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iolus versicolor fruit bod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석이버섯과 운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장내 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Gyrophora esculenta and Coriolus versicolor judae Mycelia on the Growth of Intestinal Bacteria)

  • 박경란;이운종;조민규;박의석;정준영;권오성;윤향식;김광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20-82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비만과 관련된 요소 중 하나인 장내 균총을 개선하고자, 식이섬유소가 풍부하고 저칼로리인 담자균류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 비만 관련 장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항균성 담자 균류 소재 탐색결과 석이버섯 자실체와 운지버섯 균사체의 추출물을 선발하였고, 선발된 담자균류 소재 추출물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열에 대단히 안정하였고, pH에도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at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석이버섯 80%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이 고지방식이만 투여한 군에 비하여, 장내 균총에서 Bifidobacterium spp.가 증가되었고, Clostridium spp.와 Eubacterium spp.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석이버섯과 운지버섯 추출물이 첨가된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고자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에 석이버섯 추출물을 3% 첨가한 실험구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석이버섯과 운지버섯 추출물이 장내 균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 자실체 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연구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riolus versicolor Fruit Body Crude Extracts)

  • 최병용;이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15-422
    • /
    • 2016
  • 본 연구는 운지버섯 자실체의 열수추출물(HE)과 메탄올 추출물(ME)의 총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과 일부 생리활성을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에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HE의 총 polyphenol 함량(129.60 mg/dl)은 ME함량(43.80 mg/dl)보다 85,8 mg/dl가 더 높았으며, 열수에서 추출이 더 높았다. HE의 총 flavonoid 함량(30.50 mg/dl)은 ME함량(20.90 mg/dl)보다 9.5 mg/dl가 더 높았다. DPPH의소거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41.03%가, M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16.36%로 더 높았으며, Tyrosinase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8.29%, ME 3 mg/ml에서는 10.32%가 더 높았고, Elastase 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3.12%가, ME에서는 21.53%가 더 높았다. Collagenase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5.44%가, ME에서는 4.07%로 더 높았다. 상기 효소활성은 모두 추출액농도증가에 비례하여 활성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상기의 두 종류의 추출물은 항산화 및 생리활성기능을 나타내어 피부의 주름의 완화제로서 유용하다고 판단되었다.

구름버섯 기원 항응고성 다당류의 혈액응고 저해기작 (Inhibitory Mechanism of Blood Coagulation by the Anticoagulant Polysaccharide from Coriolus versicolor)

  • 이현순;권미향;임왕진;성하진;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817-822
    • /
    • 1997
  • 구름버섯 자실체에서 분리된 항응고성 다당류의 혈액응고 저해기작을 검토하였다. 항응고성 다당(CV-40-Va-1)은 vWF의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소판응집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액응고인자중 thrombin뿐만이 아니라 내인성경로의 factor VII, IX, XI, XII의 활성 또한 억제 하였다. 그러나 CV-40-Va-1의 항응고 활성은 thromin에 직접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antithrombin III 의존적 활성을 보였다. Sulfation에 의하여 CV-40-Va-1의 항응고활성의 증가와 다당의 desulfation시 상반된 결과에서 CV-40-Va-1의 황산기가 항응고활성의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CV-40-Va-1을 TFA로 부분가수분해하여 얻은 획분들(Fr.I, Fr.II)에서는 항응고 활성이 감소하였으나 분자량 1,000정도로 추정되는 획분(Fr.II)은 오히려 혈소판응집을 강력하게 억제하였다.

  • PDF

버섯 발생이 부진한 표고골목 내부균사의 생리적 특성 및 해균 조사 (Investigation of Harmful Microorganism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ycelia in the Bed-log of Shiitake Strains Showing Low Fruit-body Productivity)

  • 박원철;이봉훈;유성열;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8-91
    • /
    • 2006
  • 가평에서 낮은 생산성을 보이는 저온성 품종과 고온성 품종의 균사상태 및 골목 표면에 형성된 해균에 대한 조사를 시도했다. 순수배지에서의 균사생장력을 조사한 결과, 저온성 균주는 분리균에 비해 보존균의 생장력이 1.1% 정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온성 균주는 분리균의 생장력이 보존균의 생장력에 비해 8.0% 정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톱밥배지에서의 균사생장력을 조사한 결과, 고온성 분리균은 보존균에 비해 10.8%정도 생장력이 떨어졌으며, 저온성 분리균은 보존균에 비해 25.1%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량감소율 조사결과, 고온성 분리균은 보존균에 비해 20.1% 정도 중량감소율이 낮았으며, 저온성 분리균도 보존균에 비해 19.0%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처리에 비해서는 고온성 보존균이 107.0%, 고온성 분리균이 49.5%, 저온성 보존균이 85.4%,저온성 분리균이 50.0% 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치배양한 결과, 고온성 분리균과 저온성 분리균 모두 각각의 해당 보존균들과 동일한 균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골목에서 검은혹버섯(Hypoxylon truncatum),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 기와층버섯(Inonotus xeranticus), 삼색도장버섯(Daedaleopsis tricolor), 이중껍질버섯(Graphostroma platystoma), 점균류(Myxomycetes) 2종, 푸른 곰팡이(Trichoderma sp.), Hypoxylon fragiforme, Hypoxylon howeianum, Nitschkia confertula 등 총 11종의 해균이 발견되었으며, 골목들의 상태는 좋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