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pus callosum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2초

신생아 고해상 뇌 초음파검사에서 대상고랑의 깊이와 재태기간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of cingulate sulcus on neonatal high resolution cranial ultrasound and gestational age)

  • 최영칠;최진영;이정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136-1139
    • /
    • 2009
  • 목 적:신생아, 특히 미숙아에서 재태기간의 정확한 측정은 환자의 상태와 질병을 이해하여 치료하고 예후를 예상하는데 필수적이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 뇌 초음파 검사시 최소한의 시간과 기구의 추가 사용으로 간편하게 정확한 재태기간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방 법:일반적인 뇌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후 5-12 Mhz의 고해상도 선형 탐촉자를 사용하여 대천문을 통하여 관상면의 영상을 얻었고 여기에서 대뇌반구의 깊이와 뇌량의 두께 및 대상고랑의 깊이를 측정하여 재태기간과의 상관관계을 구하였다. 결 과:대뇌반구의 깊이, 뇌량의 두께 및 대상고랑의 깊이 중 재태기간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측정치는 대상고랑의 깊이로 Pearson 상관계수 0.878을 보였다(P=0.000). 또한 대상고랑의 깊이가 0.55 cm 이상인 경우 단 두 례를 제외하고 모두 재태기간이 37주 이상이었고 대상고랑의 깊이가 0.35 cm 미만인 경우는 모두 34주 미만이었다. 결 론:고해상도 뇌 초음파 검사를 통해 측정된 대상고랑의 깊이는 신생아의 정확한 재태기간 측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더 많은 수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뇌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해 조기 발견된 제2형 뮤코다당증 1례 (A Case of Mucopolysaccharidosis Type 2 Diagnosed Early through Brain MRI)

  • 이윤경;조성윤;김진섭;허림;진동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7-92
    • /
    • 2015
  • 뮤코다당증(mucopolysaccharidosis)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의 분해에 필요한 리소좀 효소의 결함으로 인해 야기되는 질병으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대사 산물이 세포의 리소좀 내에 축적되어 세포, 조직 그리고 기관의 기능 이상을 초래해 신체적, 신경학적인 퇴행을 보이며, 심한 경우 조기에 사망하게 되는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뮤코다당증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헌터증후군(뮤코다당증 제2형)은 조기에 진단하여 효소보충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는 언어발달지연과 등과 엉덩이에 몽고반점, 간비대, 두껍고 거친 피부가 있었으며 과성장된 신체 검진소견을 보였던 환아에서, 뇌자기공명영상 검사 결과에서 뇌교량체에 다수의 낭종, 백색질에 비정상 신호 증가 병변들, 미만성 뇌수축 소견을 보여 헌터증후군을 의심하였으며 효소검사 결과를 통해 확진하였다. 저자들은 언어발달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게 시행한 뇌자기공명영상에서 조기에 헌터증후군을 의심하여 효소검사를 통해 확진을 할 수 있었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뇌신경교세포(腦神經膠細胞) 집단(集團)의 발생(發生)과 이동(移動)에 대한 방사선(放射線) 자기법적(自記法的) 관찰 II. 뇌(腦) 외배엽성(外胚葉性) 신경교세포(神經膠細胞)의 분열(分裂)과 이동(移動)에 대하여 (Radioautographical observations of development and appearance of glia cells in brain II. Division and migration of ectodermal glial cell in the brain)

  • 곽수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89-496
    • /
    • 1992
  • The division,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the macroglial cells in the juvenile mouse brain were investigated with the radioautography. Forty mice (ICR) were randomly subdivided into two groups. The twenty mice from group 1 were weighing initially 5 to 6g, aged 10 to 12 days and were sacrificied at 2 hrs, 2, 3, 5, 7, 10, 15 and 20 days after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3H$-thymichine ($4{\mu}$ Ci/g of body weight). Twenty mice from group 2 were weighing intially 2.5 to 5g, aged 3 to 8 days and were sacrificed at 2 hrs, 2, 3, 5. 7, 10, 15 and 20 days after a single($4{\mu}$ Ci/g of body weight) and/or after intraperitoneal repeated injections($2{\mu}$ Ci/g of body weight/interval) at 2, 3 and 5 days after the first injection. The brain preparations were processed for autoradiogrouphy using Kodak NTB-3 emulsion following development in Kodak D-19, fixation in Kodak fixer, and then stained with cresyl echt violet or hematoxylin counterstain. The labeling index of the ectodermal glial cells in the subependymal layers of the lateral ventricles (SLLV), corpus callosum (CC), molecular layer of the neocortex (MLN ), inner layer except the molecular layer in the neocortex (ILN) and medulla of the cerebrum (MC) were invested. 1. Labeling cells appeared from 2 hour and some of them sustained in the 20 day after injection. In the single injection group, the peak of the labeling index reached a 7.6% at 3 day, 3.6% at 7 day, 3.3% at 2 day, 5.0% at 3 day and 2.3% at 2 day from the SLLV. CC, MLN, ILN and MC, respectively. In the repeated injecton group, the peak of the labeling index reached a 32.0 at 7 day, 11.0% at 10 day, 89% at 7 day, 16.0% at 10 day and 10.8% at 15 day from the SLLV, CC, MLN, ILM and MC, respectively. 2 The glial cells of the SLLV were recognized as to be migrated into the CC and to be not or less to be into the MC and ILN but to be not into the MLN. Glial cell aggregates in the neocotex and MC were recognized as to be proliferated and then disappeared in the itself regions.

  • PDF

대상회전 기타 피질이 손상된 흰쥐들의 행동 변화 (Behavioral Changes of Rats following Cingulate or Other Cortical Damages)

  • 김정진;김종규;김명석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권2호
    • /
    • pp.83-92
    • /
    • 1968
  • A study was plan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moval of the cingulate cortex upon the occurrence of any behavior commonly displayed by the rat,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cingulectomy with those of removal of the parietal, parieto-occipital, or occipital regions. The subjects were 54 male albino rats (Holtzman strain, body weight $200{\sim}330\;gm$) including 14 rats in which the cingulate gyri between splenium and genu of the corpus callosum were bilaterally ablated by suction (cingulate group), 9 animals which had their parietal cortices (chiefly area 7) partially removed (parietal group), 9 rats whose parietal and occipital regions (chiefly areae 7 & 17), 13 animals in which the occipital cortices (chiefly area 17) were removed bilaterally (occipital group), and 9 normal rats (normal control group). Eighteen observation cages, each of which housed a subject and was provided with food and water ad lib., were arranged in 6 rows on a rack and the behavior of each subject was scanned by an observer at a distance of 1.5 m from the rack. The observer scanned the first and second rows 6 times in 1 min, then proceeded to the 3rd and 4th rows, scanning for another 1 min, and finally to the 5th and 6th rows. The speed of scanning was such that behavioral observations of all of the 18 rats were completed in 3 min, each subject receiving 6 observations. The scanning was repeated every 3 min for 18 min, which constituted one observation session and was followed by a 72 minutes' recess. The whole procedure was repeated through 24 hours so that a total of 576 behavioral observations were made on each subject in 16 observation sessions. Behaviors checked were sleeping, lying, lying and sniffing, standing, standing and sniffing, exploring, eating, drinking, grooming (included were washing, licking, and scratching), and others.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cingulate group ate significantly more often than the normal control, the parietal, and the parieto-occipital groups. 2. Exploration was significantly less frequent in the cingulate group than in the normal control, the parietal, and the occipital groups. There was, in the case of the cingulate group,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ccurrence of eating and the exploratory activity. 3. The general activity, as judged from the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occurrence of exploration, eating, drinking, grooming, and standing and sniff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ingulate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any other groups including the normal control. 4. Though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cingulate group slept least often among all the animal groups tested. 5. The parieto-occipital group tended to groom less, and the parietal group to eat less often than the normal control group did,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the groups except the cingulate group as regards other behaviors analyz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inferred that the cingulate cortex exerts an inhibitory influence upon the occurrence of eating and general activity, while it tends to facilitate the occurrence of sleep.

  • PDF

클로르페나피르 음독 후 발생한 독성 시신경병증 1예 (Toxic Optic Neuropathy Caused by Chlorfenapyr Poisoning)

  • 박수진;정재욱;강용구;전보영;손병재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1호
    • /
    • pp.1097-1102
    • /
    • 2018
  • 목적: 클로르페나피르 음독 후 중추신경계 손상을 동반한 독성 시신경병증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4세 여자가 7일 전부터의 양안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내원 2주 전 자살 목적으로 클로르페나피르 한 모금을 음독했고, 직후 근처 병원에서 위세척을 시행하였다. 초기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안전수지 30 cm, 좌안 안전수동이었다. 양안 동공은 5.0 mm로 커져 있었고, 빛에 대한 반응은 느렸으며 좌안에는 상대구심동공운동장애가 관찰되었다. 안저검사에서 양안 시신경유두부종이 관찰되었고, 뇌자기공명영상에서 양안 시신경과 속섬유막, 뇌량, 중소뇌각, 뇌간 등 백질 신경로를 따라 양쪽에 대칭적인 고강도신호가 관찰되었다. 클로르페나피르 중독으로 인한 독성 시신경병증으로 진단 후, 고용량 스테로이드치료를 3일간 시행하였으나 양안 최대교정시력은 광각무로 악화되었다. 3개월 후, 안저검사에서 양안 시신경위축이 관찰되었고,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망막신경섬유층 및 신경절세포-내망상세포층 두께가 감소하였다. 결론: 매우 적은 양이라도 클로르페나피르에 노출되면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잠복기를 거쳐 심각한 시신경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겠다.

Effects of treadmill running and swimming on expressions of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and myelin basic protein in rat pups with maternal infection-induced cerebral palsy

  • Kim, Ki-Jeong;Seo, Jin-Hee;Sung, Yun-Hee;Kim, Bo-Kyun;Kim, Dae-Young;Lee, Sang-Hak;Kim, Chang-Ju;Kim, Young-Pyo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3-209
    • /
    • 2009
  •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PVL) is a common white matter lesion affecting the neonatal brains. PVL is closely associated with cerebral palsy (CP). It has been suggested that maternal or placental infection can induce damage to the neonatal brain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eadmill running and swimming of rat pups on the GFAP and MBP expressions in the brains of rat pups with maternal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CP.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e six groups for experiment 1: the control group, the control with mild exercise group, the control with moderate exercise group, the LPS-treated group, the LPS-treated with mild exercise group, and the LPS-treated with moderate exercise group (n=6 in each group). The rats in the running groups were forced to run on a motorized treadmill for 30 min 5 times a week for 4 weeks. For experiment 2, th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control group, the LPS-treated group, the LPS-treated with swimming group, and the LPS-treated with treadmill running group (n = 5 in each group). The rats in the swimming group were made to swim for 30 min once a day for 5 times per week during 2 weeks. The rats in the treadmill running group were made to run for 30 min once a day for 5 times per week during 2 weeks.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intracervical maternal LPS injection during pregnancy significantly increased GFAP expression in the striatum and significantly decreased MBP expression in the corpus callosum of rat pups. The present results also showed that treadmill running and swimming significantly suppressed GFAP expression and significantly enhanced MBP expression in the brains of rat pups with maternal LPS-induced CP. This effect of treadmill running was shown as equally both in the mild-intensity exercise and in the moderate-intensity exercise.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exercise, both the treadmill running and swimming, i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astrogliosis and hypomyelination associated with CP. Here in this study, we showed that treadmill running and swimming are effective for alleviating the detrimental effects of CP.

뇌농양을 모방한 괴사성 원발성 중추신경계 혈관염: 증례 보고와 문헌 고찰 (Necrotizing Primary Angiiti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Mimicking Brain Abscess: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박찬진;최은선;최은오;김은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6호
    • /
    • pp.1367-1372
    • /
    • 2023
  • 원발성 중추신경계 혈관염은 중추 신경계에서 발생하는 드문 혈관염이다. 뇌농양과 구별하기 힘든, 괴사 패턴의 원발성 중추신경계 혈관염을 진단, 치료를 하였던 본원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시야 흐림, 두통을 주소로 19세 남자 환자가 내원하였다. 조영증강영상에서 가장자리가 조영이 잘되는 괴사성 종괴들의 소견이 뇌량과 좌측 두정-측두 뇌실주위 영역에서 보였는데, 확산강조영상에서 뇌량에 있는 종괴는 중심부에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고, 좌측 두정-측두 뇌실주위영역에 있는 종괴는 주변부에서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다. 자화율강조영상에서 종괴들 내에 다발성 점상 출혈 소견을 보였다. 비정형적인 뇌농양과 종양성 원발성 중추신경계 혈관염의 가능성을 생각하였다. 먼저 뇌농양을 배제하기 위해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였다. 하지만 2주간의 항생제 치료 이후에 시행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괴사성 종괴들은 호전되지 않은 소견을 보였다. 병변에 대해 수술적 생검을 시행하였고, 최종적으로 괴사 패턴의 원발성 중추신경계 혈관염으로 진단되었다.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 이후 시행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괴사성 종괴들은 작아졌다.

간성뇌증 환자의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대칭적인 지역 뇌부종 양상의 군집화 (Pattern Clustering of Symmetric Regional Cerebral Edema on Brain MRI in Patients with Hepatic Encephalopathy)

  • 임춘근;이희중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381-393
    • /
    • 2024
  • 목적 간성뇌증(hepatic encephalopathy; 이하 HE)의 대사이상은 뇌부종 또는 탈수초성 질환을 일으켜 자기공명영상에서 대칭적인 지역 뇌부종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 HE 환자의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대칭적인 지역 뇌부종 패턴의 군집화 분석을 통해 뇌부전 발생 예측의 유용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과 방법 연속적인 HE 환자 98명을 대상으로 MR 소견과 임상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Symmetric regional cerebral edema (이하 SRCE)의 12개 영역 간의 상관관계는 파이(φ) 계수를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φ2 거리 측정과 Ward의 방법을 사용하여 계층적 군집화를 사용하여 패턴을 분류하였다. SRCE의 분류된 패턴은 말기 간 질환 모델(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이하 MELD) 점수 및 HE 등급과 같은 임상과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적색 핵과 뇌량(φ = 0.81, p < 0.001), 대뇌 십자 및 적색 핵(φ = 0.72, p < 0.001), 적색핵과 치상핵(φ = 0.66, p < 0.001)을 포함한 22쌍의 관심영역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이 발견되었다. 계층적 군집화 후 24건을 I군, 35건을 II군, 39건을 III군으로 분류하였다. 그룹 III은 그룹 I에 비해 MELD 점수(p = 0.04)와 HE 등급(p = 0.002)이 더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HE 환자에서 대칭적인 지역 뇌부종의 패턴은 간 보존 및 뇌부전 발생을 예측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중심 측두부 극파를 보이는 전형적 및 비전형적 양성 부분 간진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typical and atypical benign epilepsy with centrotemporal spikes (Rolandic epilepsy))

  • 송준혁;이규하;정사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0호
    • /
    • pp.1085-1089
    • /
    • 2008
  • 목적: 비전형적 롤란도 간질이 드물지 않게 있지만, 전형적 및 비전형적 롤란도 간질의 비교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전형적 및 비전형적 롤란도 간질의 임상 특징을 알아보고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법: 2002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경희의료원을 내원한 롤란도 간질 환자 158명을 선별하여 임상 증상, 경과, 관해율, 재발 등을 후향적으로 연구 하였다. Wirrel 기준으로 116명의 전형적 롤란도 간질군(A군)과 42명의 비전형적 롤란도 간질군(B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1) 경련 시작 나이 : A군은 $8.6{\pm}1.7$세, B군은 $6.2{\pm}1.7$세에 경련을 시작하였다. B군이 A군보다 더 일찍 경련이 시작하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2) 성별 : 총 158명의 환자 중, 남자가 96명, 여자가 62명 이였다. 남녀 비는 1.6:1 이였다. 42명의 비전형적 롤란도 간질환자(B군) 중, 24명이 남자, 18명이 여자였고, 남녀 비는 1.3:1 이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3) 40명의 환자에서 뇌 영상 촬영을 하였다(A군 25명, B군 15명). B군 뇌 영상에서 뇌실 확장(4명), 경증 겉질 위축(4명), 뇌량의 부분적 무발생(2명) 등의 이상 소견이 발견 되었다. A군은 뇌 영상에서 이상이 없었다(P<0.05). 4) 치료 시작 전 경련의 빈도 : A군은 한 달에 $2.0{\pm}1.0$회의 경련을 보였고, B군은 한 달에 $2.3{\pm}1.2$회의 경련을 보였다. 두 군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5) 처음 항경련제 투여 후 경련을 조절하는데 걸린 기간 : A군은 3개월 내, B군은 3-12개월에 조절되었다(P<0.05). 6) 2년간 경련을 보이지 않는 관해율 : A군 116명 환자 중 105명이 관해를 보였고(90.5%), B군 42명 환자 중 38명이 관해를 보였다(90.4%)(P>0.05). 7) 2년간 경련이 없는 관해를 보인 후의 재발률 : A군은 105명의 환자 중 13명이 재발하였고(12.4%), B군은 32명의 환자 중 12명이 재발하였다(37.5%)(P<0.05). 결 론: 이번 연구에서는 비전형적 롤란딕 간질 환자군(B군)의 경련이 더 일찍 시작 되었으나 유의한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성별, 치료 시작 전 경련의 빈도, 2년간 경련을 보이지 않는 관해율 등은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뇌 영상 촬영에서의 이상 소견, 처음 항경련제 투여 후 경련 조절 기간, 2년간 경련을 보이지 않는 관해 후의 재발률 등은 두 군간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확산텐서 MR 영상을 이용한 백질의 비등방성 측정 및 백질섬유 트래킹: 확산경사자장의 방향수가 미치는 영향 (Anisotropy Measurement and Fiber Tracking of the White Matter by Using Diffusion Tensor MR Imaging: Influence of the Number of Diffusion-Sensitizing Gradient Direction)

  • 전우선;홍성우;이종세;김성현;김재형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0권1호
    • /
    • pp.1-7
    • /
    • 2006
  • 목적 : 최근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의 발전으로 뇌백질의 미세 구조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확산텐서영상을 얻기 위한 적절한 영상촬영조건 중 확산 강조 경사자장의 적정한 방향 수에 대하여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백질의 트래킹(tracking)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 확산강조 경사자장의 방향 수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건강한 남녀 13명 (남: 10, 여: 3, 평균나이: 30세, 연령분포: 23-37) 을 대상으로 하였다. 확산텐서영상은 모든 영상촬영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확산강조 경사자장의 방향 수를 6-방향, 15-방향, 32-방향으로 변화시키면서 시행하였다. 영상 범위는 뇌교 하방 1 cm부터 측뇌실 상방 2-3 cm까지 포함하였으며 전교련-후교련 연결선에 평행하게 하였다. 영상후처리를 통해 FA (fractional anisotropy, 분할 비등방성) map을 만든 후, 뇌량의 무릎과 팽대에서 FA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각 FA map에서 구하였다. 그리고 뇌의 피질척수로에서 트래킹을 시행하여 트래킹된 백질 섬유의 수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FA, FA의 표준편차, 트래킹된 피질척수로의 섬유 수를 통계적 방법으로 6-방향, 15-방향, 32-방향사이에서 비교하였다. 결과 : FA는 확산강조 경사자장의 방향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사자장의 방향 수가 증가함에 따라 FA의 표준편차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트래킹된 피질척수로의 섬유 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확산텐서영상에서 확산강조 경사자장의 방향 수를 증가시킬수록 더 우수한 백질의 트래킹이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