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rtyard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1초

종합병원 로비공간의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 -로비 평면형태의 비교를 중심으로- (Healing Environment at the General Hospital Lobby Space -By comparison of the lobby plan type-)

  • 이유정;오준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9-97
    • /
    • 2018
  • 과거 병원은 치료만 목적으로 하여 최소한의 공용공간을 확보하여 계획되었지만, 현대 병원은 치유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공용공간이 늘어나고, 환자와 보호자와 의료진을 고려하여 계획된다. 또한 로비형태가 홀형에서 발전하여 스트리트형이나 컨코스형으로 계획되면서 공용면적이 증가했다. 과거병원과 다르게 접수, 대기, 수속공간에서 발전하여 현대병원은 상업,취미,문화공간으로 사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의 치유환경 요소를 선행연구에서 도출하여 치유환경 평가방법을 분석의 틀로 세워, 병원 로비공간의 치유환경을 로비 평면형태를 중심으로 분석, 평가한다. 병원 로비는 여러 행위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공간으로, 병원 로비 평면타입별 각 3개의 사례를 비교분석한다. 연구의 결과로 스트리트형이 홀형보다 로비치유환경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접근성, 옥상정원, 휴게공간의 분석결과는 비슷하다. 이는 사례대상이 대형종합병원이기에 충분한 공간이 계획되어 로비형태와 크게 관련 없는 요소로 사료된다. 스트리트형 중에서도 아트리움이 선형인 사례가 4면형 아트리움보다 오픈체적비가 크기에 로비의 공간감과 자연채광 유입효과가 크다. 또 로비평면이 홀형일 때, 단면이 중정형이면 오픈체적비가 큰 것을 보아 로비의 평면 형태도 중요하지만, 단면형태도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조망거리에 따른 농촌경관의 농촌다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Rurality by the Distance of View)

  • 신민지;신지훈
    • 농촌계획
    • /
    • 제21권2호
    • /
    • pp.63-77
    • /
    • 2015
  • Improve the rural views of the Government and the municipalities with the intention of rural landscape planning. However, rural scenery evaluation of landscape types and element categories, landscape scenes, such as the valuation of resources selected, form a coherent system and ecological point of view is not only a Visual perspective of evaluation, or evaluation is made. This study evaluates the rural landscape through the rural landscape for rurality is implemented can explain the image. Rural amenity 100 represented the rural landscape in rurality with photos of photos, and scenes, photos, location-based rural Vista rurality landscapes drawn components. Selected landscape photography scenic landscapes in the u.s. survey and image vocabularies through surveys is representative of the landscape in rurality of each Vista location-specific photos and images began extracted factors. As a result, the Distant view is a town and village in the rolling hill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an image behind the Vista Skyline, Farmland Rural village forests, Behind the hills, Individual housing roof, Housing arrangement, The number of household includes landscape components. Factor analysis 'openness', 'intimacy', 'activity', 'complexity', 'safety' was down to five factors, such as a description of the overall factors that force was 66.45 percent. Middle distance view is close to being out of town houses and village environment, an image in the skyline hills Vista, farmlands, village forests, rolling hills, behind the scenes of the housing component of the neck, the sperm will honor an individual factor analysis results are 'intimacy', 'safety', 'openness', 'specificity', 'complexity' five factors the whole description of the capacity factors compared to 67.24 percent. Close-range view is mainly in Vista village embraced the individual elements and an image of a harmonious location in the surroundings of the sperm, individual houses, fences, gates, courtyard, Garden, garage, agricultural faciliti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factors assay but an 'intimacy', 'complexity', 'safety', 'activity', 'openness' five factors, such as a description of the overall factors that force was 65.29%. This research seek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rurality of rural landscape Vista by location attributes and elements and representative officer in photo selection and rurality to extract the image. To date, followed by a comprehensive study, which was presented through the readjustment could not overlook the Visual elements. The future rural development officer for the evaluation of rural landscape classification and quantitative and objective assessment will have to come up with ways to do.

순조 궁중연희 내연 무대의 주렴(朱簾), 갑장(甲帳)에 관한 연구 -수리(修理)·배설(排設) 부분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d Blind and Gabjang on the Playacting Stage at the Royal Palace under King Sunjo -Focusing on Repairs and Installation-)

  • 석진영;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6권6호
    • /
    • pp.67-76
    • /
    • 2017
  • Royal banquets under the reign of King Sunjo saw developments in the playacting stage, which exhibited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transitionary period between Jeongjo and Gojong this period established the framework of the Joseon Dynasty's playacting stage construction. Starting with the Jagyeongjeon-Hall banquet and continuing into the Year of the Golden Rat banquet, the next-day banquet by the Crown Prince demonstrates a renewed format, with the stage also changing accordingly. This change was substantiated by more assertive use of the Red Blind and gabjang. Previously, the Red Blind has been installed in the palace hall and around the royal courtyard, to form three sides, but as next-day banquets became more frequent under Sunjo, the Red Blind developed and came to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hierarchy within the royal family. In the Year of the Golden Rat banquet, the Red Blind was lifted and the throne of the crown prince was situated in the palace hall. In the banquet of the following year, however, the Red Blind was let down and the crown prince's throne was placed outside, in palace court yard. This seems to have been a gesture to reorient the crown prince's political standing and restore Sunjo's sovereignty the following year. Hence, the installation of the Red Blin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royal hierarchy and ranks under Sunjo's reign. The gabjang provided the second layer of protection for the playacting stage. The hongjeongju gabjang surrounded the stage in multiple layers and served as a partition. The gabjang from the Year of the Golden Bull banquet, in particular, boasted a unique installation, where it dangled from both sides of the royal palace's facade. Hongjeongju gabjang, lapis lazuli gabjang, red gabjang, and yellow curtains were installed in the stated order to reflect Sunjo's 40th birthday as well as the 30-year anniversary of his coronation. The Red Blind and gabjang from Sunjo's years were positioned in creative ways to reinstate the royal authority, and demonstrated many improvements from those of Jeongjo's reign.

발아환경에 따른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종자 발아력, 발아세 및 발아피크 비교 (Comparison of Seed Germinating Vigor, Germination Speed and Germination Peak in Kentucky Bluegrass Cultivars under Different Germination Conditions)

  • 김경남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3-38
    • /
    • 2015
  • The study was initiated with Kentucky bluegrass (KB, Poa pratensis L.) to investigate germination and early establishment characteristics of new cultivars for a practical application to turfgrass establishment such as parks, athletic field and golf course etc. Fifteen cultivars were evaluated in different experiments. An alternative condition for a KB germination test required by International Seed Testing Association (ISTA) was applied in Experiment I, consisting of 8-hr light at $25^{\circ}C$ and 16-hr dark at $15^{\circ}C$ (ISTA conditions). Experiment II was conducted under a room temperature condition of 5 to $25^{\circ}C$ (natural conditions). Seed germinating vigor, germination speed and germination peak time were measured in both experim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eed germinating vigor, germination speed and germination peak time. Seed germinating vigor was variable with different environments and cultivars. It was 75.25 to 89.50% under ISTA conditions and 75.75 to 90.25% under natural conditions. There were considerable variations in early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mong KB cultivars according to different environments. Early germination characteristics showed that all cultivars were 3 to 5 days faster in germination under ISTA conditions, when compared with natural conditions. The germination speed, measured as days to seed germination of 50% to 80%, was much faster with 'Midnight II', 'Excursion' and 'Midnight' under ISTA conditions. But it was faster with 'Midnight II', 'Excursion' and 'Odyssey' under natural conditions. Differences was also observed in germination peak time with cultivars and growing conditions. It ranged 5.94 to 14.88 days under ISTA conditions and 4.71 to 13.06 days under natural conditions.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 conditions, the shortest cultivars were 'Odyssey' and 'Midnight II'. The longest ones were 'Nuglade' under ISTA condition and 'Moonlight' under natural conditions. Considering germinating vigor, germination speed and germination peak time, 'Midnight II', 'Excursion', 'Midnight', and 'Odyssey' were regarded as excellent cultivars under ISTA conditions in terms of early establishment characteristics, while 'Midnight II', 'Excursion', 'Odyssey', and 'Courtyard' under natural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tensive germination test be needed prior to planting, for investigating the early germinating vigor, germination speed and germination peak time. Also, a proper cultivar selection and comprehensive site analysis for the growing environmental conditions should be done before turfgrass establishment such as golf course construction.

중국 강남 수향진의 수변공간 특성 연구 - 절강성 오진과 남심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of Jiangnan Watertown(水鄕鎭) in China - Focusing on Wuzhen and Nanxun in Zhejiang Province -)

  • 최정권;최정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8-109
    • /
    • 2016
  • 본 연구는 물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형성되고 발전해 온 중국 강남 수향진 외부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중국 절강성에 위치한 수향진인 오진과 남심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결과로서 수변공간의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향진의 입지와 도시적 골격, 필지 구획과 건축은 수로에 의해서 결정된다. 수로는 십자형(十字形) 또는 정자형(丁字形)과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수로의 교차점과 중심 수로변은 규모와 세력이 큰 상업지가 형성되어 고밀화된다. 둘째, 중심 수로변으로 공적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시각적, 기능적으로 교호하는 사적인 건축물들이 수로변에 자리 잡아 강남 수향 특유의 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셋째, 주거지는 남향 배치가 유리한 동서 방향의 수로변으로 형성되고, 수변 주택은 중정을 가진 내향적인 공간 구조이지만, 외부공간은 수로공간과 긴밀성을 높여 공간적으로 조화되는 수변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넷째, 수변공간을 형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공간 환경을 풍부하게 한다. 즉, 수로와 함께 수변로, 낭붕, 기루, 다관, 하부, 광장, 교량, 희대, 수문과 탑 같은 외부공간 요소는 수향진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정체성을 부각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현대도시에서 장소의 고유성과 질이 핵심경쟁력이 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역사적, 문화적 집적도가 높은 강남 수향은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과의 긴밀성 증진은 수변공간 계획이 지향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가치이다. 둘째, 용도 복합은 공간의 효율적 이용과 장소 활성화를 위한 필수적이다. 셋째, 지역의 고유성을 장소 자산으로 하는 수변 계획이 요구된다.

시대 및 종교적 환경과 한국의 조경 경관형성 소고 (Historical Contemplation on the Korean Landscape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Religious Environment)

  • 심재성;배정관;서병기;최종명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85-101
    • /
    • 2002
  • 본 소고는 한국의 시대와 종교에 입각한 경관형성변화를 개관하고 조형방식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고찰하면서 신개념의 조경 중심사상 구축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미와 환경에 조화되는 경관조성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조경을 새로운 시각에서 재조명하였다. 또한 이를 종교적 차원으로 승화시키기 위한 자리메김의 가능성도 검토하였다, 경관이라는 개념을 시대와 장소에 따라 변화되는 의미를 탐색하고 경관을 통해 인간이 감각될 수 있는 상황적 인식을 추정하였다. 본 소고를 통해 한국적 조경의 위치와 이를 근거로 민족의 사상 및 종교와 연관된 새로운 조경문화의 발전방안을 논의하였다.

  • PDF

덕수궁 선원전(璿源殿)영역의 조경 복원정비 계획 (A Landscap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lan in the Seonwonjeon of the Deoksugung Palace)

  • 소현수;김미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32
    • /
    • 2021
  • 대한제국 시기 경운궁에 부속된 왕실의 제례공간이었으나 현재 비어있는 덕수궁 선원전영역의 복원 사업으로서 조경 복원정비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원형 고증과 유사 사례 고찰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선원전영역에 있었던 전각 배후림의 원지형이 전각의 지반보다 3.0~5.0m 높아서 녹지 경계부에 화계를 설치하여 경관적으로 처리하였다. 둘째, 배후림은 제례에 사용하는 과실을 얻기 위한 유실수원과 제례공간을 상징하는 소나무림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궁궐 방문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성역(聖域)의 분위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부지 양쪽 끝에 휴게공간을 배치하고, 배후림 내에 산책로를 도입하였으며, 최소한의 조경시설로서 기능적으로 요구되는 안내판, 휴게의자, 수목보호대, 경사로, 보행등·경관조명등을 도입하였다. 넷째, 문헌, 고회화, 사진 등 사료(史料) 고찰과 현장 조사로 궁궐과 제례공간의 기존 식재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원전영역 조경공간을 구성하는 전각 마당, 관람로와 휴게공간, 화계, 소나무림, 유실수원의 배식계획을 수립하였다.

공동주택 사적 외부공간의 계획적 특성 - 유럽 사례에서 매개공간으로서의 발코니, 로지아, 테라스를 중심으로 -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Private External Space in Multi-family Housing - focusing on the Balconies, Loggias and Terraces as intermediate spaces in European Cases -)

  • 김현주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2호
    • /
    • pp.13-24
    • /
    • 2020
  • This study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external space planning in multi-family hous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ood case built after 2000 in Europe. First, the cases were categorized into block or block perimeter, linear and point typ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building in urban context and the location of private external space. By block or block perimeter and linear type, private external spaces are planned in the inner courtyards or open space between buildings used as common space for residents, inducing communications between neighbors. And the direction of private external space depends on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 mass in urban context. In the classification as point type, there are many cases, where private external spaces are arranged in all directions, connected almost all interior spaces. Secon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lanned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external space are derived by dividing it into three categories: intermediated spa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intermediate space between private and public /individual and collective space and the identity of the intermediate space. (1) In most cases, direction, size of enclosed area and location of private extern space is designed to fit the surrounding context, so residents can perceive as much of the asset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possible, and it can be used as an extended area of living space. In another cases, it is divided into various sub-areas to experience the spatial transition from inside to outside or vice versa. 2) The private external space, which is placed in a courtyard or in a collective open space, is partially enclosed and blocked, allowing interaction with the neighbors without pressure. Along the street, they are designed to allow residents to experience the vitality of the city and to be formative element of the facade, which could confidently reveal the lifestyle and taste of residents. 3) By some of point types, which facade is three-demensional layer as a habitable external space, the private external space is very flexible for use. This intermediate space is composed of diverse spaces for various needs, or it has generous size with positional conditions connected with all interior spaces to be used multi-functional.

서유구(徐有榘)의 향촌 주거환경 조성에 관한 구상 (Seo Yu-gu's Design Concept for a Rural Residential Landscape)

  • 심명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7-137
    • /
    • 2022
  • 이 논문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제14지 『이운지(怡雲志)』의 1권 「형비포치(衡泌鋪置)」에 수록된 향촌의 주거환경 조성에 관한 서유구(徐有榘, 1764~1845)의 구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임원경제' 기획 실천을 위한 토대인 향촌의 주거 공간은 서유구가 『임원경제지』를 통해 지향한 바를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로서, 본고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원림·간소(園林·澗沼)>는 「형비포치」를 구성하는 네 부분 중 두 번째 주거환경 및 조경을 과 관련된 내용이다. 서유구는 <원림·간소(園林·澗沼)>를 통해 당시 문인들 사이에 이상적 정원에 대한 영감을 준 정도로 이해되었던 명말 유민 황주성의 「장취원기」를 조선적 풍수관에 입각해 해독하고, 장취원의 내용으로부터 배운 이상적 주거환경 조건을 조선의 향촌 주거에 실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고에서 고찰한 서유구의 중국문헌에 대한 접근 방식과 이를 통해 배운 내용을 조선에 적용하는 태도는 『임원경제지』<예언(例言)>에서 천명한 '조선만을 위한 내용을 채록한다'라는 『임원경제지』 저술의 목표를 보여주는 일례이자 서유구의 지향을 알아 볼 수 있는 중요성을 띠고 있다.

빌라 데스테의 정원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arden Architecture in Italian Renaissance Villa d'Este)

  • 김은영;김규연;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9-57
    • /
    • 2022
  • 본 연구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의 조영배경, 입지 및 공간구성특성 구명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점유하고 있는 빌라 데스테의 정원건축적 특성을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로 구분하여 이루어졌으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영의 경우 16세기 중후반 설계가 피로 리고리오(Pirro Ligorio)가 이폴리토 데스테(Ippolito d'Este) 추기경의 지시 하에 빌라 조영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데스테 가문 소유로 계승되다 재정난으로 1850년 추기경 구스타프 폰 호엔로헤(Gustav von Hohenlohe)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어 훼손된 정원 복구에 힘썼고 세계 1차 대전을 겪으며 이탈리아 정부 소속으로 소유권이 넘겨진 빌라 데스테는 전쟁으로 인해 무너진 빌라의 대규모 복구 작업이 시작되고 세계 2차 대전을 겪었다. 또 한번 피해를 입은 빌라 데스테는 복구 과정까지 거친 후 현재는 많은 방문객을 받으며 운영되어지고 있다. 둘째, 입지의 경우 도심에 위치하는 우르바나 성격을 가지며, 산기슭에 위치한 계곡형의 지형조건을 가지고 있다.셋째, 공간구성의 경우 16세기 초기 코르틸레 델 벨베데레와 빌라 마다마의 노단의 설치, 기하학적 대칭 등의 조영원칙들에 영향을 받아 축선과 직교하며 정원의 각 부분이 전개된다. 주요 건물은 구릉에 위치하여 한눈에 정원과 주변 경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구성요소 중 건조물의 경우 계단, 로지아, 중정, 석굴 등이 있었고 구성요소 중 빌라 데스테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인 수경관에는 분수, 캐스케이드, 벽천, 연못 등이, 식생으로는 월계수, 가시나무, 감탕나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