 2022
  • Purpose: The size of the salad consumption market has expanded since Covid-19, and continuous growth is predicted. Therefore, by extracting influential core purchasers in the salad consumption market and analyzing their purchasing behaviors and consumer types,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Methods: The analysis data is the purchasing data of 576 people who have purchased salads between 2016 and 2020 (panel data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in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he centrality structure was analyzed. Results: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uses of the rapid increase in salad consumption in 2020,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in consumption of new purchasers (n=102) had little effect. The existing consumer type (n = 474), which has been the majority of the salad consumption market so far, were consumers with stable income. However, the results of study indicated that the type of consumers has expanded since low-income class as well as high-income class increased consumption of purchasing salad.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ypes of key purchasers with great influence in the salad consumption market, there was a difference from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in age, number of family members, existence/absence of children, and income decile. This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a difference between the type of customers according to the apparent quantitative figure and the actual influential purchasers.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alad purchasing behaviors of core purchasers, the purchasing site for existing purchasers was large-scale marts and for new purchasers it was corporate-type supermarkets. Purchases were concentrated on Saturdays for both existing and new purchasers. As for the purchased products, existing purchasers had a high preference for products made of chicken, and new purchasers had a high preference for vegetable/fruit salad. In particular, in the results of purchased products by age group, in the case of 50s and 60s, it was an interesting resul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roducts purchased by the existing and new purchasers even though they were the same age. Conclusion: When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in the salad consumption marke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urchasing behavior of key buyers.

Formation of the Digital Generation in a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 Nataliіa, Levchenko;Nataliia, Sukhostavets;Lesia, Zelman;Alla, Kulichenko;Kseniia, Balabanov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335-341
    • /
    • 2022
  • This article is devoted to the study of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digital generation in a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With the introduction of quarantine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opponents of digital technologies were forced to turn to relevant resources, while supporters identified new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didactics and education in general. The irreversibility of the former educational reality became apparent and only the scale of the vision of potential change by interested and disinterested groups differed. Us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he authors consider the issues related to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distance learning on children and young people born after the beginning of the XXI century. The article reveals the prerequisites and implications of distance education for the inter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educational process. IC technologies during the educational process in the primary grades, in addition to identifying the student's learning deficit, should provide the transmission of non-verbal signals, which are important for children of this age. At the same time in the secondary school IR-technologies are designed to replace frontal learning during the assimilation of knowledge and at the same time not to worsen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process. Formation of students in the HEI takes place in the political science format, constant discussion of problem situations, so the task of introducing IC technology in this process is the accurate transfer of the content of the discussions. Individualization and autonom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its dependence on the results of the choice of educational content, and the use of pedagogical management tools change the philosophy of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formation of a digital generation, characterized by an increased level of digital literacy of children and youth, the possession of a certain level of digital capacity requires the use of strategies aimed at optimizing the learning process in a digital educational environment.

메타버스환경에서 온라인 개인 전시 방법 연구 (Study On Online Platform For Personal Exhibition In Metaverse Emvironment)

  • 박유미;신춘성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6호
    • /
    • pp.37-50
    • /
    • 2022
  • 본 논문은 온라인 환경에서 작가들이 자립적으로 개인 전시를 열 수 있도록 메타버스 플랫폼을 바탕으로 전시공간을 구축하고 제공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한다. 해마다 많은 작가가 배출되고 있음에도 많지 않은 미술관으로 인해 오프라인 전시가 힘들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2019년 말부터 코로나로 인하여 오프라인 전시가 불가능해짐에 따라 그에 대한 대체 방안으로 온라인 전시가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웹, 동영상, 가상현실 및 메타버스 환경 등 기존의 온라인 전시 방법 및 관객의 관람 방법의 사례를 분석하고 최근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 환경을 고려한 개인 전시 방향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메타버스 기반 개인 전시 방향은 작가들이 메타버스에서 공간을 구성하고 작품을 배치하고 이후 관람자들이 원격지에서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제안하는 전시 방향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을 적용하여 전시공간 및 작품 구성과 사용자들의 전시체험에 대한 특성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온라인 전시가 대두된 상황에서 오프라인 전시만이 아닌 온라인전시회에서 작가가 추구하는 방향으로 공간부터 구성할 수 있는 점과 경제적인 면을 부각하며, 코로나 종식 이후 온라인 전시가 부수적인 존재가 아닌 또 다른 장르의 전시회가 되기를 기대하며 작가들의 온라인 및 메타버스 안에서 개인 전시가 활성화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에 내원한 외래 환자 및 다빈도 질환 분석 - 2018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천안 지역에서 - (An Analysis of Outpatients and Frequent Diseases Visited Outpatients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Department - From March, 2018 to February, 2021 at Cheonan -)

  • 변정아;최윤영;백종찬;정현아;안재현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35
    • /
    • 2022
  • Objectives :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outpatients who received medical treatments in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linic in Cheonan for 3 years. Based on the results, we intend to identify the trends of outpatients and provide the base data that can be used for future researches on patient characteristics, and Korean medicine treatments on field, statistical surveys, policy setting related to medical service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outpatients according to gender, year, age, season, main diagnosis, number of visits. The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using IBM SPSS 25.0 for Windows. Results :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1,260 patients are as follows. 1. Patients increased in 2019 compared to 2018, but decreased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in 2020, and women visited more than men. The most visited age group was 40s and 50s, and summer was the highest in season. 2. By analyzing the number of visits per patient, men visited more than women, under the age of 20 was highest in age group and spring was highest in season. 3. Every year, sudden hearing loss, a frequent disease in otology, increased, and rhinitis, a frequent disease in ophthalmology,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patients in dermatology was about 30% of the total 100 diseases. Conclusions : In order to increase the supply and use of Korean medicine in the Cheonan area in the future, it is essential to provide support at the association level and systematic supplement at the government leve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group and the trend of frequency diseases.

지역사회 노인을 위한 대면과 비대면 운동프로그램이 운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xercise Programs on Exercis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 이다솔;이한숙;김래현;김예슬;김채윤;박범식;박병현;신미지;오은주;우수민;유지민;이주연;정성흠;정효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7-76
    • /
    • 2023
  • PURPOSE: The study compared the satisfaction of the exercise program in a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manner with the same exercise program.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or 57 seniors over 65 years of age. After conducting 30 minutes of the same exercise program face-to-face on the first visit and non-face-to-face on the second visit,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The survey data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using SPSS 26.0 (SPSS Inc, IBM, USA).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type of exercise program. The Spearman's Rank Correlation was conducted to correlate the satisfac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education level. RESULTS: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face-to-face program was higher than the non-face-to-face exercise programs. All three satisfaction items in face-to-face exercise programs were higher than in non-face-to-face exercise programs (p < .05). The main source of dissatisfaction in the case of face-to-face exercise programs was having a good relationship with people for face-to-face and a 'lack of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non-face-to-face. CONCLUSION: The elderly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face-to-face exercise than in non-face-to-face exercis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accurate satisfaction comparison was possible by conducting the same exercise program on the same subject for a relatively short time, and through this, the development of an exercise program was suggested.

딥러닝과 머신러닝을 이용한 아파트 실거래가 예측 (Apartment Price Prediction Using Deep Learning and Machine Learning)

  • 김학현;유환규;오하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2권2호
    • /
    • pp.59-76
    • /
    • 2023
  • 코로나 시대 이후 아파트 가격 상승은 비상식적이었다. 이러한 불확실한 부동산 시장에서 가격 예측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부동산 사이트에서 자료 수집 및 크롤링을 통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87만개의 방대한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다양한 아파트 정보와 경제지표 등 가능한 많은 변수를 모은 뒤 미래 아파트 매매실거래가격을 예측하는 모델을 만든다. 해당 연구는 먼저 다중 공선성 문제를 변수 제거 및 결합으로 해결하였다. 이후 의미있는 독립변수들을 뽑아내는 전진선택법(Forward Selection), 후진소거법(Backward Elimination), 단계적선택법(Stepwise Selection), L1 Regularization, 주성분분석(PCA) 총 5개의 변수 선택 알고리즘을 사용했다. 또한 심층신경망(DNN), XGBoost, CatBoost, Linear Regression 총 4개의 머신러닝 및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 후 모델을 학습시키고 모형간 예측력을 비교하였다. 추가 실험에서는 DNN의 node와 layer 수를 바꿔가면서 실험을 진행하여 가장 적절한 node와 layer 수를 찾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가장 성능이 우수한 모델로 2021년의 아파트 매매실거래가격을 예측한 후 실제 2021년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훌륭한 성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머신러닝과 딥러닝은 다양한 경제 상황 속에서 투자자들이 주택을 구매할 때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언어모델을 활용한 콘텐츠 메타 데이터 기반 유사 콘텐츠 추천 모델 (Similar Contents Recommendation Model Based On Contents Meta Data Using Language Model)

  • 김동환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27-40
    • /
    • 2023
  • 스마트 기기의 보급률 증가와 더불어 코로나의 영향으로 스마트 기기를 통한 미디어 콘텐츠의 소비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OTT 플랫폼을 통한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과 콘텐츠의 양이 늘어나고 있어서 해당 플랫폼에서의 콘텐츠 추천이 중요해지고 있다. 콘텐츠 기반 추천 관련 기존 연구들은 콘텐츠의 특징을 가리키는 메타 데이터를 활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콘텐츠 자체의 내용적인 메타 데이터를 활용하는 경우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콘텐츠의 내용적인 부분을 설명하는 제목과 시놉시스를 포함한 다양한 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사한 콘텐츠를 추천하고자 하였다.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기 위한 모델은 한국어 언어모델 중에 성능이 우수한 KLUE-RoBERTa-large를 활용하였다. 학습 데이터는 콘텐츠 제목, 시놉시스, 복합 장르, 감독, 배우, 해시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2만여건의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정형 데이터로 구분되어 있는 여러 텍스트 피처를 입력하기 위해 해당 피처를 가리키는 스페셜 토큰으로 텍스트 피처들을 이어붙여서 언어모델에 입력하였다. 콘텐츠들 간에 3자 비교를 하는 방식과 테스트셋 레이블링에 다중 검수를 적용하여 모델의 유사도 분류 능력을 점검하는 테스트셋의 상대성과 객관성을 도모하였다. 콘텐츠 메타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임베딩을 파인튜닝 학습하기 위해 장르 분류와 해시태그 분류 예측 태스크로 실험하였다. 결과적으로 해시태그 분류 모델이 유사도 테스트셋 기준으로 90%이상의 정확도를 보였고 기본 언어모델 대비 9% 이상 향상되었다. 해시태그 분류 학습을 통해 언어모델의 유사 콘텐츠 분류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고 콘텐츠 기반 필터링을 위한 언어모델의 활용 가치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