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onary Care Unit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6초

자발순환 회복된 병원 외 성인 심정지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와 혈청 칼륨 및 젖산 농도와의 관련성 분석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serum potassium and lactic acid with neurologic outcome in out-of hospital post-cardiac arrest adult patients)

  • 이용헌;김원희;강구현;장용수;최현영;김재국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93-499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rum potassium and lactate on neurologic outcomes in out-of-hospital post-cardiac arrest adult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single center,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e recruited out-of-hospital post-cardiac arrest adult patients admitted to an intensive care unit from 2011 to 2017. Primary outcome was good neurologic outcome at discharge. To evaluate the prognostic impact of serum potassium and lactat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A total of 57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number of patients with good neurologic outcome was 19 (33.3%). In the univariate analysis, good neurologic outcome patients showed a higher smoking rate, shorter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higher rate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nd lower severity score (all P<0.05). The good neurologic outcome patients also presented higher pH, lower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and lower potassium regarding laboratory findings on the first hospital day (all P<0.05).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independent factors favoring good neurologic outcome were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adjusted odds ratio [aOR], 0.82; 95% confidence interval [CI], 0.69-0.97; P=0.019) and lower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on the first hospital day (aOR, 0.95; 95% CI, 0.91-0.99; P=0.034). Conclusion: Serum potassium and lactate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ood neurologic outcome in out-of-hospital post-cardiac arrest adult patients. The prognostic factors for good neurologic outcome were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and initial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비순환기계 중환자의 예후인자로서 Cardiac Troponin I의 유용성 (Usefulness of Cardiac Troponin I as a Prognostic Marker in Noncardiac Critically Ill Patients)

  • 김휘종;함현석;조유지;김호철;이종덕;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53-61
    • /
    • 2005
  • 배 경 : cTnI는 심근손상의 특이 표시자로서 급성관상동맥 질환에서 높은 증가는 나쁜 예후와 상관이 있다. cTnI의 증가는 여러 가지 비심장성 중증질환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연구자 등은 비순환기계 중환자의 예후인자로서 cTnI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경상대학교 병원내과계 중환자실에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이외의 중증 질환으로 입원한 215명의 환자(남:142명, 여:73명, 평균 나이:$63{\pm}2$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중환자실 입원 24시간 이내에 SAPS II와 SOFA점수를 산출하였고 혈청 cTnI를 측정하였다. cTnI 양성군(${\geq}0.1{\mu}g/L$)과 음성군($<0.1{\mu}g/L$) 환자의 중환자실 제 10병일째와 30병일째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cTnI 양성군에서 중환자실 제 10병일째와 30병일째에 혈청 cTnI의 평균수치를 비교하였다. cTnI 양성군에서 혈청 cTnI 수치와 SAPS II와 SOFA점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1) cTnI양성군 환자는 120명(56%)이었고 음성군환자는 95명(44%)였다. 2) 중환자실 제 10병일째와30병일째의 사망률은 cTnI 양성군(29%, 41%)이 음성군(12%, 2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3) cTnI 양성군에서 중환자실제10병일째와 30병일째의 cTnI 평균 수치는 비생존군($4.5{\pm}9.2{\mu}g/L$, $3.5{\pm}7.9{\mu}g/L$)이 생존군($1.8{\pm}3.6{\mu}g/L$, $2.0{\pm}3.9{\mu}g/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cTnI 양성군에서 cTnI 수치는 SAPS II 점수(r=0.24, p<0.001)와 SOFA 점수(r=0.30, p<0.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 혈청 cTnI는 비순환기계 중환자의 유용한 예후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