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ydalis remot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Corydalis Alkaloid의 생산(I) (Production of Corydalis Alkaloids by Plant Cell Culture(I))

  • 장정인;신승원;지형준
    • 생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9-425
    • /
    • 1995
  • Corydalis remota Fish. ex Max. (Papaveraceae) is a well known medicinal plant being used as analgesics or anticonvulsive in oriental medicine. As the alkaloid content is known to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technology of plant tissue culture can be adopted as source of Corydalis-alkaloids. The present study describes an establishment of tissue cultures of Corydalis which produce alkaloids consistently. Callus were induced from immature seeds of Corydalis remota by placing the seeds on MS static media containing NAA(0.25, 1.0 and 4.0 mg/l, respectively). The combined treatment of NAA(1.0 mg/l) with cytokinin(BAP 0.5 mg/l) improved the induction of callus. TLC scanning data followed by sequential extraction and purification revealed that the induced callus contains a significant amount of alkaloids. Cell suspension cultures were established by transferring the induced callus into the liquid media with the same condi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s as the callus culture.

  • PDF

세포 현탁배양에 의한 현호색 알칼로이드의 생산 (Studies on Production of Alkaloid by Plant Cell Culture of Corydalis remota)

  • 장정인;지형준;신승원
    • 생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89-294
    • /
    • 1996
  • In previous paper, we described the induced callus of Corydalis remota contains a significant amount of alkaloids. This study describes an optimal condition to maximize alkaloid production. The suspension cultures maintained alkaloid production ability after fifth subculture and a small amount of alkaloid seemed to be released out of cells. The yields of alkaloid by cultured cells was vari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s of NAA, carbon sources and phosphate ion and depending on the vitamin combinations and concentrations. Biosynthetic precursor and an elicitor treatment also affected the total alkaloid yield of the cultures. The optimal conditions for alkaloid production were as follows: 1) MS basal salt containing 30 g/l of glucose, 1.0 mg/l of NAA, and vitamins of LS medium should be used. 2) The culture should be treated with tyrosine 20 mg/l, and yeast extract 1.5 ml/l after the culture reached a stationary phase of growth. Five alkaloids were isolated from the cultures and they were characterized. The spectral data unambiguously revealed that the isolated compounds were dihydrosanguinarine, protopine. tetrahydropalmatine, allocyptopine and ambinine, respectively.

  • PDF

야생 현호색 (Corydalis remota for. peatinata)의 꽃자루로부터 체세포배 발생과 소식물체형성 (Plantlet Forma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from the penduncle explants of wild Corydalis remota for. peatinata)

  • 천우재;이대원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19
    • /
    • 1999
  • Corydalis remota for. peatinata의 꽃자루에서 캘러스를 유도한 후 MS기본배지에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하여 체세포 배발생 및 재분화를 시도하였다. 생장조절 물질에 따른 캘러스 유도율을 비교하면 2,4-D 2.0 mg/L 에 zeatin 2.0 mg/L를 혼용 처리한 배지에서 아주 양호한 캘러스 유도 및 생장율을 나타냈다. 식물생장조절물질 또는 호르몬 첨가에 의한 체세포 배의 발생율은 광조건에서 cytokinin류의 농도가 0.5mg/L 단독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발생된 부정배중 MS기본배지에 zeatin 1.0mg/L을 단독처리한 경우가 가장 쌍자엽형성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4-D를 미량 첨가하고 cytokinin류를 혼용첨가한 배지나 BAP를 단독 처리한 배지에서는 소식물체의 배지 접지면인 뿌리부분에 활발한 2차 배발생이 나타났다.

  • PDF

쇠뿔현호색: 현호색속 현호색절의 1신종 (Corydalis cornupetala Y.H. Kim et J.H. Jeong: A New Species of Corydalis sect. Corydalis (Fumariaceae))

  • 김영희;정지희;조동광;김진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7-224
    • /
    • 2007
  • 현호색과 현호색속 현호색절 1신종인 쇠뿔현호색이 한국의 경상북도 경산시에서 발견되어 기재되었다. 신종은 꽃의 색과 형태에서 다른 현호색속 현호색절에 속하는 종들과 뚜렷이 구별되는데, 꽃 색은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고, 위아래 외화판에 짙은 자주색 두 줄 무늬가 있으며, 아래 외화판 선단 모양이 쇠뿔형이다. 소엽은 선형으로 남도현호색 또는 현호색의 댓잎형 잎과 비슷하나 보다 좁고 길다. 포는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현호색과 남도현호색의 타원형과 구분된다.

현호색속 식물 4종에 대한 개미의 전파체 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s Selection of the Diaspores of Four Corydalis Species)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95-499
    • /
    • 2014
  • 우리나라에서 개미가 종자를 분산시키는 식물종과 관련 개미 및 개미의 종자선택 행태를 밝히고자, 2013년 4월부터과 2014년 7월까지 현호색 4종의 열매 수집, 전파체 특성, 급여시험을 실시하였다. 개미가 종자를 퍼뜨리는(ant-dispersed) 4종의 현호색 속의 식물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4종의 식물체의 종자에 부착된 지방체의 형태는 주걱처럼 생겼으며, 식물종간 길이나 크기는 서로 달랐다. 전파체, 종자 및 지방체 무게 및 지방체 비율 등은 식물종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전파체와 종자의 무게는 갈퀴현호색이 가장 무거웠고, 다음으로 현호색, 댓잎현호색, 빗살현호색의 순이었다. 지방체의 비율은 댓잎현호색이 23.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현호색, 빗살현호색, 갈퀴현호색의 순이었다. 지방체를 물어가는 개미는 곰개미, 누운털개미, 고동털개미 및 주름개미 4종이었으며, 가장 빈번하게 지방체를 물어가는 종은 곰개미였다. 개미의 전파체 선호도는 댓잎현호색, 현호색, 빗살현호색, 갈퀴현호색의 순이었으며, 이러한 순서는 지방체의 비율과 같은 순이었다. 개미의 전파체 선택행동은 식물종 또는 개체간 생존율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사료된다. 앞으로 개미가 종자를 퍼뜨리는 식물종과 개미에 대한 조사와 급여시험 등의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개미가 종자를 산포하는 춘계단명식물 깽깽이풀과 현호색의 전파체, 종자산포 및 발아 특성 (Diaspore, seed dispersion and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two myrmecochrous spring ephemerals -Jeffersonia dubia and Corydalis remota-)

  • 김회진;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85-491
    • /
    • 2017
  • 개미가 종자를 분산시키는 춘계단명식물 깽깽이풀과 현호색의 전파체 특성, 종자분산 및 발아특성을 밝히고자, 2014년 4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열매 수집, 전파체의 전처리에 따른 포장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깽깽이풀의 전파체는 5mm 정도의 황갈~암갈색의 장타원형 종자에 부정형의 백색 지방체가 붙어 있고, 전파체는 15.86mg, 종자는 13.46mg, 지방체는 2.40mg 등의 평균값을 보였으며 지방체의 중량비는 15.13% 였다. 현호색 전파체는 지름이 1.2mm 정도의 광택이 나는 검은색 난형의 종자에 주걱형의 백색 지방체가 붙어 있고, 전파체는 2.58mg, 종자는 2.05mg, 지방체는 0.53mg 등의 평균값을 보였으며, 지방체의 중량비는 20.54% 였다. 털왕개미와 곰개미가 깽깽이풀 전파체를 물어가고, 곰개미와 고동털개미가 현호색 전파체를 물어갔다. 깽깽이풀의 발아율은 지방체 제거 유무에 무관하며, 전처리와 파종 시기 간에는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6월 20일에 파종에서, 깽깽이풀은 평균 발아율은 65%, 8월 19일 파종에서는 17.50%, 10월 20일 파종에서는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현호색의 발아율은 지방체 제거 유무간에 5%, 파종시기 간에는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무처리구에서 평균 54.17%가 발아하였고, 지방체를 제거한 처리구에서 평균 35.0%가 발아하였다. 6월 20일에 파종에서 발아율은 75%, 8월 19일 파종에서 53.75%, 10월 20일 파종에서 5.0%가 발아하였다. 개미가 종자를 분산시키는 춘계단명 식물종의 발아는 성숙하여 종자가 낙하하는 시기에 개미들이 개미집으로 부지런히 물어가는 것을 고려할 때 채종 후 곧바로 파종하는 것이 이들 식물종들이 진화해온 특성에 적합한 방법이며, 가장 높은 발아율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라 판단된다. 개미가 종자를 분산시키는 춘계단명 식물종들은 개미와의 상리공생을 위하여 지방체를 생산하여 종자에 부착하고, 개미에 의하여 적온 적습한 환경조건, 개미집,으로 이동되어 배가 충분히 자라서 이듬해 봄에 발아에 성공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醫林改錯』 처방의 현대 질병 범위에 관한 연구 (Study of Clinical Application of Pathology of Blood Stasis, Focused on 33 Prescriptions in 『Yilingaicuo』)

  • 이정소;박미선;김영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81-288
    • /
    • 2015
  • This paper researches the features of blood stasis theory of Wangqingren, who wrote 『Yilingaicuo』 that greatly contributed in the development of blood stasis theory at Qing dynasty period. And the disease cause, disease mechanism of blood stasis and scope of modern diseases related with blood stasis are studied by research on clinical papers which used 33 prescriptions in 『Yilingaicuo』 in modern times. Research on the features of blood stasis theory of Wangqingren is proceeded by referring to the annotations of 『Yilingaicuopingyi』 and the papers which related with blood stasis from Korea and China. And clinical papers are searched in China Academic Journals(CAJ) of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CNKI) to analyse the scope of modern diseases related with blood stasis. The features of blood stasis theory in 『Yilingaicuo』 expanded the range of existing theory. Wangqingren thought that chronic disease, weird disease, the disease of no effect from normal treatments were related with blood stasis. And h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qi and blood and thought that the main pathogenesis of blood stasis was qi deficiency. And a lot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ere combined in many prescriptions to reinforce qi. He also used different herb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disease. Musk and Allium fistulosum were used for the disease located at head or upper part of the patient's trunk. Bupleurum falcatum L., Aurantii Fructus Pericarpium and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were used for the disease located at thorax. Cyperus rotundus L., Linderae Radix and Aurantii Fructus Pericarpium were used for the disease located at the stomach or below the costal angle. Foeniculi Fructus and Corydalis remota were used for the disease located at belly or lower part of the patient's trunk. Trogopterorum Faeces, myrrha, Cyperus rotundus L. and Cnidium officinale were used for the disease located at extremity or joint.

활혈거어약의 Cytochrome P450 3A4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ive Herbal Medicines on Cytochrome P450 3A4 Drug-Metabolizing Enzyme Activity)

  • 고재언;황진우;고호연;최유경;박종형;고성규;전찬용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04-113
    • /
    • 200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ive herbal medicines on cytochrome P450 (CYP) 3A4 drug-metabolizing enzymes in human liver microsomes. Methods: By using of human liver microsomes, we extracted Cnidium officinale Makino, Rhus verniciflua Stokes, Prunus persica Batsch, Corydalis remota Fisch, Carthamus tinctorius Linne, which are called Hwalhyulgeoouhyak(活血祛瘀藥). Then they were incubated and measured for relative enzyme activity under incubation conditions compared to ketoconazole, which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inhibitor of CYP 3A4. Results: We showed that all of five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had no inhibition effect of CYP 3A4 at 10, 20, 30, 40, and 50${\mu}g/m{\ell}$ doses in human liver microsomes, although Rhus verniciflua Stokes (RVS) showed a little inhibition as about 95% enzyme activity of control. However, this result was not enough to prove that RVS has a CYP 3A4 inhibition effect. Moreover, we can't confirm that those rates have significant induction effect on CYP 3A4.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support that those herbal medicines are more reliable than chemical drugs, even if this is a basic step to prove that result.

  • PDF

천연 활엽수림에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와의 상관 - 평창군 가리왕산, 중왕산 지역 - (Correlations between the Distribution of Major Native Herb Species and Site Factors at Natural Broadleaved Forest in Mt. Gariwang and Mt. Jungwang, Pyeungchang-gun)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93-499
    • /
    • 2010
  • 자생 초본식물의 보존과 임간재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가리왕산과 중왕산 지역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천연활엽수림을 중심으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를 조사하고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초본식물 분포조사에서는 136종의 초본식물이 확인되었으며, 개별꽃의 상대우점치가 10.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밖에 주요 식물종은 벌깨덩굴, 현호색, 참나물, 대사초, 단풍취, 큰개별꽃, 얼레지, 곰취, 만주족도리풀, 피나물, 노루오줌 등 이었다. 노루귀와 단풍취; 참나물과 두메투구꽃; 두메투구꽃과 풀솜대; 벌깨덩굴과 큰개별꽃, 등의 종간에는 매우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주요 식물종의 유집분석 결과, 7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주요 자원식물종이 선호하는 입지인자들이 밝혀졌다. 곰취, 단풍취, 박쥐나물, 얼레지, 참나물 등은 해발고가 높을수록 많이 분포하였고, 곰취는 토심이 깊을수록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얻어진 결과는 평창군 아고산 천연활엽수림의 보전과 주요 지원식물의 임간재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연복초(Adoxa moschatellina L.)의 분포와 자생지 입지환경 -강원도를 중심으로- (Distribution and Habitat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doxa moschatellina L. -Focus on Prov. Gangwon-do-)

  • 옥길환;천경식;장진환;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6-256
    • /
    • 2012
  • 강원도 연복초 자생지 입지환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포지를 밝히고 9개 지역의 22 지점을 대상으로 환경요인, 식생 및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복초는 강원도 동해시, 속초시, 고성군과 양구군을 제외한 14개 시군의 총 44개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생지는 해발 99-1,084 m의 범위에 위치하였으며, 경사는 $0-25^{\circ}$로 비교적 완만하였다. 식생조사 결과 방형구 내에 출현한 관속식물은 총 215분류군이었다. 초본층의 중요치는 연복초가 32.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벌깨덩굴(7.5%), 미나리냉이(5.1%), 미치광이풀(3.8%), 현호색(3.3%) 등의 순으로 나타나 이 종류들이 연복초와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식생의 양적지수를 산출한 결과 종다양도는 0.4870-0.9848, 균등도와 우점도는 각각 0.4525-0.7601과 0.1335-0.4191의 범위로 나타났다. 각 방형구내에 조사된 종류들의 중요치에 기초한 군집분석 결과에서는 우점종의 상이성에 의해 유집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 분석결과 포장용수량, pH 그리고 유기물함량은 각각 4.29-38.45%, 4.61-5.98, 2.44-20.21%의 범위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