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erage index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6초

준분포형 TOPMODEL 개발 (Development of Semi-Distributed TOPMODEL)

  • 배덕효;김진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0호
    • /
    • pp.895-906
    • /
    • 2005
  • 최근 국내외적으로 수문관측 자료의 다양성 및 지형정보시스템의 발달로 분포형 유출모형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모형 가운데 하나인 TOPMODEL은 소유역에서만 적용될 수 있는 적용 유역면적의 제약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공간적 제약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준분포형 TOPMODEL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은 소유역의 토양수분 변화 및 유출해석을 할 수 있는 유역 유출모형과 각 소유역들을 연결하여 상류에서 하류로 하도 홍수추적을 할 수 있는 운동파 하도 홍수추적 모형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적용 대상지역은 $2,703km^2$의 소양강 댐 상류유역을 선정하였고, 과거 주요 호우사상을 선택하여 1990년 일단위 사상은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에 사용하였으며, 기타의 사상은 모형의 검증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선택된 호우사상에 대해서 관측유량과 계산유량의 상관계수가 0.9 이상으로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준분포형 TOPMODEL은 대유역의 홍수해석에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광릉 지역 활엽수 천연림과 도로 주변의 서식지 구조와 조류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Habitat Structure and Bird Communities between a Natural Deciduous Forest and the Road Area in Gwangneung, Korea)

  • 이주영;강정훈;임신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54
    • /
    • 2007
  • 본 연구는 광릉 지역의 활엽수 천연림과 도로 주변에서 서식지 구조와 조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10월부터 2006년 8월 사이의 기간 동안 수행되었다. 활엽수 천연림과 도로 지역의 서식지 환경은 매우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엽수 천연림은 대경목의 비율이 높고 상층 임관이 잘 발달해 있는 반면, 도로에서는 소경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상층임관의 발달이 적은 반면 하층식생의 피도가 높았다. 계절별 조사 결과 활엽수 천연림에서는 모두 37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도로에서는 20종이 기록되었다. 4계절에 있어서도 활엽수 천연림 이 도로보다 관찰 종수, 개체수 및 종다양도에 있어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길드 구조에 있어서도 활엽수 천연림 지역에서는 수관층 및 수동(나무구멍)에서 먹이와 둥지를 얻는 조류들이 많이 관찰되었으며, 도로에서는 관목이나 지면을 이용하는 조류가 많이 기록되었다. 두 지 역은 인접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류 군집의 특성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두 지 역 간 서식환경의 차이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청량산 삼림식생의 군락분류 및 종간연관 분석 (Syntaxonomy and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Ch분ongnyang)

  • Lee, Ho-Joon;Heung-Lak Choung;Byung-Ho Ba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121-136
    • /
    • 1995
  • The forest vegetation on Mt. Ch’ongnyang was investigated for phytosociological analysis of the vegetation types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 The forest was classified into seven vegetation units; 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1: Group of Quercus variabilis, A-1-a: Subgroup of Pinus densiflora, A-1-b: Typical subgroup, A-2: Group of Aconitum trilobum, A-3: Group of Quercus dentata, B: Zelkova serrata communty. The group of Quercus variabilis was distributed on southeast- and southwest-facing slopes in 400~830 m above the sea level, and organic matter in the soil was 3.36~4.67%. The group of Aconitum trilobum was distributed on northeast- and northwest-facing slopes in 650~830 m above the sea level, and organic matter in the soil was 7.18%. The group of Quercus dentata was distributed on southwest-facing solpes in the vicinity of 810 m above the sea level, and organic matter in the soil was 9.7%. The Zelkova serrata community was distributed in the vicinity of ravines, and organic matter in the soil was 7.6%. The contents of Mg and Ca, and electric conductivity in the Zelkova serrata community were relatively high, 11.82 me/100mg, and 11.27 me/100mg, 102.2 μ mos/cm,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polar ordination, environmental gradient of axis Ⅰ and axis Ⅱwere correlated with moisture, inclination and azimuth, respectively. Group of Quercus variabilis has occurred in xeric, group of Aconitum trilobum in submesic, and the Zelrova serrata community in mesic sites. In the meantime the interspecific association analysis based on chi-square yielded three species groupings with high positive affinity(p<0.01), i.e.group Ⅰ consisted of 18 species, including Acer pseudo-sieboldianum, Ansliaea acerifolia, Aconitum trilobum and group Ⅲ consisted of 19 species, in cluding Zelrova serrata, Oplismenus undulatifolius, Acer truncatum var. barbinerve, respectively.

  • PDF

제주도 저지대 묵밭 식물군락의 2차 천이 (Early Vegetation Succession in Abandoned Field in Cheju Island)

  • 유영한;이창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4호
    • /
    • pp.209-214
    • /
    • 2003
  • 제주도의 저지대 묵밭에서 일어나는 2차 천이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생의 높이, 생육형,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지수, 식피율, 우점도지수의 변화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내륙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전체적인 식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제주도 묵밭의 식생천이의 특징은 내륙에 비하여 종수가 적고, 식생의 높이가 낮고, 초본층이 우점하는 기간이 길고, 종다양성지수의 변화 유형이 다르고, 천이후기종의 출현이 매우 늦었다. 우점종에 의한 식생천이 계열은 주름잎(0.5∼l년)→큰망초(2년)→쑥(4년)→쑥-낭아초(5년)→찔레꽃-참억새(8년)→참억새(12년)→다년생초본→관목(15년)→예덕나무(20년)→까마귀쪽나무 또는 후박나무(20년 이후)로 추정되었다. 유집분석(Cluster analysis), Twinspan에 의한 분류와 주성분분석(PCA)에 의한 배열의 결과 묵밭은 초기묵밭(0.5∼l년차), 중기묵밭(2∼8년차)와 후기묵밭(8∼20년차)의 세 집단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구분되었다.

식생보전을 위한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ies for Vegetation Conservation of Pine Forest)

  • 배병호;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1호
    • /
    • pp.21-29
    • /
    • 1999
  • 본 연구는 영동지방에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군집유형을 밝히고, 이들 식생의 천이계열과 자연성을 검토하였으며 토양환경을 분석하였다. 62개 방형구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본 조사지역의 소나무림은 소나무군집하에 전형아군집, 신갈나무아군집, 진달래아군집, 붉나무아군집 등 4개 아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들간에는 종조성, 계층구조 및 식피율, 흉고직경 별 빈도분포 등 생태적 특징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본 조사지역 소나무림의 토양 환경은 타 지역 소나무림에 비하여 매우 빈약하였으며 특히 pH는 평균 4.87로 강산성을 띠고 있으며, 각 하위군간에도 토양환경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군집유사도의 분석에 따라 소나무림의 천이계열을 추정하였으며, 이들 식생의 녹지자연도는 전형아군집과 진달래아군집이 7등급, 신갈나무아군집이 8-1등급, 붉나무아군집이 8-2둥급으로 각각 사정되었다.

  • PDF

An interpretation of potential catastrophic collision at P/2010 A2

  • Kim, Yoonyoung;Ishiguro, Masateru;Michikami, Tatsuhiro;Nakamura, Akiko M.
    • 천문학회보
    • /
    • 제41권1호
    • /
    • pp.49.1-49.1
    • /
    • 2016
  • Solar System has evolved with numerous collisions among asteroids. Ancient catastrophic collisions of large parent bodies led the formation of asteroid families and relevant dustband structures up to the present day, and it would be interesting to address a question - "what happens if an asteroid collides with another asteroid?" Recent discoveries of "active asteroids" in the main-belt have attracted interest for their potential to witness a catastrophic collision in the current Solar System. So far, however, there is no direct evidence for catastrophic collision on active asteroids while several objects have been confirmed for other mechanisms (e.g., 596 Scheila for impact cratering, P/2013 R3 and P/2013 P5 for rotational breakup). The most potential candidate for catastrophic collision could be a sub-km active asteroid P/2010 A2, which is still controversial on its driving mechanism, but if confirmed, would have made P/2010 A2 the unique example of catastrophic collision on the current main asteroid belt. In this presentation, we revisit all of archival data of P/2010 A2 in a combination with our own observation using Subaru/Suprime-Cam on 2011 June, where we have a great benefit of a large orbital coverage. We found a grain size dependence of dust ejection velocity from P/2010 A2 (a power-law size distribution with an index of k~ -1/10), which is favorable to a catastrophic disruption scenario in agreement with laboratory impact experiments. At this conference, we plan to provide our understanding of the morphology of P/2010 A2 through a perspective of catastrophic collision.

  • PDF

Outdoor Applications of Hyperspectral Imaging Technology for Monitoring Agricultural Crops: A Review

  • Ahmed, Mohammad Raju;Yasmin, Jannat;Mo, Changyeun;Lee, Hoonsoo;Kim, Moon S.;Hong, Soon-Jung;Cho, Byoung-Kwa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1권4호
    • /
    • pp.396-407
    • /
    • 2016
  • Background: Although hyperspectral imaging was originally introduced for military, remote sensing, and astrophysics applications, the use of analytical hyperspectral imaging techniques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monitoring of agricultural crops and commodities due to the broad range and highly specific and sensitive spectral information that can be acquired. Combining hyperspectral imaging with remote sensing expands the range of targets that can be analyzed. Results: Hyperspectral imaging technology can rapidly provide data suitable for monitoring a wide range of plant conditions such as plant stress, nitrogen status, infections, maturity index, and weed discrimination very rapidly, and its use in remote sensing allows for fast spatial coverage. Conclusions: This paper reviews current research on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hyperspectral imaging and remote sensing for outdoor field monitoring of agricultural crops. The instrumentation and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approaches of hyperspectral imaging and remote sensing for agriculture are presented, along with more recent developments in agricultural monitoring applications. Also discussed are the challenges and limitations of outdoor applications of hyperspectral imaging technology such as illumination conditions and variations due to leaf and plant orientation.

웹 정보의 자동 의미연계를 통한 학술정보서비스의 확대 방안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the Expansion of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Automatic Semantic Linking Between Academic Web Resources and Information Services)

  • 정도헌;유소영;김환민;김혜선;김용광;한희준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1호
    • /
    • pp.133-156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KISTI NDSL의 학술논문 정보를 웹 학술자원과 연계하는 실험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KISTI의 정보 유통 서비스의 확대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웹 학술자원을 수집하여 STEAK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의미 연계를 생성하고 이를 학술논문 검색결과와 결합하였다. 시스템의 검색 정확률을 평가한 결과 매크로 정확률은 62.6%, 마이크로 정확률은 66.9%를 보였으며, 자동연계 성능에 대한 전문가 평가는 76.7점을 보였다. 주제 범주별 전문가 평가는 본 연구를 통해 의미연계를 잘 수행하는 경우에 높게 측정되어 시스템적 성능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는 다양한 웹 학술자원의 서비스 연계를 위하여 논문정보로부터 생성한 언어자원을 의미색인에 사용한 것으로 이를 통해 지속적인 웹 자원의 학술적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림(山林)의 입지환경인자(立地環境因子)가 표층토양(表層土壤)의 조공극률(組孔隙率)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분석(分析) (III) - 혼효임(混淆林)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sopore Ratio on the Soil Surface to Investigate the Site Factors in a Forest Stand (III)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Mixed Stands -)

  • 박재현;정용호;김경하;윤호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683-691
    • /
    • 2001
  •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지표로서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組孔隙率)(pF2.7)에 영향하는 인자를 밝히기 위해 1995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활엽수림 표본조사구를 대상으로 입지, 토양, 임분환경인자 등 총 24종에 대하여 spss/pc+를 이용하여 상관 분석하였다.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B층 토양에서의 조공극률, 하층식생 피복도, 표층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F층 두께 등 4개 인자가 유의한 정(正)의 상관관계를, 표층토양의 견밀도, 10cm 깊이의 토양견밀도가 각각 5%, 1% 수준에서 유의한 부(負)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Stepwise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증대에 영향하는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하는 인자는 B층 토양에서의 조공극률, 유기물함량비 등 2개 인자이었다.

  • PDF

가열조리조건에 따른 강낭콩조림의 저장 중 품질변화 (Effect of Cooking Conditions on Quality Changes of Braised Kidney Beans during Storage)

  • 정순경;이동선;류은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2-147
    • /
    • 2007
  • 우리의 식탁에 사용 빈도가 높은 강낭콩조림을 선정하여 전통적으로 조리되는 과정과 재료의 혼합비를 파악하고 보존 hurdle로서 가열조리조건을 조절하여 강낭콩조림의 저장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강낭콩 150g 기준에서 설탕 40g, 간장 30g, 물엿 30g인 배합비 하에서 가열조리시간을 25-50분으로 달리하여 조리하여 제품을 가공한 다음, $10^{\circ}C$에서 20일간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장시간의 가열조리인 50분 가열에서는 저장 10일째 곰팡이가 생성되어 섭취하기에는 불가하였다. 그리고 40분 가열에서는 저장 20일째 총균수가 log 값 3.6으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미생물균수는 가열시간이 짧은20분과 30분이 낮았다. 경도에 있어서는 50분의 긴 가열시간이 강낭콩의 과도한 경도상승을 야기시켜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강낭콩조림의 가열조리시간을 30분 동안 가열하여 남는 액의 비율을 70%로 하여 강낭콩 알이 침지될 수 있도록 저장하는 것이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품질변화와 함께 관능적인 품질에서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