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n grains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3초

옥수수주정박이 산란계의 생산성, 영양소이용율 및 분 암모니아 방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on Producti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ies and Fecal Ammonia Emission in Laying Hens)

  • 신명호;유한진;이학림;이수기;이봉덕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2호
    • /
    • pp.137-145
    • /
    • 2008
  • 본 시험은 옥수수 주정박(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의 산란계용 배합사료에 첨가시 산란계의 생산성 및 영양소 대사율, 계분의 암모니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3주령의 Hy-line Brown 계통의 산란계 216수에 DDGS를 0% 함유한 사료를 대조구(T1)로 하고, 대조구와 동에너지(TMEn 2,780 kcal/kg)-동단백질(17.0%)이 되게끔 DDGS를 각각 10%(T2), 20%(T3) 첨가한 3가지 사료를 10주간 급이하였다. 시험설계는 3처리 6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임의 배치법을 사용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난생산 사료요구율, 영양소대사율 및 계분의 암모니아 발생을 측정하였다. 본 시험에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난생산 사료요구율 등의 산란 생산성은 모든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영양소 대사율에 있어 건물의 대사율의 경우 DDGS를 첨가한 처리구들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조지방과 NDF의 대사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가용무질소물의 대사율은 DDGS 첨가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Ca과 P의 대사율은 DDGS 첨가구들과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계분의 암모니아 발생은 DDGS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암모니아 발생이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산란계사료에서 DDGS를 10~20%까지 옥수수-대두박을 대체하여 사용할 경우, 건물과 NFE 대사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산란성적에 아무런 영향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옥수수 알곡의 가공처리에 의한 영양소 이용성 향상에 관한 연구 II. 한우에 있어서 옥수수 알곡의 가공처리가 반추위 미생물의 부착양상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Utility Value of Corn Grains by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II. Effects of Different Corn Processing Methods on Attachment Characteristics of Rumen Microbes in Hanwoo)

  • 김완영;김홍욱;강충민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3권1호
    • /
    • pp.132-141
    • /
    • 2001
  • 옥수수 알곡(whole corn)을 분쇄(ground corn; GC), 파쇄(cracked corn; CC), 박편(flaked corn; FC) 및 수침(soaked corn; SC)등 가공방법을 달리하여 처리하였을 때 반추가축에 있어서 미생물의 부착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한 본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한우의 반추위내에 각 처리별 옥수수를 12 및 24시간 배양하여 주사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반추 미생물의 부착양상과 사료 기질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2. 분쇄 및 파쇄 옥수수에서 가장 많은 미생물들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고 옥수수 알곡 및 수침 옥수수는 전분입자에 미생물의 부착을 관찰 할 수 없었으며, 단지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옥수수의 외피에 많은 미생물이 부착되었고 외피의 분해가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3. SEM 결과를 통하여, 옥수수의 입자가 작게 가공처리 될수록 미생물 군락의 형성이 용이하여, 반추위내 옥수수의 분해율을 향상시킨다고 판단된다.

Variation of Crude Protein and Amino Acids Concentrations in Corn, Wheat, and Barley from Different Countries

  • An, Su Hyun;Kong, Changsu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79-87
    • /
    • 202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ility in crude protein (CP) and amino acids (AA) content in cereal grains imported from different origins in Korea from 2006 to 2015. The values of CP and AA contents in corn, wheat, and barley were obtained from 430 and 325 samples from six countries, 83 and 56 samples from seven countries, and 60 and 58 samples from three countries, respectively. The CP concentrations in corn, wheat, and barley ranged from 7.12 (Brazil) to 7.68% (India), 10.55 (Ukraine) to 13.26% (Brazil), and 9.46 (India) to 10.49% (Ukraine), respectively. The Lys concentrations in the corn, wheat, and barley ranged from 0.18 (Argentina) to 0.24% (China), 0.26 (India) to 0.34% (China), and 0.23 (India) to 0.31% (Australia),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CP and AA varied among different countries of origin (P<0.05), except for Met in wheat and CP in barley.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for CP were 3.26, 9.06, and 5.36 from corn, wheat, and barley,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 between CP and Lys concentrations in corn, wheat, and barley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were 0.322, 0.277, and 0.542, respectively. In conclusion, CP and AA concentrations varied not only from different countries of origins but also within the same country due to the geographic region in which they are produced.

Nitrogen-corrected True Metabolizable Energy and Amino Acid Digestibility of Chinese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in Adult Cecectomized Roosters

  • Li, F.;Liu, Y.;Yin, R.Q.;Yang, X.J.;Yao, J.H.;Sun, F.F.;Li, G.J.;Liu, Y.R.;Sun, Y.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6호
    • /
    • pp.838-844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hemical composition, nitrogen-corrected true metabolizable energy (TMEn) and true amino acids digestibility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produced in China. Twenty five sources of corn DDGS was collected from 8 provinces of China. A precision-fed rooster assay was used to determine TMEn and amino acids digestibility with 35 adult cecectomized roosters, in which each DDGS sample was tube fed (30 g). The average content of ash, crude protein, total amino acid, ether extract, crude fib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were 4.81, 27.91, 22.51, 15.22, 6.35 and 37.58%, respectively. TMEn of DDGS ranged from 1,779 to 3,071 kcal/kg and averaged 2,517 kcal/kg.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non-amino acid crude protein, ether extract, crude fiber and TMEn were 55.0, 15.7, 15.9 and 17.1%, respectively. The average true amino acid digestibility was 77.32%.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btained the following equation: TMEn, kcal/kg = -2,995.6+0.88${\times}$gross energy+$49.63{\times}a^*$ (BIC = 248.8; RMSE = 190.8; p<0.01). Removing gross energy from the model obtained the following equation: TMEn, kcal/kg = 57.88${\times}$ether extracts+$87.62{\times}a^*$ (BIC = 254.3, RMSE = 223.5; p<0.01).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lor scores and lysine true digestibility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rn DDGS produced in China has a large variation in chemical composition, and gross energy and $a^*$ value can be used to generate TMEn predict equation.

고 섬유질 곡류의 섭취가 육계의 성장능력 및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Fiber Grains on the Growth Rate and Fat Accumulation in Broiler Chickens)

  • 정하연;이봉덕;임재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38
    • /
    • 1987
  • 고-섬유질 곡류의 육계의 성장률, 도체조성 및 복강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갓 부화한 암평아리 240수를 공시하였다. 시험사료는 저-섬유질 곡류로서 옥수수와 수수를, 고-섬유질 곡류로서 호밀과 겉보리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사료는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을 같게 하였다. 시험 설계는 4처리 5반복의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하였으며, 반복당 12수를 철제 battery cage에 수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5% 수준에서 실시하였고, 평균간의 비교는 신다준 검정법(Duncan, 1955)을 사용하였다. 육계의 성장률은 2주령 시에는 호밀 사료구가 6주령 시에는 수수와 호밀 사료구가 유의하게 불량하였으며, 사료 섭취량은 처리구별로 차이가 없었다. 사료효율은 3주령 시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6주령 시에는 보리와 옥수수 사료구가 수수와 호밀 사료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좋았다. 3주령된 육계의 내장 척출한 도체의 지방 함량은 호밀 사료구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보리 사료구도 수수 사료구 보다는 낮았으나 옥수수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주령된 육계의 내장 척출한 도체와 방혈ㆍ탈모만을 한 도체의 조성은 처리구별로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복강지방 함량에 있어서도 곡류의 섬유질 함량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푸드마일을 고려한 주요수입곡물의 운송단계별 환경영향 및 저감방안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Impacts and Alternative Scenarios of Transportation Stages on Food Miles for Major Imported Crops)

  • 김찬우;김솔희;정찬훈;서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3호
    • /
    • pp.51-61
    • /
    • 2018
  • Transportation and storage technologies, which are key drivers for trade, has increased global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about 165% from 1995 to 2015. Korea imports 76.2% of grain from major food exporters such as USA, Australia, Brazil, and China. The expected long shipping distances from these countries can seriously cause environmental impacts on various environmental categories such as climate change, particulate matter, and acidific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nvironmental implications focused on greenhouse gases (GHGs) and particulate matters (PMs) emissions of imported grains (wheat, corn, and bean) using food miles analysis and life cycle assessment (LCA).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imported crops are estimated by transportation modes using the national LCI database provided by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KEIT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mported wheat comes from USA (29%), AUS (27%), and URK (20%), corn is imported from USA (34%), BRA (29%), and URK (16%), and bean comes from BRA (57%), USA (40%), and CHN (2%); (2) the food miles of imported crops (wheat, corn, and bean) are 3.62E+10, 1.30E+11, and $2.20E+10ton{\cdot}km$, respectively; (3) the potential GHGs and PMs of wheat, corn, and bean are 5.02E+08, 1.67E+09, and 2.84E+08 kg $CO_2e$ and 5.89E+05, 1.83E+06, 3.07E+05 kg $PM_{10}e$, respectively. The outpu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environmental impacts and carrying distances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for preparing a plan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s.

옥수수 전분추출 공정개선을 위한 감마선 이용 (The Improvement of Corn Starch Isolation Process by Gamma Irradiation)

  • 변명우;강일준;권중호;이수정;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0-35
    • /
    • 1995
  • 전분 추출공정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감마선 조사기법을 이용하였다.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옥수수 시료의 일반성분은 변화가 없었으며, 미생물 오염도는 크게 감소하여 메옥수수의 경우 1 kGy, 찰옥수수의 경우 5kGy의 조사로 모든 미생물을 완전히 사멸시킬 수 있었다. 수침 및 아황산 용액에서의 수분흡수 속도상수는 침지온도 및 감마선 조사선량과 비례하여 증가되었으며 실온에서 6개월간 저장후에도 감마선 조사효과가 뚜렷하였다. 또한 아황산 용액은 수침에 비해 옥수수의 수화에 매우 효과적이며, 감마선 조사의 병용으로 그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다. 아황산농도 0.2%, $50^{\circ}C$, 40시간의 침지조건에서의 전분추출에 있어서 메옥수수와 찰옥수수 모두 감마선 조사로 전분의 수율을 최고 38%와 22%씩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추축된 전분의 색도는 찰옥수수 10 kGy 전분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Digestibility of nitrogen and dry matter of oilseed meals and distillers dried grains supplemented in swine diets

  • Park, Sung-Kwon;Cho, Eun-Seok;Jeong, Yong-Dae;Sa, Soo-J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5호
    • /
    • pp.769-776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and nitrogen (N) in oilseed meals and distillers dried grains (DDG) fed to growing-finishing pigs. As experimental animals, eleven barrows (initial body weight, $71.7{\pm}17.0kg$) were housed in individual metabolism cages. The experimental design consisted of an $11{\times}8$ incomplete Latin square with 11 dietary treatments and 8 replication periods. The diets were individually formulated with dehulled soybean meal produced in Korea (SBM-KD), soybean meal produced in India (SBM-I), soybean meal produced in Korea (SBM-K), corn high-protein distiller dried grains (HPDDG), tapioca distillers dried grains (TDDG), canola meal (CAM), corn germ meal (CGM), copra meal (COM), palm kernel meal (PKM), sesame meal (SM), and perilla meal (PM). Pigs with SBM-KD and SBM-K showed greater (p < 0.05) intake of N than SBM-I, HPDDG, and PKM. Total feces output was decreased (p < 0.05) in SBMs (SBM-KD, -I, and -K), HPDDG, and CGM compared with TDDG, SM, and PM. The DM in excreted feces was decreased (p < 0.05) in SBMs and CGM compared to TDDG, SM, and PM. Similarly, the SM and PM fed to pigs resulted in greater (p < 0.05) fecal excretion of N than the others.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DM in SBMs and CGM was greater (p < 0.05) than TDDG, SM, and PM. The SBMs fed to pigs showed higher (p < 0.05) ATTD of N than TDDG, COM, SM, and PM. In conclusion, our results provided nutritional information about various ingredients and would be useful to contain more precise amounts of nutrients included in feed ingredients of pig diet.

옥수수 가공방법이 In vitro 건물소화율 및 In sacco 건물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cessing Methods of Corn on In vitro DM Digestability and In sacco Degradability in Rumen)

  • 손근남;김용국;이수기;김현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433-442
    • /
    • 2003
  • 본 연구는 옥수수 알곡의 가공방법(통 옥수수, 분쇄, flake 3.8mm, 2.8mm 및 1.5mm)이 in vitro 상의 건물 소화율 및 in sacco 방법에 있어 반추위 내에서의 건물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를 규명하기 위해 반추위에 캐뉼라(cannulae)가 장착된 홀스타인 건유우 3두를 공시축으로 하여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옥수수 가공형태별 in vitro 소화율은 in sacco 방법에서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48시간 배양시에 1.5mm flake 및 분쇄한 옥수수가 각각 92.3, 91.2%로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2.8mm 및 3.8mm flake가 각각 83.9, 83.4%이였다. 특히, 통 옥수수는 가장 낮았으며, density가 낮은 통 옥수수가 높은 것보다 2배 이상 빠르게 분해되었다. In sacco 방법에 의한 건물 분해율은 48시간대에서 1.5mm flake, 분쇄 옥수수 및 2.8mm flake가 각각 94.4, 88.0 및 87.0%로서 가장 높았고, 3.8mm flake는 61.8%로서 이들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Density가 낮은 통 옥수수가 높은 것보다 12시간대까지는 많이 분해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24, 48시간대에서는 유의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옥수수를 분쇄하거나, flaking 처리를 하면 통 옥수수에 비하여 반추위 내에서 건물 분해율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flake의 가공정도를 증진시킬수록 건물 분해율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1.5 mm로 얇게 가공한 flake는 반추위 내에서 급속하게 분해되는 경향이었다. 한편, 같은 통 옥수수에서도 density가 낮은 것이 빠르게 분해되었다.

Corn Straw as Substrate for Producing Ethanol by Solid-State-Fermentation

  • Dong, Yong-Sheng;Qiao, Chang-Sheng;Wang, Rui-Ming;Wang, Li-Yan;Jia, Shi-Ru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5년도 2005 Annual Meeting &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204-211
    • /
    • 2005
  • The technology of Solid-State-Fermentation (SSF) with corn straw by Pichia ohmeri T021 was studied in this article. After being crushed, the corn straw powder was added into vitriol solutions to hydrolysis, which the quality proportion of corn straw: water: vitriol (98%) is 20:80:1. The mixtures was incubated at 120$^{\circ}C$ for 1 hour, and the hydrolysis rate reached 19%. Following, the mixture was adjusted to pH 4.5 by sodium carbonate and added cellulase (25IFPU/g). The hydrolysis rate reached 15% after the mixture was incubated at 50$^{\circ}C$ for 25h. The mixture which hydrolysed by vitriol was inoculated by Pichia ohmeri T021 (5${\times}10^7$cell/g) and added cellulase (25 IFPU/g) at the same time. The ethanol yield reached 2.99g per 100 gram substrate after the fermenting grains was incubated at 33$^{\circ}C$, pH 4.5 for 5 day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