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nt 모형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4초

중첩 NHPP 모형에 근거한 소프트웨어 최적방출시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oftware Optimal Release Time for Based on Superposition NHPP Model)

  • 김희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9-17
    • /
    • 2010
  • Decision problem called an optimal release policies, after testing a software system in development phase and transfer it to the user, is studied. The applied model of release time exploited infinite non-homogeneous Poisson process. This infinite non-homogeneous Poisson process is a model which reflects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new faults when correcting or modifying the software. The failure life-cycle distribution used superposition which has various intensity, if the system is complicated. Thus, software release policies which minimize a total average software cost of development and maintenance under the constraint of satisfying a software reliability requirement becomes an optimal release policies. In a numerical example, after trend test applied and estimated the parameters using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of inter-failure time data, estimated software optimal release time. Through this study, in terms of superposition model and simply model, the optimal time to using superposition model release the software developer to determine how much could count will help.

국내 회전교차로의 추돌사고 모형 개발 (Developing Rear-End Collision Models of Roundabouts in Korea)

  • 박병호;백태헌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51-157
    • /
    • 2014
  • This study deals with the rear-end collision at roundabou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ccident models of rear-end collision in Korea.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 to developing the appropriate models using Poisson, negative binomial model, ZAM, multiple linear and nonlinear regression models, and statistical analysis tool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uong statistics and overdispersion parameters indicate that ZIP is the most appropriate model among count data models. Second, RMSE, MPB, MAD and correlation coefficient tests show that the multiple nonlinear model is the most suitable to the rear-end collision data. Finally, such the independent variables as traffic volume, ratio of heavy vehicle, number of circulatory roadway lane, number of crosswalk and stop line are adopted in the optimal model.

공유환경효과를 고려한 수리가능한 시스템의 수명과 고장회수의 결합모형 개발 (Joint Modeling of Death Times and Number of Failures for Repairable Systems using a Shared Frailty Model)

  • 박희창;이석훈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1-123
    • /
    • 1998
  • We consider the problem of modeling count data where the observation period is determined by the life time of the system under study. We assume random effects or a frailty model to allow for a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the death times and the counts. We assume that, given a random effect or a frailty, the death times follow a Weibull distribution with a hazard rate. For the counts, given a frailty, a Poisson process is assumed with the intensity depending on time. A gamma distribution is assumed for the frailty model. Maximum likelihood estimators of the model parameters are obtained. A model for the time to death and the number of failures system received is constructed and consequences of the model are examined.

  • PDF

여행비용모형 분석을 통한 유어(遊漁)활동의 경제적 가치 추정 -미국 멕시코만 Red Grouper 유어부문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conomic Value of the Gulf of Mexico Recreational Red Grouper Fishery)

  • 김도훈
    • 수산경영론집
    • /
    • 제36권2호
    • /
    • pp.121-134
    • /
    • 2005
  •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measures and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for the allocation of total allowable catch between recreational and commercial sectors, the economic value of red grouper recreational fishery in the United States Gulf of Mexico was estimated using a Travel Cost Method(TCM),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count data, a Poisson model(PM) and a Negative binomial model(NBM) were used in the TCM. Results of models showed that the NBM was statistically more suitable than the PM since the overdispersion problem occurred in the PM. Results also indicated all signs of the estimated parameters were as expected and were significant, except for a Boat parameter in both models. Based on the results of NBM, the total economic value of the recreational red grouper fishery was estimated to be $\$698.6$ and the value per trip was $\$179.5$. In addition, the total changes in expected consumer surplus due to changes in catch rates was $ \$42.3$.

  • PDF

통행시간분포를 이용한 교통량기반 추정O/D의 신뢰성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n the traffic count based O/D matrix using Trip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

  • 이승재;손의영;김종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3-62
    • /
    • 2000
  • 현재까지 개발된 교통량 기반 O/D 추정기법들은 추정된 O/D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통계적 오차분석을 통한 참O/D(true O/D)와 추정O/D간의 타이를 분석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었다. 문제는 이러한 오차분석기법들이 현실적인 대규모 교통망상에 적용될 때 탐O/D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알 수 있다고 하더라도 추정된 O/D와의 비교 평가시에 그러한 평가방법으로 추정된 O/D의 신뢰성을 부여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통행조사에 의한 O/D는 비록 포함되어 있는 정보가 과거의 정보라고 할지라도 현재의 통행흐름에 대하여 가장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선행O/D의 정보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관측교통량으로 O/D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 이 관점에서 매우 뛰어난 추정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O/D정보 중 통행수요예측시 가장 중요한 지표의 하나인 통행시간빈도분포 (TriP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TLFD)를 이용하여 추정O/D의 신뢰성 지표로 삼았다. TLFD는 4단계 모형에서 통행분포(trip distribution)시 모형을 정산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으로써 죤간 통행시간을 단위별로 나누어 조사된 통행시간분포와 추정된 O/D의 통행시간분포가 유사한 지를 살피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조사된 TLFD와 추정O/D의 TLFD가 유사한 모양을 이를 때 추정O/D의 신뢰성이 높다고 인정한다. 또한 TLFD는 전통적으로 조사된 표본O/D를 전 수화하는데 이용되어 그 타당성 또한 많이 검증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TLFD를 가지고 교통량으로 O/D를 추정하는 모형의 결과를 검증한 연구 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인 이러한 분석결과를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평가된 지표가 신뢰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면, 추정된 결과를 보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카드자료를 활용한 지하철 승강장 동적 혼잡도 분석모형 (A Model for Analyzing Time-Varying Passengers' Crowdedness Degree of Subway Platforms Using Smart Card Data)

  • 신성일;이상준;이창훈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9-63
    • /
    • 2019
  • 지하철 승강장의 혼잡도 관리는 열차지연방지, 승객안전 등의 서비스수준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승강장 혼잡개선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혼잡수준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현재 지하철 승강장 혼잡도는 1-2년 주기의 특정 장소 및 시간에 계수방법(Hand Count)로 측정되어 시공간적 제약이 존재한다. 한편 스마트카드자료는 매일 실시간 생성되는 빅데이터 자료로서 승강장혼잡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적합하다. 본 연구는 카드자료를 승강장 혼잡도를 동적으로 추정하는 모형을 제안한다. 연구는 우선 혼잡도를 지하철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이동하는 승객이 승강장에 집중하는 수요개념으로 정의한다. 이를 위해 지하철 네트워크에서 개별승객이 동적으로 이동하는 궤적을 모형을 통하여 파악한다. 또한 지하철승강장에 집중 및 분산되는 승객흐름을 1분 단위로 산정한다. 마지막으로 승강장구조별 단위 실용대기면적에 따른 승강장 혼잡도를 계산한다.

머신러닝 기반의 유튜브 먹방 콘텐츠 인기 예측 모델 (A Machine Learning-based Popularity Prediction Model for YouTube Mukbang Content)

  • 서범근;이한준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49-5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 먹방 콘텐츠의 인기를 예측하는 모형을 제안하고 사후 분석을 통하여 먹방 콘텐츠의 인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식별하였다. 이를 위해 API와 Pretty Scale을 활용하여 구독자수 상위 먹방 채널들로부터 22,223개 콘텐츠의 정보를 수집하고 Random Forest, XGBoost 및 LGBM 등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조회수와 좋아요수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SHAP 분석 결과 조회수 예측 모형에서는 구독자수가 예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좋아요수 예측 모형에서는 크리에이터의 매력도가 중요변수로 도출되는 등 콘텐츠 조회와 좋아요 반응에 대한 선행요인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량의 온라인 콘텐츠를 분석하여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먹방 크리에이터들에게 시청자들의 콘텐츠 소비 경향을 알려주고 상품성 높은 콘텐츠 제작의 가이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의를 지닌다.

척추 뼈 SPECT/CT검사에서 경피적 척추성형술 시행 환자의 골 시멘트로 인한 인공물과 CT보정방법의 유용성 평가 (Usefulness Evaluation of Artifacts by Bone Cement of Percutaneous Vertebroplasty Performed Patients and CT Correction Method in Spine SPECT/CT Examinations)

  • 김지현;박훈희;이주영;남궁식;손현수;박상륜
    • 핵의학기술
    • /
    • 제18권1호
    • /
    • pp.49-61
    • /
    • 2014
  •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 환자의 발병률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경피적 척추성형(percutaneous vertebroplasty, PVP)은 가장 많이 시행되는 표준화된 치료 방법이다. 시술 전 후의 정확한 진단평가에 있어 SPECT/CT 검사의 유용성이 우수하다는 연구 보고가 있으나 시술에 사용되는 골 시멘트(bone cement) 물질은 CT 영상에서 인공물(artifact)을 생성하여 영상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골 시멘트가 SPECT/CT 영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NEMA-1994 팬텀(phantom)에 배후방사능(3.6 kBq/ml), 열소(29.6 kBq/ml), 냉소(물)를 설정한 후 각 원통(cylinder)에 모형 시멘트를 삽입하여 영상 획득하였다. Astonish (Iterative: 4, Subset: 16)으로 재구성하였고, CT 보정 방법은 비감쇠보정(NAC), 감쇠보정(AC+SC-), 감쇠 및 산란보정(AC+SC+) 3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보정방법에 따른 평균계수와 시멘트물질의 유 무에 따른 계수 변화율을 비교하고 대조도 회복 계수(contrast recovery coefficient, CRC)를 구했다. 또한, 압박골절 진단을 받은 환자 107명 중 PVP를 시행한 20명을 선별하여 추체를 골절, 정상, 시멘트로 나누고 연조직(척추기립근)을 포함 4곳의 평균 계수를 측정한 후, 뼈/연조직 간 계수 비(bone/soft tissue ratio, B/S ratio)을 구했다. NAC를 기준으로 AC+SC-, AC+SC+의 평균계수는 증가하였고, AC+SC-의 평균계수가 가장 높았으며, AC+SC+는 AC+SC-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시멘트 물질의 유 무에 따른 평균계수는 시멘트가 존재할 때 NAC, AC+SC-, AC+SC+에 따라 팬텀의 열소에서 12.4%, 6.5%, 1.5%, 냉소 75.2%, 85.4%, 102.9%, 배후방사능 13.6%, 18.2%, 9.1%, 임상영상의 골절부에서 33.1%, 41.4%, 63.5%, 정상부 53.1%, 61.6%, 67.7%, 연조직 10.0%, 4.7%, 3.6%의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원통 내부의 시멘트 인접부에서 상대적 계수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고, 병소에 대한 팬텀영상과 임상영상간의 계수 증가율은 상반된 양상을 보였다. 대조도 비를 나타내는 CRC와 B/S ratio는 NAC, AC+SC-, AC+SC+순으로 향상되었고, 팬텀의 냉소에서는 큰 변화 없이 일정하였다. 정량적 계수는 AC+SC-가, 대조도 비는 AC+SC+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PVP 시행 환자의 척추 뼈 SPECT/CT 검사에서 AC+SC- 의 사용은 영상계수를 대폭 향상시켜 특히 병소의 농도가 높은 영상을 얻는 반면에 골 시멘트의 영향과 함께, 연부조직 및 산란영역의 영상잡음 계수까지 증가시키므로 대조도비를 향상시키는 AC+SC+의 적용을 병행한다면 임상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견직물의 스치는 소리로부터 변환된 색채의 물리량과 감성 (Physical Properties and Sensibility on the Transformed Colors from the Rustling Sounds of Fabrics)

  • 김춘정;최계연;김수아;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5권1호
    • /
    • pp.25-3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7가지 실크직물의 스치는 소리를 녹음한 후, 색채로 변환시켜 변환색채에 대한 감각과 감성을 평가하고, 2차원 모형을 제시하여 감각/감성과 직물의 관계를 시각화하였다. 피험자 30명을 대상으로 변환색채에 대한 감각과 감성을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색채의 물리량은 홍색비율(RP), 녹색비율(GP), 청색비율(BP)과 색채 빈도수(CC)를 계산하였다. 감성차원에 대하여 활동감, 우아함, 터프함의 세 요인이 도출되었다. 활동감 차원은 GP, CC와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능직물과 견방사의 교직물을 가장 활동적이라고 평가하였다 우아함 차원은 RP와는 정적상관을, CC와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수자직물과 평직물이 가장 우아하다고 평가되었다. 터프함 차원은 RP와 높은 정적상관을 가졌다. 능직물과 같이 색채 빈도수가 많고 홍색비율과 녹색비율이 많은 변환색채를 선호하였다.

  • PDF

혼합효과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을 이용한 대전광역시 코로나 발생 동향 분석 (Mixed-effects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for analyzing the spread of COVID-19 in Daejeon)

  • 김광희;이은지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3호
    • /
    • pp.375-388
    • /
    • 2021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서 나타난 확진자 증가 현상을 분석하여 COVID-19의 확산을 방지할 대책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계획되었다. 확진자 증가의 원인이 시민들의 잦은 이동과 장기간 지속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피로와 방심에 있다고 보고, 각 행정동의 주별 확진자 수를 반응변수로,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흐른 시간, 행정동의 버스 하차 인원을 설명변수로 하여 이들의 관계를 모형화하였다. 행정동별 확진자 수가 주 단위로 반복측정 되었고, 포아송분포로 기대되는 0보다 더 많은 0이 관측될 수 있기 때문에 혼합효과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행정동의 성격에 따라 확진자 발생 동향이 다를 수 있어서서 서로 유사한 성격을 갖는 행정동을 군집화하여 이를 범주형 설명변수로 사용하였다. 또한 버스 하차 인원의 효과가 행정동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두 변수 간의 교호작용항을 포함하였고 상대적으로 번화한 행정동에서 그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수준=0.1). 모형 적합 결과 인구수의 증가와 번화한 행정동이라는 요인, 그리고 버스 하차 인원의 증가가 확진자 수의 증가와 중요한 연관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보였다. 한편, 추정된 모형에 따르면 인구수와 버스 하차량이 고정되었을 때 번화한 집단의 확진자 수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훨씬 적을 것으로 기대되었는데, 이는 코로나 고위험 지역에 대한 시 차원의 강력한 대응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