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onary Angiographie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5초

모바일인터넷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제공이 관상동맥 조영술 대상자의 불안, 불편감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Mobile Internet Terminal on Anxiety, Discomfort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mong Patients Undergoing a Coronary Angiogram)

  • 김은향;신성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4권2호
    • /
    • pp.119-129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mobile internet terminal on anxiety, discomfort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mong patients undergoing a coronary angiogra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7, 2016 to February 23, 2017. A total of 64 participants (34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30 for the control group) admitted to a department of cardiology internal medicine for coronary angiography were recrui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dow 22.0 Program. Results: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mobile internet terminal did not affect anxiety and objective and subjective discomfort of the participants for coronary angiography, it was effective i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indicated that video education using a mobile internet terminal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nurses' work efficiency and quality and to rais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Hemodynamic Characteristics Affecting Restenosis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with Stenting in the Angulated Coronary Stenosis

  • Lee, Byoung-Kwon;Kwon, Hyuck-Moon;Roh, Hyung-Woon;Cho, Min-Tae;Suh, Sa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Vascular Biomedical Engineering
    • /
    • 제1권1호
    • /
    • pp.13-23
    • /
    • 2003
  • Backgrounds: The present study in angulated coronary stenosis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velocity and wall shear stress (WSS) on coronary atherosclerosis, the changes of hemodynamic indices following coronary stenting, as well as their effect of evolving in-stent restenosis using human in vivo hemodynamic parameters and computed simulatio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Methods: Initial and follow-up coronary angiographies in the patients with angulated coronary stenosis were performed (n=80). Optimal coronary stenting in angulated coronary stenosis had two models: < 50 % angle changed(model 1, n=43), > 50% angle changed group (model 2, n=37) according to percent change of vascular angle between pre- and post-intracoronary stenting. Flow-velocity wave obtained from in vivo intracoronary Doppler study data was used for in vitro numerical simulation.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velocity vector and recirculation area were drawn throughout the selected segment of coronary models. WSS of pre/post-intracoronary stenting were calculated from three-dimensional computer simulation. Results: Follow-up coronary angiogram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nt of diameter stenosis between two groups (group 1: $40.3{\pm}30.2$ vs. group 2: $25.5{\pm}22.5%$, p<0.05). Negative WSS area on 3D simula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re-circulation area of velocity vector, was noted on the inner wall of post-stenotic area before stenting. The negative WSS was disappeared after stenting. High spatial and temporal WSS before stenting fell into within physiologic WSS after stenting. This finding was prominent in Model 2 (p<0.01)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hemodynamic forces exerted by pulsatile coronary circulation termed as WSS might affect on the evolution of atherosclerosis within the angulated vascular curvature. Moreover, geometric change, such as angular difference between pre / post-intracoronary stenting might give proper information of optimal hemodynamic charateristics for vascular repair after stenting.

  • PDF

기능적 단일폐 환자에서 심폐체외순환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 치험 1예 -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in a Patient with a Functional Single Lung - A case report-)

  • 윤영철;위진홍;한일용;전희재;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492-495
    • /
    • 2008
  • 이전의 폐질환이나 전폐절제슬로 인해 기능적 단일폐를 가진 환자는 해부학적 혹은 생리학적으로 큰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이 환자를 대상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는 극히 드문 경우이다. 환자는 71세 여자로 과거력상 13년 전 폐결핵으로 좌측폐가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2주전부터 흉통이 점차 심해져 입원하였다. 관상동맥 조영술상 좌주관상동맥 개구부 80%, 좌전하행지 $90{\sim}95%$, 좌측 회선지 90%, 우측 관상동맥 90% 협착을 보여 관상동맥우회술을 계획하였다. 정중 흉골절개를 통해 정맥 이식편을 이용하여 심폐체외순환 없이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별다른 합병증 없이 호전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디피리다몰 부하 $^{99m}Tc$-MIBI 심근 SPECT 극성결손지도를 이용한 관동맥질환 진단의 남녀 비교 (Comparison of Diagnostic Accuracy for Detecting Coronary Artery Disease of Dipyridamole $^{99m}Tc$-MIBI Myocardial SPECT and It's Defect Map between Men and Women)

  • 배상균;이동수;오병희;정준기;이명묵;박영배;이명철;서정돈;이영우;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9-64
    • /
    • 1993
  •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differences in diagnosing coronary artery disease (CAD) between men and women of intravenous dipyridamole $^{99m}Tc$-MIBI myocardial SPECT, we obtained $^{99m}Tc$-MIBI myocardial SPECT and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coronary angiographies. Ninety eight male and 37 female patients who underwent dipyridamole $^{99m}Tc$-MIBI myocardial imaging within one month of cardiac catheterization were studied. Scans were considered abnormal if perfusion defect was detected and the defect size was more than 12% for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AD) and circumflex (LCX) and 8% for right coronary artery (RCA) territories. Lesions${\geqq}$50% luminal diameter narrowing were considered significant CAD. Overall sensitivity for detection of CAD was 94.3% in men and 96.4% in women; specificity was 70% in men and 52.6% in women (P=not significant, ns). Vessel-matched sensitivity was 75.3% in men and 72.7% in women (P=ns): specificity was 84.6% in men and 67.9% in women (P < 0.025). For individual coronary artery, the sensitivity in men and women was 87.7%, 81.8% for LAD; 78%, 83.3% for RCA and 52.2%, 46.7% for LCX (P=ns): the specificity was 80%, 40% for LAD (P<0.01), 82.5%, 68.4% for RCA, 88.9%, 86.4% for LCX (P=ns). The hemodynamic parameter after intravenous dipyridamole in men and women were significantly changed; the heart rate was increased and systolic,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decreased. Adverse effects were reported in 58.8% of men and 72.7% in women (P=ns). The incidence of chest pain and headache were higher in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s of nausea, abdominal pain, dizziness, facial flushing, dyspnea. In conclusion, dipyridamole $^{99m}Tc$-MIBI myocardial SPECT is a safe, noninvasive test for evaluation of CAD.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to detect CAD, but more false-positive rate in women especially in the territory of LAD.

  • PDF

내경 확장을 시행하지 않은 내유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로술의 임상적 결과[내유동맥 혈류량과 그임상적 결과]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ing Without Intraluminal Dilatation - Measurement of Internal Mammary Artery Flow and Clinical Results -)

  • 최종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3호
    • /
    • pp.307-314
    • /
    • 1992
  • The internal mammary artery has been advocated for use in bypass grafting owing to its superior long-term patency when compared to saphenous vein grafts. Concern exists that the flow through internal mammary artery may be inadequate during periods of peak myocardial demand when the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 was used for proximal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stenosis. This flow adequacy was investigated in 13 consecutive patients with a mean proximal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stenosis of 84.2% who were selected for coronary bypass using internal mammary artery. We checked flow and diameter of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without intraluminal dilatation just before anastomosis to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postoperatively with clinical symptoms, echocardiographies, stress tests, and coronary angiographies. The mean internal mammary artery flow measured just before anastomosis was 38ml/ min[range of 20 to 80ml /min] and its mean internal diameter 1.4mm. Maximal workload was improved from preoperative value of 6.3$\pm$2.5METS to postoperative value of 9.1$\pm$1.4 METS in 9 patients who Paired-test can be used. Cardiac symptoms recurred in two patients after bypass surgery, but they were not related to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s. All patients were discharged in postoperatively 9.3 days[range of 7 to 20 days] after operation without mortality. Thu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internal mammary artery is a reasonable graft that we can routinely use for proximal left descending artery stenosis if internal diameter of the internal mammary artery is more than 1.0mm and its flow is more than 20ml /min at mean arterial pressure of 50 to 60mmHg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 PDF

혈관 수술 후 심장 합병증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선별 검사로서 심근 관류 단일 광자 단층촬영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Myocardial Perfusion SPECT as a Screening Test before Planned Vascular Surgery for Predicting Perioperative Cardiac Complications)

  • 이형채;황윤호;위진홍;전희재;이양행;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25-32
    • /
    • 2010
  • 배경: 혈관질환 환자는 관상동맥질환 및 심장질환을 많이 동반함으로 인하여 혈관 수술 후 잠재되어 있는 심장질환이 악화 또는 유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심장질환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중 비교적 간단하고 비침습적인 SPECT 촬영에 대한 효용성은 아직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전 SPECT를 촬영하고, 그 결과에 따른 검사 및 처치들이 혈관 수술 후 심장 합병증 발생에 미치는 임상적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7년 9월까지 3년 6개월간 본 병원에서 혈관 수술 전 아데노신 부하 Tc-99m 테트로포스민 SPECT를 촬영한 6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SPECT 촬영 유소견의 심장 합병증 발생 예측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41.2%와 52.2%로 비교적 낮게 나왔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SPECT 촬영결과를 보인 환자에게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고 관상동맥 병변에 대한 비정상 소견이 있을 때 관상동맥 중재적 시술 및 관상동맥 우회로술 등의 적극적인 처치를 한 경우 심장 합병증의 발생률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SPECT 촬영은 혈관수술 후 심장 합병증 발생위험을 예측하기 위한 선별검사로서 효용성이 떨어진다.

좌주관상동맥 개구부 협착에서의 혈관성형술의 결과 (Outcome of Patch Angioplasty for Left Main Coronary Ostial Stenosis)

  • 강창현;나찬영;서홍주;김재현;이철;장윤희;황성욱;백만종;오삼세;김웅한;이영탁;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56-63
    • /
    • 2004
  • 배경: 좌주관상동맥 개구부 협착에서의 혈관성형술은 기존의 관상동맥우회술 시행 시에 발생할 수 있는 혈류 경합과 역행성 혈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좌주관상동맥 혈관성형술의 수술 성적과 예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좌주관상동맥 혈관성형술의 수술적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7월부터 2003년 5월까지 부천세종병원에서 좌관상동맥 개구부 협착으로 혈관성형술을 시행 받은 2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수술 전 임상양상, 수술결과, 수술 후 관상동맥조영술과 심초음파 검사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53.1$\pm$12.5세였으며 남녀비는 8 : 21이었다. 여성 환자 중 12예에서는 뚜렷한 죽상 경화증의 위험인자를 확인할 수 없었다. 26예(89.7%)의 환자는 다른 원위부 관상동맥에 병변이 없는 단독 좌주관상동맥 개구부 협착 소견을 보였다. 결과: 28예의 환자에서 전방접근법을 사용하였고, 1예의 환자에서 상방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주폐동맥의 절단을 1예에서 시행하였다. 4예의 환자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사망은 1예(3.4%)에서 발생하였으며 장기 추적관찰 결과 1예에서 외상으로 인한 만기 사망이 발생하여 5년 생존율은 91.2$\pm$6.1%였다. 수술 후 13예(44.8%)의 환자에서 17차례의 관상동맥조영술이 시행되었으며, 이 중 2예에서 첩포 원위부 협착이 발생하였고 1예에서 우관상동맥 개구부의 새로운 협착이 발생하여 3예의 경피적 중재술이 시행되었다. 1예의 환자에서 첩포 근위부 협착이 발생하여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5년 재시술 회피율은 82.4$\pm$8.5%였다. 수술 후 1도 이하의 새로운 대동맥 폐쇄부전이 4예에서 그리고 수술 전 동반되었던 대동맥 폐쇄부전의 심화가 1예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좌주관상동맥 혈관성형술은 좌주관상동맥 개구부의 협착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술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혈관성형술 부위의 협착과 대동맥 폐쇄부전에 대한 면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3동맥 도관으로서의 골격화된 우위대망동맥을 사용하여 시행한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 우회술;초기 및 중기 결과 (Off-Pump Total Arterial Revascularization Using the Skeletonized Right Gastroepiploic Artery as a Third Arterial Conduit; Early and Midterm Results)

  • 이현주;최재성;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9호
    • /
    • pp.659-665
    • /
    • 2003
  •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에서 골격화된(skeletonized) 양측 내흉동맥 이외에 골격화된 우위대망동맥을 함께 사용한 환자들에서 수술 직후와 1년째의 성적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8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골격화된 양측 내흉동맥과 우위대망동맥을 이용하여 시행한 103예의 관상동맥우회수술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우위대망동맥을 유근이식편(in situ graft)으로 사용한 것이 88예, 근위부를 다른 혈관 도관에 연결(composite graft)하여 사용한 것이 10예, 대동맥에 연결(free graft)하여 사용한 것이 5예로 각각의 경우 수술 직후와 1년후 혈관조영검사를 통해 도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문합수는 3.8$\pm$0.7개였고 수술 직전 측정한 도관의 자유혈류량(free flow (ml/rnin))은 우위대망동맥이 130$\pm$95 ml/min로 좌내흉동맥(107$\pm$55 ml/min)과 우내흉동맥(113$\pm$57 ml/min)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0.05). 수술 후 100명(97.1%)의 환자에게 평균 1.3$\pm$0.8일째에 혈관 조영 검사를 시행하였는데 내흉동맥은 98.6% (272/276),우위대망동맥은 97.0% (97/100)의 개통률을 보였다(p=ns). 퇴원 후에 평균 12.4$\pm$3.7개월째에 다시 88명(85.4%)의 환자에서 혈관 조영 검사를 시행하였다 개통률은 내흉동맥과 우위대망동맥이 각각 95.9%(234/244), 88.6%(78/88)로 내흉동맥이 조금 우세하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7). 우위대망동맥과 자신의 관상동맥 사이 혈류경쟁(flow competition)의 소견은 수술 직후에 5예, 1년 뒤에 7예에서 관찰되었는데 TTFM (transit time flow measurement)을 수술 중에 시행하여 혈류경쟁이 의심되는 경우에서 교정을 시행한 이후에는 각각 1예와 2예로 유의하게 줄어듦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우위대망동맥은 내흉동맥에 이어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3의 동맥 도관이며, 수술 중 혈류 측정, 대상 혈관의 정확한 수술 전 평가 등을 통해 중장기 개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관상동맥우회술 후 1년 및 5년 추적 관상동맥조영술을 이용한 문합부위의 형태학적 변화 (Morphologic Follow-Up of the Anastomotic Sites Using One-year and Five-year Angiograph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조광리;김준성;최재성;채인호;오병희;이명묵;박영배;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191-196
    • /
    • 2005
  •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환자에서 수술 후 1년 및 5년째에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문합 부위의 형태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7년 12월 사이에 관상동맥우회술만을 시행한 219예 중 수술 후 1년 및 5년째 추적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한 149예($75.3\%$) 및 115예($58.1\%$)를 대상으로 문합 부위의 변화 및 개존율을 FitzGibbon 등급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동맥도관을 이용한 문합은 수술 후 1년 및 5년 개존율은 각각 $96.5\%$ (192/199), $93.1\%$ (134/144)로 복재정맥도관의 개존율 $82.9\%$ (224/270), $77.5\%$ (141/182)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동맥도관 및 복재정맥도관 각각의 개존율은 수술 후 1년 및 5년 사이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복재정맥도관의 경우에서는 FitzGibbon 등급 B의 비율이 1년째의 $5.2\%$에서 5년째에 $8.2\%$로 증가하여 정맥도관질환의 더 빠른 진행을 시사하였다(p<0.01). 결론: 관상동맥우회술 후 동맥도관의 개존율은 수술 후 1년 및 5년째에 모두 복재정맥의 개존율보다 우수하였다. 복재정맥도관은 동맥도관에 비해 협착 진행의 비율이 수술 후 1년에서 5년 사이에 유의하게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