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rse classification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33초

급성 후두개염 환자의 Scope Classification에 따른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Acute Epiglottitis According to Scope Classification)

  • 김경휘;정용기;김명구;은영규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4-107
    • /
    • 2011
  • Background and Objectives Scope classification is designed to classify acute epiglottitis according to laryngoscopic findings. There is no report about the utility of classific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gnosis and the prognosis by the Scope classification was not f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tility of Scope classification in patients with acute epiglottitis. Subject and Method 127 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to our hospital were diagnosed with acute epiglottitis.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by the Scope classification. We compar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inical symptoms and signs, laboratory findings, and clinical course among the patient groups and divided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Scope classification. Result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inical symptoms and signs, laboratory findings, and clinical course. Conclusion The Scope classification of acute epiglottitis does not seem to be a method to evaluate the severity of acute epiglottitis. Thus, we need to develop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for acute epiglottitis.

  • PDF

자동 분류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강의 평가 방법 (Online Course Evaluation Method by Using Automatic Classification Technology)

  • 이용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291-300
    • /
    • 2020
  • 국내외 온라인 강의에 대한 학습자와 프로그램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평가 방법은 설문지에 의한 정량적인 수치에 의존하고 있으며 객관적인 학습 만족도에 대한 평가 방법은 마련돼 있지 않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게시판에 있는 빅 데이터 메시지를 분석하여 온라인 강의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려고 한다. 실제로 빅 데이터 분석기법 중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는 자동분류 기법을 적용하여 온라인 강의 평가에 시범 적용해 보았으며 델파이 분석 결과에서도 평가 항목과 분류 결과 등이 온라인 강의 평가에 적합하고 학교나 기관에서 적용해볼 만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빠르게 축적되고 있는 빅 데이터 분석기술을 가장 변화가 늦은 교육 분야에 적용해 보고 확장 가능성을 진단해보는데 의의가 있다.

The Development of a Trial 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 Lee, Sung-Youl;Yu, Hwa-Young;Ahn, Jung-A;Park, Ga-Eun;Choi, Woo-Seok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4호
    • /
    • pp.43-47
    • /
    • 2014
  •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 technology and the globalization of society have accelerated the fractionation and specialization of academic disciplines. Accordingly,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continually dropping antiquated courses to make room for new courses that better meet societal demands. With emphasis placed on providing students with a broader range of choices in terms of course selection, compulsory courses have given way to elective courses. On average, 4 year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in Korea currently offer somewhere in the neighborhood of 1,000 different courses yearly. The classification of an ever growing list of courses offered and the practical use of such data would not be possible without the aid of computers. For example, if we were able to show the pre/post requisite relationship among various courses as well as the commonalities in substance among courses, such data generated regarding the interrelationship of different courses would undoubtedly greatly benefit the students, as well as the professors, during course registration. Furthermore, the GT system's relatively simple approach to course classification and coding will obviate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more complicated keyword based search engine, and hopefully contribute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course coding scheme in the future..Therefore, as a sample case project, this study will use GT to classify and code all courses offered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of K University, thereby developing a system that will facilitate the scanning of relevant courses.

추나의학 관련과목 개설현황 조사 (Curriculum Analysis of Chuna Manual Medicine in Korea)

  • 박태용;신병철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7-168
    • /
    • 201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of Chuna manual medicine (CMM)-related subjects in oriental medicine college and to let CMM have opportunities to develope current curriculum and basic circumstance for CMM. Methods: Questionnaire was obtained from 11 oriental medicine college and 1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bye-mail. If there was any insufficient information from response, we asked more information by direct call. Results and Conclusions: The findings from our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are three CMM-related subjects, CMM,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ORM) and Neuromusculoskeletology(NMS). All curriculums of 8 colleges belonged to classification I have CMM and DRM courses. Curriculums of 4 colleges belonged to classification II, have ORM or NMS course without CMM course. 2. 10 colleges of 11 ones which have ORM course, have major compulsory courses, 1 college has a major optional course. 5 colleges of 8 ones which have CMM course, have major compulsory courses, 3 colleges have major optional courses. 2 colleges have only part-time lecturers for CMM course, other 2 college have cooperation of specialized professors and part-time lecturers, another 8 colleges have only specialized professors. 3. Most CMM-related subjects is teached at 3 or 4 grade of medical course. The units taken for CMM-related subjects is minimum 4 units to maximum 8 units in total about 160 units. 4. Total class hour for CMM-related subjects is minimum 120 hours to maximum 225 hours, and practice hours is about minimum 30 hours to maximum 75 hours. 5. The systematic regulation and financial support is needed for patients to get the best CMM treatment, because the present curriculum of CMM is insufficient for carrying out the best manual therapy for patients.

  • PDF

골프 코스 시뮬레이션을 위한 딥 러닝 기반 이미지 데이터 처리 기법 (Deep Learning-based Image Data Processing for Golf Course Simulation)

  • 김승현;최원제;우홍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545-54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골프 코스 시뮬레이션을 위해 수집된 데이터의 정제 및 처리에 요구되는 딥 러닝 모델과 모델 적용 과정에 대해서 논의한다. 최근 스크린 골프 시장의 확대와 골프 시뮬레이터 기술의 발전으로, 위성 이미지, 항공 촬영 이미지, 공간 정보 시스템 (GIS) 등 다양한 데이터 소스로부터 골프 코스에 대한 정보를 수집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소스로부터 생성된 원시 데이터를 최적의 시뮬레이션 입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컴퓨터 비전 기법과 딥 러닝 모델 구조에 대해서 검토한다. 특히, 데이터에서 골프 코스 시뮬레이션에 요구되는 메타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해 코스 분할(Segmentation)과 코스 오브젝트 분류(Classification) 모델을 적용하는 과정을 다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골프 코스 시뮬레이터의 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기술 요소를 제공하며, 이는 시뮬레이션의 정확도와 골프 코스의 다양성을 증진시키는데에 기여한다.

  • PDF

새로운 환경에 맞는 e-비즈니스 인력의 분류와 인력양성을 위한 진로 로드맵 개발에 관한 연구 (e-Business Manpower Classification That is Correct in New Environment and Study of Course Roadmap Development for Manpower Training)

  • 장기진;홍정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07-129
    • /
    • 2009
  • e-비즈니스를 이행하는 사람은 정보기술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이해하여야 한다. 현행 정책과 시스템은 국내 e-비즈니스 인력양성을 위하여 새로운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새로운 차원에서 변화를 충족하기 위하여 현재의 인력양성에 대한 정의와 인력분류를 이행하였다. e-비즈니스 인력의 교육과정에 대한 역량 및 프로그램 개발은 신입사원, 전문가, 관리자, 경영자의 과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은 대학에서 전공과 기업에서 수행하는 업무와 기능에 따라 10가지 세부 직무를 구분하였다. 세부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ASK(Attitude, Skill, Knowledge)모델로 제시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초점을 맞추었다.

  • PDF

근무력증 환자의 외과적 치료 (Clinical effect of Thymectomy for Patients in Myasthenia Gravis)

  • 정원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1호
    • /
    • pp.152-157
    • /
    • 1990
  • A clinical study for thymectomy for 23 patients in Myasthenia Gravis was done between May, 1982 and July, 1989.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n Yang University. Among Z3 patients, male to female ratio was 11: 12 and Age of onset was ranged from 15 years-old to 52 years-old. Previous symptom duration from diagnosis until operation was ranged from 2 months to 96 months, and Mean duration was 28.74 months. The severity of disease was classified by Osserman`s classification preoperatively. In histopathology of thymus, Thymic hyperplasia 7 cases, Thymoma 7 cases, Invasive thymoma 3 cases, Within Normal Limit 5 cases, and Thymic Atrophy 1 case. Correlation between preoperative symptom duration and postoperative clinical cour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horter of preoperative symptom duration, The better of postoperative clinical course. Grading of postoperative course was classified by Papatestas in 1975. Follow-up for postoperative course was ranged from 3 months to 7 year and 4 months, Cases of complete remission 1 year postoperative period were 9 cases and cases of Improvement were 8 cases, So totally 17 cases among 23 cases[73.91%] found good results.

  • PDF

성인의 선천성 식도기관지루 - 1례 보고 - (Congenital Esophago-Bronchial Fistula in the Adult - Report of a Case -)

  • 정언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5호
    • /
    • pp.880-883
    • /
    • 1989
  • Congenital esophagobronchial fistula without esophageal atresia is rare, usually has an insidious clinical course, so it usually diagnosed in adulthood. A esophagogram showed a esophagobronchial fistula between diverticulum at the middle third of the esophagus and just proximal site of apical segmental bronchus of left lower lobar bronchus. It belonged to type I of Braimbridges classification for congenital esophago-bronchial fistula. Esophageal diverticulectomy, fistulectomy and left lower lobectomy were done and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 PDF

Desig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urs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ajors

  • KyungHee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87-195
    • /
    • 2023
  • 본 연구는 엔트리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교양 교과목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컴퓨터, 인공지능, 교육학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고 선행연구 분석,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최종 인공지능 교양 교과목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 주제는 크게 이미지 분류, 영상인식, 텍스트 분류, 소리 분류 총 4가지로 구성하였다. 교육 내용은 주제별로 1) 인공지능 원리 이해, 2) 엔트리 인공지능 모델 활용 실습, 3) 윤리적 영향성 확인, 4) 배운 내용을 기반으로 실생활 문제 해결을 위한 팀별 아이디어 회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본 교과목을 통해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은 인공지능 핵심기술의 원리 이해를 바탕으로 엔트리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직접 구현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실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인공지능으로 해결해보는 경험을 기저로 기술을 이해하고 인공지능 시대 필요한 윤리를 모색해보며 책임감 있게 사용하는데 긍적적인 기여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Changes in Achievement Goals According to Course Classification in a Liberal Arts Software Education

  • Seung-Hun Shin;Joo-Young 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301-311
    • /
    • 2023
  • 대학 교양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성취 목표는 중요한 연구 주제이며, 이는 최근 보편화된 교양소프트웨어 교육에도 해당된다. 본 논문에서는 교양 소프트웨어 교과를 수강하는 학습자들의 학수 구분에 따른 학습 동기 변화를 3 × 2 성취목표모델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은 필수와 선택 등 서로 취지로 학점을 이수하는 학습자들이 함께 수강하는 토론 중심 교과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유사한 성취 목표로 학기를 시작하나, 선택으로 이수하는 학습자들의 회피 목표가 감소하여 학기 말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의무 수강을 학습 동기 결여의 원인으로 지목한 기존 교양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와 다른 결과이다. 또한, 선택으로 수강하는 학습자들은 상대적으로 경쟁보다는 성취에 학습 목적을 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