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rection term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초

Treatment efficacy of gingival recession defects associated with non-carious cervical lesions: a systematic review

  • Oliveira, Livia Maria Lopes de;Souza, Camila Agra;Cunha, Sinara;Siqueira, Rafael;Vajgel, Bruna de Carvalho Farias;Cimoes, Renata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2권2호
    • /
    • pp.91-115
    • /
    • 2022
  • Purpose: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compare the efficacy, defined in terms of the mean percentage of root coverage (mRC), of surgical treatment approaches combined with adhesive restorations of non-carious cervical lesions (NCCLs) to that of root coverage alone in patients with a single gingival recession (GR) and NCCL.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longitudinal studies reporting the mRC following treatment for the correction of GR defects associated with NCCLs using a combination of surgical and restorative techniques in systemically and periodontally healthy patients. Results: The search resulted in the retrieval of 12,409 records. Seven publications met the inclusion criteria for the qualitative synthesis of data. The mRCs ranged from 69% to 97%. In the medium term, the gingival margin position was more stable when a connective tissue graft (CTG) was used, independently of whether restoration of teeth with NCCLs was performed. Conclusions: The strength of the evidence was limited by methodological heterogeneity in terms of study design as well as the unit and period of analysis, which precluded a metaanalysis. Although no definitive conclusion could be drawn due to the lack of sufficient evidence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CTG-based procedures contributed to gingival margin stability regardless of the performance of restoration to treat NCCLs.

턱관절균형의학에서 편차발생현상의 신경과학 및 재료역학적 해석과 일반화 (Interpretation and Generalization by Neuroscience and Material Mechanics on Deviation in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Medicine)

  • 지규용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2022
  • Objectives: For the deviation phenomenon occurring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in temporo-mandibular balancing medicine (TBM), hypotheses were established regarding the cause and mechanism of 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and material mechanics, and a verification method was proposed. Methods: The deviation phenomenon was theore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structure theories of material mechanics of the joint and the neurological pain mechanism. Results: Deviation occurs due to temporary yield by the accumulation of heterogeneous stres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the affected joint. Because the joint structures are corresponding with material mechanics showing compressive and tensile properties. The size of the deviation is expressed in terms of strai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teeth is level with the axial joint. Since the magnitude of the deviation h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abnormalit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he magnitude of the deviation calculated by the balance measurement can be replaced by the strain. The major variables involved in the occurrence of deviations are the strength of joint structures and neurological conditions. Therefore plastic deformation and adaptation occur as a long-term depression of neural circuits is strengthened in different ways at different locations each time in various clinical situations. This is the reason why the sequence of the restoration process while correcting deviations is following reverse order of the accumulation in many layers in the muscular nervous system. Conclusions: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occurrence and correction of the deviations are corresponding with the plastic deformation and neuro-plasticity.

Static buckling analysis of bi-directional functionally graded sandwich (BFGSW) beams with two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 Berkia, Abdelhak;Benguediab, Soumia;Menasria, Abderrahmane;Bouhadra, Abdelhakim;Bourada, Fouad;Mamen, Belgacem;Tounsi, Abdelouahed;Benrahou, Kouider Halim;Benguediab, Mohamed;Hussain, Muzamal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4권4호
    • /
    • pp.503-517
    • /
    • 2022
  • This paper presents the mechanical buckling of bi-directional functionally graded sandwich beams (BFGSW) with various boundary conditions employing a quasi-3D beam theory, including an integral term in the displacement field, which reduces the number of unknowns and governing equations. The beams are composed of three layers. The core is made from two constituents and varies across the thickness; however, the covering layers of the beams are made of bidirectional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BFGSW) and vary smoothly along the beam length and thickness directions. The power gradation model is considered to estimate the variation of material properties. The used formulation reflects the transverse shear effect and uses only three variables without including the correction factor used in the first shear deformation theory (FSDT) proposed by Timoshenko. The principle of virtual forces is used to obtain stability equations. Moreover, the impacts of the control of the power-law index, layer thickness ratio, length-to-depth ratio, and boundary conditions on buckling response are demonstrated. Our contribution in the present work is applying an analytical solution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behavior of bidirectional FG sandwich beams under various boundary conditions.

GPS 전리층 모델의 장기간 가용성 및 정확도 변화 분석 (Long-term Analysis of Availability and Accuracy Variation of GPS Ionospheric Delay Model)

  • 김정래;김용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841-848
    • /
    • 2023
  • 위성 항법 장치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항법메시지에 포함된 Klobuchar 전리층모델은 L1 단주파수 사용자들에게 전리층 보정정보를 제공한다. 전리층모델 정확도는 항법해의 정확도에 큰영향을 끼치므로 이에 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993년부터 2022년까지의 GPS 항법메시지를 조사하여 Klobuchar 모델의정확도 및 계수 존재 여부와 효용성 여부를 분석 하였다. 초기 GPS 항법메시지의 경우 전리층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전리층모델을 포함되어 있더라도 정확도가 상당히 낮은 경우가 많이 존재하였다. 전리층모델의 정확도가 안정화된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전리층모델의 정확도 변화와 지자기 위도에 따른 정확도 차이를 IGS (International GNSS Service)에서 제공하는 전리층모델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Treatment outcome and long-term stability of orthognathic surgery for facial asymmet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Yoon-Ji Kim;Moon-Young Kim;Nayansi Jha;Min-Ho Jung;Yong-Dae Kwon;Ho Gyun Shin;Min Jung Ko;Sang Ho J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89-107
    • /
    • 2024
  • Objective: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provi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reatment outcomes, including hard and soft tissues, postoperative stability,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and quality of life (QoL), i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who underwent orthognathic surgery. Methods: The primary objective was to address the question, "How do different factors related to surgery affect the outcomes and stability of orthognathic surgery in the correction of facial asymmetr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outcome parameters, such as skeletal, dental, and soft tissue symmetry, TMD, QoL, and relapse, using the Hartung-Knapp-Sidik-Jonkman method for random-effects models. Subgroup analyses were conducted considering surgery-related factors such as surgical techniques (one-jaw vs. two-jaw), use of the surgery-first approach, utilization of computer simulation, and analytical methods employed to evaluate asymmetry (2D vs. 3D). Results: Forty-nine articl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metaanalysis demonstr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ymmetry of hard and soft tissues. The sub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reatment outcom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regardless of the factors related to surgery. Changes in TMD signs and symptoms varied according to the surgical technique used. Quality of life improved in the facial, oral, and social domains. Skeletal relapse was observed during the follow-up. Conclusions: Our findings support the positive outcomes of orthognathic surgery in the treatment of facial asymmetry in terms of skeletal and soft tissue improvements, stability, relief of TMD symptoms, and enhancement of QoL. However, most of the included studies showed a low certainty of evidence and high heterogeneity.

한국에서의 단풍당뇨병 진단 치료 지침: 과거와 현재 (Maple Syrup Urine Disease (MSUD) Diagnosis & Treatment Guidelines: Past and Present in Korea)

  • 김숙자;송웅주;이선호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38
    • /
    • 2023
  • Maple syrup urine disease (MSUD) is an autosomal recessive metabolic disorder caused by a deficiency in branched chain α-keto acid dehydrogenase (BCKAD). Between 1997, when Korea's MSUD case was first reported, and 2023, 14 cases were reported in the literature. 29% of the cases experienced developmental delay, and 29% expired. The prevalence of MSUD in Korea was estimated to be 1 in 230,000. Of 21 MSUD patients currently being treated at the Korea Genetics Research Center, 19 were detected through newborn screening program, and 2 were diagnosed by the symptoms. 14 MSUD patients had confirmed genetic mutations; 6 (43%) were BCKDHA and 8 (57%) were BCKDHB. In one case, a large deletion was observed. 4 patients had leucine levels above 2,000 (umo/L), and post-dialysis diet therapy was initiated in the newborn period. No patient required further dialysis as diet therapy and regular monitoring proved highly effective. Most MSUD patients were growing normally; weight and height growth were above the 50th percentile in 76% of the cases while BMI values were higher than normal in 71% of cases. Developmental delays were observed only in 2 cases (10%) and anticonvulsant use in 3 cases (14%). With newborn screening available to all Korean infants,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should allow most patients to remain asymptomatic. However, ongoing surveillance, dietary management and continued patient compliance as well as rapid correction of acute metabolic decompensations remain critical to a favorable long-term prognosis.

  • PDF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전돌증 환자의 외과적 악교정술후 하악과두 위치 변화 검토 (EVALUATION OF CONDYLAR DISPLACEMENT USING COMPUTER TOMOGRAPHY AFTER THE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 이호경;장현중;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3호
    • /
    • pp.191-200
    • /
    • 1998
  • 본 교실에서 악교정수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37명(남자13명, 여자 24명)을 대상으로 술전, 술직후, 장기관찰기간동안의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하여 술전 각 항목치의 평균값 그리고 하악골의 후퇴량 및 술후의 악관절 장애 여부와 하악과두의 위치변화에 따른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부축방향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 거리(MM')는 $84.42{\pm}5.30mm$ 였으며, 장축각은 우측 $12.79{\pm}4.92^{\circ}$, 좌측 $13.53{\pm}5.56^{\circ}$로 좌우 비슷하였으며, 기준선(AA')에서 과두의 외측점은 11.34mm, 내측점은 6.87m 정도 전방에 위치하였다. 관상면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 거리(mm')는 $83.15{\pm}4.62mm$였으며, 사축각은 우측 $76.28{\pm}4.28^{\circ}$, 좌측 $78.30{\pm}3.79^{\circ}$로 좌우 비슷하였다. 2. 하악골 후퇴량에 따른 술전, 술후 장기관찰에서의 과두 위치변화를 연구한 결과, Group I에서 하악과두의 전방내측 회전의 양상을 보였고, Group II는 RMD, RCA', LCA'가 감소하여 전내측의 회전양상만이 관찰되었으며, Group III에서는 RCA, RLD, RMD, LMD가 감소하여 우측 과두의 후방내측 회전양상을 보였다. MM' 도 감소하여 하악과두간의 거리도 좁아지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로 하악골의 후퇴량이 증가할수록 하악과두의 위치 변화가 많이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술후에 악관절장애를 호소하는 환자 군과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환자 군과 비교시 하악과두의 위치 변화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Group A군에서는 하악과두가 전내측의 회전양상을 보였으나, Group B 군의 경우는 좌측 과두의 전방외측 회전을 보였으며, 관상면상 단층면에서 LCA'가 많은 감소 양상을 보였다. 이와는 달리 Group C군에서 우측 과두의 후방내측 회전양상을 보였고 RCA'각의 감소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하악골의 후퇴량이 많은 군은 과두위치보존술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술후의 과두의 위치가 후방내측 회전을 보였다. 또한 장기관찰의 경우 원래의 관절 위치로 회귀하는 경향은 있었으나 술전의 과두의 위치보다는 증가와 감소의 경향을 보였다. 수술후의 악관절장애 증상을 호소한 군에서 과두축의 변화를 관찰하였기에, 하악의 후퇴량이 많은 경우에는 더욱더 과두보존술식에 많은 주의를 하면 술후의 악관절 장애의 발생율은 감소하리라 사료된다.

  • PDF

무심폐기하 관상동맥우회술에서의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부전증의 중요성 (Long-term Influence of Mild to Moderate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after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홍종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3호
    • /
    • pp.246-253
    • /
    • 2010
  • 배경: 술전 경도 및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환자들의 무심폐순환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한 후의 장기 예후를 추적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9월부터 2004년 3월까지 1,000명의 연속된 무심폐순환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의 데이터를 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97%의 환자에서 추적 조사가 가능하였다. 육십칠명(6.7%)의 환자들이 수술 당시 경도 및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되었다.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수술사망율, 실제생존율 및 주요 심장 부작용이 없는 생존율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 조사 기간은 $66{\pm}22$개월이었다.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환자들의 연령이 더 높았으며(p<0.001), 더 낮은 심박출량을 보였고(p<0.001) 더 많은 위험 인자들을 갖고 있었다. 여성에게 의미있게 더 많았으며(p=0.002), 수술사망율이나 술전후 심근 경색의 빈도에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25). 팔 년 생존율은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환자들이 더 낮았다($39.6{\pm}11.8%$ vs $76.7{\pm}2.2$, p<0.001). 하지만 동반된 위험 인자들을 교정했을 때 술전 경도 및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자체가 장기 사망률의 의미있는 위험 인자는 아니었다(p=0.42). 8년 간의 주요 심장 부작용이 없는 생존율은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환자들에서 의미있게 낮았다($53.12{\pm}12%$ vs $77{\pm}2%$, p<0.001). 위험 인자들을 교정했을 때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은 주요 심장 부작용이 없는 생존율(HR: 2.31), 울혈성 심기능 저하와 재발성 심근 경색에 의미있는 위험 요소이었다. 결론: 무심폐순환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술전 경도 및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경우 더 많은 술전 위험요소들을 갖고 있었다. 술전후의 사망률이나 유병율은 비슷하였으나, 장기적으로 심장 합병증의 유발율은 더 높았다

심장수술 110례 임상고찰 (Clinic Analysis of Heart Surgery -110 cases-)

  • 장헌;신성애;노중기;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597-603
    • /
    • 2001
  • 본 논문을 쓰는 목적은 본원에서 2000년 9월까지 시행한 110례 심장수술을 대상으로 임상분석하여 향후 임상성적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는 1995년 1월부터 동맥관개존증수술을 시작한 이래 1999년 2월부터 개심술을 시행하여 2000년 9월까지 동맥관개존중 이중결찰술 10례, 개심술 100례 도합 110례의 심장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받은 환자들중 조선족이 74례(67.3%), 한족이 35례(31.8%)였다. 선천성심질환은 95례, 후천성심판막질환은 15례였다. 선천성심질화는 비청색성심질환이 83례로서 심실중격결손 및 연합기형 45례, 심방중격결손 및 연합기형 20례, 동맥관개존중 연합질환 11례, 동맥관개존증 연합질환 11례, 선천성대동맥판 협착 5례, 선천성 누두부협착 및 Ebstein 기형 각각 1례였다. 청색성심질환이 12례를 차지하였는데 11례가 활로씨사증후군으로서 전부 완전교정술을 시행하였다. 후천성심판막질환은 7례에서 판막치환술이 시행되였는데 그중 3례가 연합판막치환술, 3례가 승모판치환술, 1례가 대동맥판치환술이 진행되었다. 또한 8례에서 판막성형술을 시행했는데 승모판 성형술은 교련절개술, 판첨절제 성형술, 건삭성형, 유두근성형술과 판륜환을 이용한 판륜성형술 1례, 인공건삭 형성술 1례등이 포함되였다. 결론: 선천성심질환에서 비청색증군은 수술후 양호한 단기결과를 얻었으나 청색증군 활로씨사증후군은 수술방법에 따라 술후 회복의 차이가 다소 있었으며 향후 장기추적관찰을 요한다. 후천성심판막질환중 판막성형술의 단기결과는 비교적 양호하나 장기추적관찰을 요한다. 전체에서 수술사망은 한례도 없었다.

  • PDF

표준화된 KoFlux 에디 공분산 자료 처리 방법의 변화와 개선 (Changes and Improvements of the Standardized Eddy Covariance Data Processing in KoFlux)

  • 강민석;김준;이승훈;김종호;천정화;조성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17
    • /
    • 2018
  • KoFlux의 표준화된 에디 공분산 플럭스 자료 처리과정이 갱신되는 과정에서 그 처리 방법에 따른 결과도 조금씩 달라져 왔다. 대부분의 자료 사용자들은 자료 처리 결과의 차이와 이러한 차이가 자신들의 분석결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자료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총설에서는 KoFlux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연구자들에게 자료처리 과정을 투명하게 정리하여 자료에 대한 신뢰성과 활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과거의 자료 처리 방법이 어떻게 변화되고 개선되었는지를 평탄하고 균질한 해남 논 관측지(HPK)와 복잡하고 비균질한 광릉 활엽수림 관측지(GDK) 자료를 처리하고 그 차이를 확인하여 문서화하였다. 관측 대상지와 관측 장비의 다양화로 인해, 기존에 무시되거나 간소화 되었던 자료 처리 과정(예, 주파수 반응 보정, 정상성 검정 등)을 다시 적용하였고, 메탄 플럭스 결측 메우기와 이산화탄소 플럭스 보정 및 배분 방법을 새롭게 개선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에디 공분산 플럭스 관측 자료의 품질에 주파수 반응 보정(HPK: 연적산값의 11~18%의 편향 발생, GDK: 6~10%)과 정상성 점검(HPK: 연적산값의 4~19%의 편향 발생, GDK: 9~23%)이 매우 중요하고, 결측 메우기 및 배분 과정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결측을 최소화하는 것이 최선이며, 대상 플럭스의 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 적절한 조절 인자의 선택이 처리방법의 선택보다 중요함을 확인 하였다. 장기 KoFlux 관측 자료의 정확성, 투명성 및 연속성 확보를 위해 위의 결과를 반영하는 자료 처리 기술 개발과 문서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