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onary artery occlusion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3초

급성심근경색 후 발생한 좌심실벽 파열에서 소심낭과 Fibrin Glue 압박을 이용한 치험 - 1예 보고 - (Repair of Left Ventricular Free Wall Rupture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pplication of Pericardial Patch Covering and Fibrin Glue Compression A case report)

  • 김상익;금동윤;원경준;오상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363-366
    • /
    • 2003
  • 배경: 급성심근경색 후 좌심실벽 파열은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보통 응급 수술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지속적인 흉통과 실신을 주소로 내원한 76세 여자 환자로 심초음파에서 심낭 삼출 및 좌심실 측하부의 수축 저하 소견을 보였고 관상동맥조영술에서 첫 사선지의 완전 폐쇄소견이 관찰되었다. 폐쇄된 사선지에 관상동맥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 그리고 대동맥내 풍선펌프 삽입 후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체외순환 및 심정지하에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고 좌심실벽 파열부위는 소 심낭으로 덮고 인조사로 연속 봉합하였으며 소 심낭과 심장외막 사이의 공간은 fibrin glue로 채운 후 지혈될 때까지 압박하였다. 급성심근경색 후 발생한 좌심실벽 파열을 치험하였기에 보고한다.

Takayasu씨 동맥염에 의한 대동맥궁 증후군 환자에서 대동맥판막 치환술 - 1예 보고 - (Aortic Valve Replacement in a Patient with Aortic Arch Syndrome Secondary to Takayasu's Arteritis -One case -)

  • 최종범;양현웅;이삼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88-91
    • /
    • 2004
  • Takayasu씨 동맥염 환자에서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은 종종 발생하는 합병증이다. 급성 및 진행성 염증으로 대동맥의 뇌혈관 분지에 협착 또는 폐쇄를 가진 환자에서 실신 등의 허혈성 뇌증상은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의 합병으로 더 악화될 수 있다. 양측 경동맥의 폐쇄와 양측 척추동맥의 협착, 우관상동맥의 폐쇄,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으로 실신 및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34세 남자 환자에서 수술 전후에 스테로이드의 투여, 양측 쇄골하 동맥에 스텐트의 삽입 및 대동맥판막 치환술로써 증상의 호전을 가져올 수 있었다.

관상동맥 우회로술시 심근보호법에 따른 수술결과의 임상분석 (Clinical Analysi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According to Cardiac Protection)

  • 이서원;이계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0호
    • /
    • pp.961-965
    • /
    • 1997
  • 대전을지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1년 10월 부터 1996년 4월까지 27명의 관상동맥우회로술을 시행하였으며 심정지액을 사용한 A그룹과 사용하지않은 B그룹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남자는 17명, 여자는 10명 이었 으며 연령은 45세에서 76세까지 분포하였으며 평균연령은 65세였다. 술전 임상소견으로는 안전성 협심증 11 례,불안전성 협심증 13례, 심근경색후 협심증이 3례였다. 동반질환으로 고혈압 7례, 당뇨병 5례 및 기타질환 이 3례있었다. 환자당 평균 혈관문합수는 A군에서 2.0개소, B군에서는 2.83개소의 원위문합을 하였다. 대동 맥 차단시간은 A군에서 54.7분, B군에서는 18.5분이었다. 술중 혹은 술후 발생한 심근경색증은 A군에서 2례, B군에서 3례 였으며, 전체파망율은 4례론 14.8%이며 B군의 사망율은 8.3%였다.

  • PDF

Repair of Acute Post Infarction Mitral Regurgitation with Papillary Muscle Reimplantation - A case report -

  • Park, Won-Kyoun;Kim, Joon-Bum;Choo, Suk-J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4호
    • /
    • pp.285-287
    • /
    • 2011
  • A 53-year-old man presenting with dyspnea and chest pain was diagnosed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econdary to occlusion of the left circumflex coronary artery. Urgent revascularization by percutaneous stenting was successfully performed. However, the post-echocardiography revealed a ruptured papillary muscle that was causing severe mitral regurgitation and aggravation of congestive heart failure. The patient subsequently underwent mitral valve repair with papillary muscle re-implantation. Postoperative echocardiography showed a competent mitral valve without residual stenosis or regurgitation. The patient wa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with an uneventful recovery and has been doing well on outpatient follow up.

내시경을 이용한 요골동맥 수확법의 수술 방법과 결과 (Endoscopic Radial Artery Harvest: Techniques & Results)

  • 정영균;이종태;조준용;김규태;장봉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호
    • /
    • pp.35-41
    • /
    • 2006
  • 배경: 관상 동맥 우회로 조성술에서 요골동맥 이식편의 사용빈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저자들은 전통적 획득방법에 따른 미용상의 문제와 신경학적 증상 등을 줄이고자 내시경을 이용하여 요골동맥 이식편을 획득하였고, 그 사용 방법과 조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5년 4월까지 관상동맥우회로 조성술을 위해 내시경을 통한 요골동맥 수확을 시행한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요골동맥은 비우성의 팔에서 수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손목의 요골부에 2 cm절개를 시행하여 내시경을 삽입 후 요골동맥을 박리하고 전주와 부위에 5 mm 절개를 시행하여 요골동맥을 매듭 후 절제하였다. 결과: 표재 요골 신경 지배 부위의 감각 이상이 23예 있었으며 가쪽 아래팔 피부 신경 지배부위의 감각 이상은 없었으며 수부의 기능 저하 역시 없었다. 창상 내 국소 부위 혈종이 있던 1예를 제외하고는 창상 문제는 없었다. 술 후 7.9$\pm$3.6개월 후 전화 문진을 통해 추적 관찰하였으며 감각 이상을 보이던 23예 중 4예에서 증상이 지속되었으며 창상의 미용적인 측면에서는 모두 만족하였다. 술 후 요골동맥의 조기 개통성 평가를 위해 66예에서 다검출기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고, 원위부와 근위부 모두 협착이 2예(3.0$\%$), 폐색이 1예(1.5$\%$)가 관찰되었다. 결론: 내시경을 이용한 요골동맥 수확법은 전통적 개방식 수확법에 비해 수부의 기능 장애 없이 신경학적 합병증의 빈도는 낮았으며 창상의 미용학적 만족도는 매우 뛰어났다. 그리고, 이식편의 단기 개통률도 전통적인 방법과 차이가 없어 적극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2년과 4년 누적 생존율은 A군이 95.4$\%$, 79.9$\%$, B군이 95.4$\%$, 90.1$\%$였다(p=ns). 결론: 70세 이상 고령 환자에서의 관상동맥우회술은 낮은 사망률과 만족할 만한 합병증 발생률로 시행될 수 있어 환자 나이만으로 수술 여부를 결정해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한다.rtening Fraction)은 평균 23.6$\pm$4.7$\%$에서 37.4$\pm$7.9$\%$로 호전되었고, 좌심실의 수축기말의 용적지수(LVEDDI: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mension index to body surface area)는 수술 전100.8$\pm$25.6 mm/$m^{2}$에서 79.3$\pm$ 15.8 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조직공학적 인조혈관의 생체 내 이식 실험 (In Vivo Experiment of Tissue-Engineered Artificial Vessel)

  • 임상현;조승우;홍유선;김병수;유경종;장병철;최차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3호
    • /
    • pp.220-227
    • /
    • 2004
  • 관상동맥 질환과 말초혈관 질환의 증가에 따라 직경 6 mm 이하의 소구경 혈관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조직공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소구경 인공혈관을 제작하여 생체 실험을 시행하였다. 동종 판막을 얻어 이를 탈세포화시킨 후 피실험동물의 골수를 채취하여 탈세포화시킨 혈관용 지지체(scaffold) 위에 이식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인공 혈관을 잡견의 양측 경동맥에 이식한 후 혈관이 막히거나, 8주가 되었을 때 이를 제거하여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자가 세포를 이식하지 않고 지지체만을 이식하였던 대조군 4마리 중 3마리의 혈관은 2주 이내에 모두 막힌 것을 확인하였고 나머지 한 마리의 혈관은 혈관류(aneurysm)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자가 세포를 이식한 실험군 4마리 중 2마리는 각각 4주와 6주까지 혈관의 개통성을 유지하였고, 나머지 2마리는 8주까지 혈관의 개통성을 유지하였다. 조직학적 검사 결과, 8주까지 개통성을 유지하였던 혈관은 정상의 혈관과 거의 유사한 조직학적 구조를 나타내었다. 자가 세포와 탈세포화된 지지체를 이용하여 제작한 인공혈관은 조직학적 검사 결과 정상과 유사한 구조로 재생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Antiarrhythmic Effects of KR-32570, a Novel Na+-H+ Exchanger Inhibitor, on Ischemia/Reperfusion-Induced Arrhythmias

  • Hwang, Geum-Shil;Seo, Ho-Won;Lee, Kyu-Yang;Lee, Sun-Kyung;Yoo, Sung-Eun;Lee, Byung-H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3권1호
    • /
    • pp.20-25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antiarrhythmic effects of KR-32570, a novel inhibitor of sodium hydrogen exchanger subtype-1 (NHE-1), in rat arrhythmia induced by focal ischemia and reperfusion. During ischemia, KR-32570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of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 from 152.0 times to 75.5, 52.4 and 20.0 times for 0.1, 0.3 and 1.0 mg/kg, respectively (p<0.05) and the duration of ventricular tachycardia (VT) from 88.1 s to 35.8, 7.7 and 1.3 s, respectively(p<0.05) in anesthetized rats subjected to 10-min coronary occlusion of coronary artery. Similarlt to ischemia-induced arrhythmia, KR-32570 significantly decreased reperfusion-induced arrhythmia including PVC (41.3, 21.5, 11.3 and 6.6 times at vehicle, 0.1, 0.3 and 1.0 mg/kg, respectively, p<0.05) and VT (100.5, 64.2, 25.8 and 25.2 s, respectively, p<0.05), and VF (86.9, 27.5, 6.9 and 0 s, respectively, p<0.05). Moreover, KR-32570 dose-dependently decreased the incidence of mortality occurring after reperfusion (41, 27, 18 and 0% at vehicle, 0.1, 0.3, 1.0 mg/kg,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KR-32570 has a potent antiarrhythmic effect in rat arrhythmia induced by ischemia and reperfusion.

Supplementation with psyllium seed husk reduces myocardial damage in a rat model of ischemia/reperfusion

  • Lim, Sun Ha;Lee, Jongw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3호
    • /
    • pp.205-213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Myocardial infarction (MI) is caused by extensive myocardial damage attributed to the occlusion of coronary arteries. Our previous study in a rat model of ischemia/reperfusion (I/R) demonstrated that administration of arabinoxylan (AX), comprising arabinose and xylose, protects against myocardial injury. In this study, we undertook to investigate whether psyllium seed husk (PSH), a safe dietary fiber containing a high level of AX (> 50%), also imparts protection against myocardial injury in the same rat model. MATERIALS/METHODS: Rats were fed diets supplemented with PSH (1, 10, or 100 mg/kg/d) for 3 d. The rats were then subjected to 30 min ischemia through ligation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followed by 3 h reperfusion through release of the ligation. The hearts were harvested and cut into four slices. To assess infarct size (IS), an index representing heart damage, the slices were stained with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To elucidate underlying mechanisms,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for the slices. RESULTS: Supplementation with 10 or 100 mg/kg/d of PSH significantly reduces the IS. PSH supplementation (100 mg/kg/d) tends to reduce caspase-3 generation and increase BCL-2/BAX ratio. PSH supplementation also upregulates the expression of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and its target genes including antioxidant enzymes such as glutathione S-transferase mu 2 (GSTM2) and superoxide dismutase 2 (SOD2). PSH supplementation upregulates some sirtuins ($NAD^+$-dependent deacetylases) including SIRT5 (a mitochondrial sirtuin) and SIRT6 and SIRT7 (nuclear sirtuins). Finally, PSH supplementation upregulates the expression of protein kinase A (PKA), and increases phosphorylated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CREB) (pCREB), a target protein of PKA. CONCLUSIO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PSH consumption reduces myocardial I/R injury in rats by inhibiting the apoptotic cascades through modulation of gene expression of several genes located upstream of apoptosis. Therefore, we believe that PSH can be developed as a functional food that would be beneficial in the prevention of MI.

Gradual Reperfusion Lowers the Incidence of Reperfusion-Induced Ventricular Fibrillation in a Cat Model of Regional Ischemia

  • Kim, You-Ho;Na, Heung-Sik;Nam, Hyun-Jung;Hur, Gyu-Young;Lee, Seung-Whan;Park, Sung-Sook;Hong, Seung-Ki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3권1호
    • /
    • pp.47-52
    • /
    • 1999
  • Blood flow restoration to ischemic zone of the heart is essential to salvage of ischemic tissue. However, there is a large body of evidence documenting that the reperfusion can induce reperfusion injury like reperfusion-induced malignant arrhythmias. In the present study, employing a cat model of regional cardiac ischemia, we examined if reperfusion rendered in a gradual fashion could lower the incidence of reperfusion-induced ventricular fibrillation (VF), which usually precipitated within a few to several tens of seconds after abrupt reperfusion.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male mongrel cats (n=46, 2.5-5 kg). The animals in the control and 30 MIN groups were subjected to an episode of 20- and 30-min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occlusion, respectively, followed by abrupt reperfusion. The animals in 5 G and 10 G groups received gradual reperfusion over a 5- and 10-min period, respectively, following a 20-min occlusion. The proportion of animals that exhibited VF during the reperfusion phase was 11/15 in the control, 7/10 in the 30 MIN, 5/10 in the 5 G and 2/11 in the 10 G groups. The incidence of VF in the 10 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or 30 MIN group subjected to abrupt reperf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adual reperfusion is a useful procedure against reperfusion-induced VF.

  • PDF

재관류가 허혈 심근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 재관류 손상에 관한 연구 (Effect of Reperfusion after 20 min Ligation of the Left Coronary Artery in Open-chest Bovine Heart: An Ultrastructural Study)

  • 이종욱;조대윤;손동섭;양기민;라봉진;김호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8호
    • /
    • pp.739-748
    • /
    • 1998
  • 연구배경: 재관류 없이 허혈 심근세포의 기능이나 형태학적 변화를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킬 수 없음은 주 지의 사실이나 재관류가 반드시 유익하지만은 않다는 실험결과들이 있으므로 국소적으로 일과성 허혈을 유도하여 심근세포에서 일어나는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재관류가 허혈심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생후 12개월 내외의 홀슈타인종 소를 사용하여 정맥 마취하에서 흉부를 열고 왼쪽 관상동맥 의 전하방 가지를 20분 동안 결찰하여 국소허혈을 유도하고 결찰을 풀어 재관류를 유도하였다. 위험부위의 심근조직 을 재관류 직후, 재관류후 1, 2, 3, 6, 12시간 및 재관류 12시간후 1시간동안 보조호흡과 수액공급만을 한 후 각각 생검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여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20분 동안의 국소허혈로 심근세포는 경도에서 중등도에 이르는 미세구조적 변화들이 나타났는데 특히 세포막하, 핵, 사립체, 심근원섬유 등의 소기관에서 많은 변화들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재관류를 시작하여 1시간이 지나면 허혈심근세포에서는 회복을 시사하는 소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미세혈관 내에서 혈전형성이나 내강의 협착 등이 관찰되었으나 재관류가 계속됨에 따라 심근세포의 미세구조적 변화들은 서서히 회복되어 가는 양상을 나 타내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심내막하 심근세포의 일부에서는 재관류 손상으로 추측되는 미세구조적 변 화들이 관찰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미세혈관은 허혈에 대한 저항력이 심근세포보다 강하며 허혈 심근세포는 재관류 없이는 회복될 수 없고, 회복에는 비교적 장시간이 요구되며, 따라서 혈관폐쇄로 인한 허혈시 혈관성형술이나 혈전 용해를 촉진하는 물질을 이용한 치료는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나 재관류 유발성 세포손상에 대한 주의가 요망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