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tton Seed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1초

다양한 기질에 대한 표고버섯 톱밥재배 가능성 (Utilization of various substrates for the cultivation of oak mushrooms (Lentinula edodes))

  • 정연석;장영선;유림;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73-38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표고 톱밥재배의 배지 조성에 따른 생산성 및 버섯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위해 총 10가지의 농업부산물을 영양원으로 사용하였다. 대두박과 면실박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배양기간 동안 균사가 완전히 생장하지 않아서 재배에 이용할 수 없었다. NIFoS 2462 균주에서는 대두피, 면실피, 파옥쇄, 혼합배지에서는 밀기울보다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으며, NIFoS 2778에서는 밀기울의 생산량이 다른 영양원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두피를 사용한 배지에서 발생한 버섯들은 다른 배지에서 발생된 버섯들보다 작은 크기의 버섯이 생산되었으며, 반대로 옥분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다른 영양원을 사용한 배지보다 큰 버섯이 생산되었다. 이를 통해 배지에 첨가되는 영양원이 버섯의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양원들의 기초 성분 조사 결과, 대두박과 면실박은 조단백질과 조회분의 비중이 높았다. 그리고 면실박에서는 총유기물 함량과 가용성무질소물의 양이 다른 영양원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영양원들의 기초성분이 버섯 재배시 생산량 및 버섯의 특성에 영향을 준다고 여겨지며, 이와 같은 표고 재배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자원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

비닐피복이 모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nyl-mulching Culture on Growth and Yield of Cotton( Gosspium hirsutum L.))

  • 이정일;박용환;정규용;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34-439
    • /
    • 1986
  • 우리나라에서의 목화재배는 방적원료생산이 아닌 혼수용을 위한 제면원료 생산이란 의미에서만이 재배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제면원료 수요양시과 양질솜 다수확재배를 위해 비닐멀칭재배를 도입, 목화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했던 바 관행무피복재배보다 배 이상의 증수효과를 얻게 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다음과 같다. 1. 출현기와 개화소요일수에서 비닐피복은 관행무피복보다 모든 파종기에서 빠르고, 짧았으며 비닐피복파종에서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개화소요일수가 단축되었다. 2. 개노소요일수에서도 비닐피복파종기가 빠를수록 2∼7일 단축되었고 무피복재배에 비해서는 무려 8∼15 일이나 비닐피복재배가 단축되었다. 3. 초장, 결과지수, 주당삭수에서는 비닐피복은 무피복보다 초장에서 2∼29cm 더 길어서 생육이 장대하였고 결과지수는 4월 10일 조파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거의 2배나 많았으며 주당삭수에서도 4월10일 조파 비닐피복이 관행무피복보다 주당 15∼24개가 더 달려 2배가되었다. 4. 적심면수량은 무피복보다 비닐피복이 큰 차이로 많았으며 파종기별 비닐피복에서는 빠를수록 많아서 조파 4월 10일 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128%나 더 많았는데 적심면비율은 무피복 79% 4월 10일 비닐피복이 99%였다. 5. 소면수량과 소면비율에서는 무피복보다는 비닐피복이, 파종기는 빠를수록 소면비율이 높았으며 따라서 소면수량도 4월 10일 조파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수원 001에서 76%(104kg/ 10a) 목포 7호에서 90%(93kg/10a) 증수되었다. 6. 수원과 무안 2개 지역에서의 비닐피복 효과는 무피복보다 비닐피복이 수원에서 최고 90% 소면수량이 증수되었고 무안에서는 최고 168% 증수되어 비닐피복 증수효과가 남부인 무안에서 더 컸다. 7. 목화섬유장과 면실유 지방산조성에서는 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섬유장에서 약간 더 길었으며 면실유의 주지방산인 리놀산은 4월 10일 조기비닐피복 파종이 무피복보다 높아 양질지방산조성이었다.

  • PDF

Nutritional Value of Cottonseeds and It's Derived Products : II. Free Gossypol, Available Lysine and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 Mujahid, A.;Abdullah, M.;Barque, A.R.;Gilani, A.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3호
    • /
    • pp.356-359
    • /
    • 2000
  •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 of seeds and various seed fractions of different varieties of cotton (MNH 147, CIM 240, NIAB 78, FH 87, CIM 109, MNH 93, FH 682, GOHAR 87, SLS I and B 557). Linter, hull, kernel and meal were obtained from cottonseed by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Free gossypol and available lysine contents of seed and it's fractions were determined.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of cottonseed meal was also determined. Free gossypol and available lysine contents ranged between 0.22-2.26% and 0.64-1.32% in seed, and 0.03-0.29% and 1.38-2.36% in meal, respectively. FH 87 was highest both in free gossypol and available lysine content, and NIAB 78 was lowest in free gossypol content and FH 862 was lowest in available lysine content.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of cottonseed meal ranged between 66,02-79,96%.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p<0.05) varietal differences in free gossypol, available lyslne and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of cottonseed and derived products.

느타리버섯 병재배를 위한 영양원별 첨가 효과 (Effect of nutrient substrates on Pleurotus ostreatus in bottle culture)

  • 장명준;이윤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7-370
    • /
    • 2014
  • 총탄소함량은 T4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등하였으며, 총질소함량은 T3에서 2.17%로 대조구에 가장 근접한 값을 나타내었다. C/N율은 T4에서 39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다. 혼합배지에 따른 자실체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갓직경은 T2에서 가장 컸고, 대직경은 T2와 T4에서 가장 컸고, 대길이는 T1과 T2에서 가장 많았다. 유효경수는 T1과 T3에서 가장 많았다. 혼합배지에 따른 처리구별 수량은 T3에서 171g/병으로 대조구와 대등하였고, 회수율도 89.2%로 대조구와 대등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느타리 버섯(Pleurotus sajor-caju) 재배를 위한 기질 및 재배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Substrate and Cultural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Pleurotus sajor-caju)

  • 홍범식;김세진;송치현;황세영;양한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4-359
    • /
    • 1992
  • P.sajor-caju의 균사체 생장에 oil 첨가효과를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식물성 oil 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그 중 cotton seed oil을 배지 100ml에 2.5ml 첨가하였을 때 균체량이 무첨가구에 비하여 약 4배정도 이었다. 자실체 생산 기질로 농산 및 산업폐기물인 볏짚, 땅콩박, 왕겨, 톱밥 ,코코아박, 맥주박, 커피박 등을 사용한 결과 볏짚의 biological efficiency(B.E.)가 36.4%였으며 땅콩박은 32.6%로 나타났다. 또한 볏짚(50%)과 맥주박(50%)을 혼합하였을 경우 B.E가 109.6%로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땅콩박(50%)과 맥주박(50%)을 혼합하였을 경우에도 B.E.가 74.5%로 높은 수확량을 나타내었다.

  • PDF

느타리 병재배 배지조성이 자실체 생육, 맛과 향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ubstrate composition on the growth, flavor, and volatile compounds of Pleurotus ostreatus)

  • 이진우;홍의용;정지은;박태민;오태석;박윤진;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3-59
    • /
    • 2024
  • 본 연구는 느타리 병재배시 배지 조성에 따른 질소원 차이가 자실체 생육과 그에 따른 향미 변화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포플러 톱밥, 비트펄프, 면실박, 면실피 40:20:20:20로 혼합한 T2에서 156.6 g으로 높은 수량성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8.25 mg GAE/g, 70%, 49%로 Control과 T1에 비해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질소함량에 따라 각기 다른 향기 패턴을 나타내며 변화를 나타내는 것 뿐만 아니라 신맛, 감칠맛, 짠맛 등 맛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A Nutritional Evaluation on Whole Cottonseed Removed Germination Ability by Heat-treatment

  • Hahm, Sahng-Wook;Son, Heyin;Baek, Seong-Gwang;Kwon, Hyeok;Kim, Wook;Oh, Young-Kyoon;Son, Yong-Suk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9-44
    • /
    • 2013
  • In Korea, wide spread use of whole cottonseed, which is primarily a GMO plant imported from foreign countries and being fed to animals as raw state, has aroused concern that it may disturb the existing ecology of the country unless dispersion of the seed is under proper contro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changes in various nutritive parameters due to heat treatment and to determine the effective condition for removing germination ability of whole cottonseed (WCS). Of the various temperatures applied (76, 78, 80, 85, $100^{\circ}C$/30 min) $85^{\circ}C$ for 30 min was confirmed to be the lowest temperature treatment which resulted in a complete removal of the germination ability of WCS. Therefore, based on the determined temperature condition ($85^{\circ}C$ 30 min) we tried to examine the changes of various nutritional parameters, including nutrient composition, in vitro digestibilities and ruminal protein degradabilities, comparing raw whole cotton seed (RWCS) and heated whole cotton seed (HWCS). Some changes in amino acid composition were observed with heat treatment of WCS, but these were regarded to originate from the variation in plant quality and seed morphology, which are usually affected by different environmental factors during the vegetation period. As for fatty acid compos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to occur during heat treatment. However, WCS heated at $85^{\circ}C$ for 30 min in a circulating ove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p<0.05) of in situ rumen degradability in both dry matter (DM) and crude protein (CP), as compared to raw WCS. Overall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 indicate that the heating condition used in this study, which was proven to be the most appropriate and economic to remove germination ability of WCS, may also improve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ruminant with regard to reducing its protein degradability within the rumen.

수입곡물 중의 Alfatoxin $B_1$ 검출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의 평가 (Evaluation of an Enzyme-Linked Imrnunosorbent Assay for the Detection of Aflatoxin $B_1$ from the Imported Cereals)

  • 손동화;박애란;이인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5-361
    • /
    • 1992
  • 곡물 중의 aflatoxin $B_1(AFB_1)$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효소면역측정법(ELISA)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ELISA 분석치를 인위적인 오염치 및 자연오염된 시료의 HPLC 분석치와 비교하였다. 분석대상 시료로는 외국산 면실박(19점), 채종박(11점), 대두박(9점), 옥수수(3점) 등위 수입곡물을 사용하였다. 각 곡물별로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실제 곡물시료 중 대체로 1-100ng/g 농도의 $AFB_1$분석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기준으로하여 표준 $AFB_1$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시료를 ELISA로 분석 하였을 때, 1 ng/g의 저농도에서는 그 회수율이 높았으나 (평균 265) 3ng/g 이상의 농도에서는 평균 138(68-193)이었으며, 각 분석치의 상대적인 분산도(C.V)는 평균 7.0(0-22)로 매우 양호하였다한편 자연오염된 시료의 ELISA 분석치를 HPLC 분석치와 비교하였을 때, 10ng/g 이하의 시료에서는 특히 채종박의 경우 두 분석치의 간에 차이가 다소 크게 나타났으나, 그 이상의 오염시료에서는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근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오염도가 심각한 면실박의 경우 HPLC 분석치에 대한 ELISA 분석치의 비율이 평균 153%로 양호하였다. 따라서 본 효소면역측정법은 10ng/g 이상의 $AFB_1$이 오염된 곡물시료의 분석에 실용화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저장중 참깨의 스테롤 조성변화 (Change in Sterol Compositions of Sesame Seed during Storage)

  • 최상도;양민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31-436
    • /
    • 1985
  • 유리스테롤은 참깨종자유 1g당 $2.33{\sim}3.87mg$으로서 총스테롤의 $36.5{\sim}52.2%$이며 결합스테롤은 $3.47{\sim}4.06mg$이었다. 참깨종자유중 불검화물은 15.9mg/g이며 이중 4-데스매틸스테롤이 55.6%로 가장많고 4-데스메틸스테롤의 조성은 시토스테롤이 29.5%로 가장많고 캄페스테롤이 9.8%, $\Delta^5$-아베나스테롤은 6.6%, 스티그마스테롤은 5.9%이었다. 저장중 스테롤의 변화는 캄페스테롤은 포리에틸렌포대저장에서 4개월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였고, 스티그마스테롤은 암소저장에서 4개월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다시 약간 증가하였다. 또한 시토스테롤의 변화는 무명포대저장의 경우 4개월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포리세틸렌포대의 경우 4개월까지는 거의 변화가 없고 그 이후 9개월까지는 약간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 하였다. 그러나 ${\Delta}^5$-아베나스테롤은 변화가 거의 없었다.

  • PDF

시중(市中) 참기름의 Sterol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terol of Sesame Oil Sold In Markets and Used in Restaurants)

  • 노일협;정희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4호
    • /
    • pp.159-166
    • /
    • 1980
  •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sterols in sesame oils were studied. The sesame oils were saponified and the sterols isolated from the unsaponifiable matter by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 individual components were determined by means of gas chromatography. Campesterol, ${\beta}-sitosterol$, stigmasterol were found in sesame oil including unknown Ⅰ and Ⅱ. The use of SE-30 gas chromatographic column allows the slow elution, duplication of peaks and relatively low reproducibility, therefore, 3% OV-17 was suitable for the sterol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ontents of sterols in sesame oil were campesterol 8.4%, stigmasterol 4.5%, ${\beta}-sitosterol$ 33.9% and others 53.0% involving 8.8% of unknown I and 44.3% of unknown Ⅱ. There has been no specific test available for identifying the sesame oil among common edible oils. But the ratio of sterols in sesame oils allowed the estimation of genuiness. The ratio of sterols vs. campesterol in genuine sesame oils were stigmasterol 0.3- 0.6, ${\beta}-sitosterol$ 3.0-3.8 and unknown Ⅱ 3.0, respectively. The 65 samples were composed of genuine sesame oil 40%, mixed rape seed oil 3%, cotton seed oil 1. 5% others were reused soybean oil or re-extracted oi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