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iolus versicolor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5초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Culture of Coriolus Versicolor on Lipid Metabolism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High Fat Diet)

  • 문상필;고진복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2호
    • /
    • pp.88-94
    • /
    • 2004
  •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숫쥐의 성장률, 장기무게, 지질 대사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7주령의 흰쥐 (255.3$\pm$20.2g)에 표준 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표준식이에 15% 돈지를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고지방군, 고지방 식이에 운지버섯의 균사체 배양액을 음료수에 20% 및 30%로 혼합 급여한 군(20% 및 30% 운지버섯군) 등 4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은 30% 운지버섯군이 고지방군에 비해 다소 감소되었다.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 그리고 간, 신장, 비장 및 췌장 및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고지방군과 20% 및 30% 운지버섯군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부고환지방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군 및 운지버섯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운지버섯 섭취에 따른 감소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과 간의 중성지질 농도는 고지방군에 비해 30% 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청과 간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정상군과 고지방군, 20% 및 30% 운지버섯군이 비슷하였다. 혈청의 HDL-콜레스테롤 농도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고지방군에 비해 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동맥경화지수는 고지방군에 비해 20% 및 30% 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혈청의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및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정상군과 각 실험군이 비슷한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 운지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액을 30% 급여 시 체중증가량과 장기 무게는 정상수준을 유지하였고, 혈청과 간의 중성지질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

목재부후(木材腐朽)의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II) - 주요(主要) 백색부후균(白色腐朽菌)의 부후(腐朽) 생리(生理) 및 물리(物理)·화학적특성(化學的特性) - (Fundamental Studies on the Wood Decay(II) - Phys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Rot Fungi in Korea -)

  • 이동흡;최돈하;윤승락;손승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49-56
    • /
    • 1992
  • Seven white rot fungi (Irpex lactenis, Coriolus hirsutus, Lopharia mirabilis, Schizopora paradoxa, Ganoderma lucidum, Pleurotus ostreatus and Pycnoporus coccineus) native to Korea and two famous exotic lignin degradable white rot fungi (Coriolus versicolor and Phanerochaete chrysosporium) were investigated to clarify their phys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n white-rotted wood blocks. G. lucidum degraded wood blocks more seriously than those by exotic lignin-degrading fungi, C. versicolor and P. chrysosporium, but only slightly decreasecl the strength of wood which was compared to the weight loss, persumably on the account of its small use of cellulose when attacking wood. It is quite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holocellulose degradation rate of G. lucidum was also higher than any of the other tested fungi. The order of fungi, according to the lignin-decomposing rates, was G. lucidum>P. coccineus>C. versicolor>S. paradoxa>P. chrysosporium>L. mirabilis>P. ostreatus>C. hirsutus>I. lactenis. The lignin degradation of G. lucidum and P. coccineus which were collected in Korea was greater than that of C. versicolor and P. chrysosporium. If holocellulose degradation is not considered. G. lcidum has the merit of actual application in biomass conversion due to linin removal.

  • PDF

운지버섯 배양액이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Culture of Coriolus versicolor on Lipid Metabolism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Cholesterol Diet.)

  • 고진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90-795
    • /
    • 2005
  •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유도한 횐쥐에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8주령의 Sprague-Dawley계 숫쥐에 대조식이군($20\%$지방과 $0.5\%$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 대조식이와 운지버섯의 균사체 배양액을 음료수에 $30\%$$40\%$로 혼합 급여한 군($30\%$$40\%$ 운지버섯군)등 3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은 $30\%$$40\%$ 운지버섯군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 감소되었으나,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대조군과 운지버섯군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간, 신장 및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대조군과 운지버섯군이 비슷하였다. 간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40\%$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30\%$$40\%$ 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HDL-콜레스테롤/총 콜레스테롤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변의 총 지질 및 중성지방의 배설량은 대조군에 비해 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횐쥐에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 30\%$$40\%$ 급여시 체중을 다소 감소시키고, 간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X>로 가슴 및 다리육의 적색도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사육일령에 따라서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가열 감량은 가슴육에서 $26.37\~28.79\%$이고 다리육은 $30.32\~31.32\%$로 다리육에서 가열감량이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사육일령에 따라서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전단력은 가슴육에서 45일령이 $2.20\;kg/0.5inch^2$, 70일령 $2.84\;kg/0.5inch^2$로 사육일령이 증가함에 고기의 연도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pH가 낮아 드립의 발생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am은 24시간째에 온도와 관계없이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Ceftriaxone sodium을 TPN과 Y-site 혼합 후 1-2시간 이내에 침천이 형성되었고 Unasyn의 경우에는 12시간째에 침천이 형성되었다. 혼합액의 pH나 색상은 연구기간 동안 일정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할 때, aminophylline은 고영양수액제와 혼합가능하고 ceftriaxone과 Unasyn은 고양양수액제와 혼합시 최소 1시간 동안은 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부작용 없이 조사할 수 있었고, 근치적 국소요법의 일환으로 방사선 선량증가가 전체 생존기간 및 무진행 생존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유방암치료에서 virtual wedge는 통상 사용하는 physical wedge에 비하여 주변 연부조직선량, 반대편 유방선량, 동측 페선량 및 심장선량을 감소시켜 급, 만성 방사선 부작용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또한 방사선조사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선형가속기의 부하를 줄일 수

Effects of Beta-glucan from Coriolus versicolor on Scavenger Receptor B1 Expression and their Involvement of Dectin-1 and Casein Kinase 2

  • Kim, Taeseong;Kim, Ye-Jin;Sohn, Eun-Hw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64-669
    • /
    • 2012
  • The mushroom Coriolusversicolor contains biologically active polysaccharides, most of which belong to the ${\beta}$ glucan group. Diverse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e to different sources and isolated types of ${\beta}$-glucans, may induce distinct biological activities. Here, we examined the effects of ${\beta}$-glucan from Coriolusversicolor (CVG) on the scavenger receptor B1 (SR-B1) expression and the role of SR-B1 in CVG-induced phagocytosis regulation by using SR-B1-specific shRNA transfected cells. We also examined whether Dectin-1 and CK2 are involved in SR-B1 expression in CVG-treated cells.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CVG increased the SR-B1 expression via Dectin-1 and CK2 in macrophages. However, the inhibition of SR-B1 expression by shRNA did not completely eliminate the effect of CVG on the increase of phagocytosis suggesting that SR-B1 is not essential for CVG-stimulated phagocytosi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dentify CVG's mechanism of action and its use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Ultrastructural Process of Protoplast Fusion Between Lentinula edodes and Coriolus versicolor

  • Kim, Chae-Kyun;Kim, Byong-Kak
    • Mycobiology
    • /
    • 제29권1호
    • /
    • pp.15-18
    • /
    • 2001
  • Protoplast fusion is a useful technique for establishing fungal hybrids to overcome the natural barriers. The ultrastructure of protoplast and its fusion process were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and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 The protoplasts were variable in size from $0.5{\sim}15{\mu}m$ in diameter, and the mean diameter was about $3{\sim}5{\mu}m$. It was impossible to discriminate protoplasts of Lentinula edodes from protoplasts of Coriolus versicolor by size and surface structure. Big aggregates of the dehydrated protoplasts were observed, after polyethylene glycol 4000 treatment. Nucleus, mitochondria, lipid granules and various vesicles having granules were scattered in the cytoplasm. The vesicles were heterogeneous in size and vary from one protoplast to another. The fused membrane layer of the two protoplasts was observed. Time protoplast membrane contact and reorganization of membrane components were essential condition for protoplast fu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showed fused protoplasts and flattening of the cells in the area of the membrane contact. We hope that our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provide some insights into the understanding of the fusion process of protoplast in fungi.

  • PDF

감귤 농축액에서 배양한 운지버섯 배양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Anticancer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riolus versicolor Culture Extracts Cultivated in the Citrus Extracts.)

  • 이세진;문성훈;김택;김진용;서정식;김대선;김율리아;김영준;박용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2-367
    • /
    • 2003
  • 운지버섯을 희석 감귤농축액과 일반 합성배지에서 각각 배양한 배양물을 열탕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버섯 배양추출물과 버섯을 접종하지 않은 희석 감귤농축액 자체에 대한 항산화 활성, 아질산 제거능, 그리고 항암활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DPPH 전자공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에서 희석 감귤농축액에서 얻어진 배양추출물(Extract-I)은 89%, 일반 합성배지에서 얻어진 배양추출물(Extract-II)은 66%, 접종하지 않은 희석 감귤농축액 자체(Extract-III)는 22%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 제거능은 배양추출물 모두 산성 조건일수록 증가하였으며, Extrac-I은 67%, Extract-II는 54%, 그리고 Extract-III는 34%의 아질산 제거능을 보였다. HeLa, PC-3, HepG2 및 A-549 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을 조사한 결과, Exract-I는 각각의 암세포들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75%, 82%, 55%, 그리고 82%의 높은 생육 저해 활성을 보였다. 반면에 Extract-II는 HeLa cell에 대해서만 66%의 생육저해를 보였고, Exoact-III는 모든 암세포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운지버섯을 희석 감귤농축액에 배양함으로서 일반 합성배지에서 배양하거나 감귤농축액 자체 보다 항산화 활성과 항암활성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었다.

구름버섯 배양액으로부터 단백다당류의 추출 및 정제방법 (Extraction and Separation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 Produced by Coriolus versicolor (Fr) Quel)

  • 박경숙;이재양;이상직;김선희;이재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2-76
    • /
    • 1992
  • 고등균류의 배양액 및 균사체로부터 항암작용이 있는 단백다당류의 추출 및 정제방법에 관한 실험을 구름버섯 균사배양체를 이용하고 실시하였다. 실온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2% Triton X-100과 함께 교반시키면서 추출했을 때 얻어진 단백다당류의 함량이 이미 사용되어 온 $100^{\circ}C$ 열수에 의한 추출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좋았다. 그러나 4 N NaCl을 포함한 2% Triton-X-100 용액으로 처리했을 때는 추출 후 ethanol 침전과정에서 단백다당류의 침전물을 얻을 수 없었다. 열수추출과 ethanol 침전과정에서 얻어진 단백다당류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정제실험을 하였다. alumina와 DEAE-Cellulose, DEAE-Sephadex를 각각 충전제로 하여 시료를 전개시키고 280nm에서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단백질 성분의 용출을 확인하고 이들 분획에 대하여 anthrone정색반응과 62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단백다당류를 분리, 정제하였다. 단백다당류의 정제는 alumina를 충전제로 사용하는 것보다 DEAE-Cellulose와, DEAE-Sephadex를 충전제로 한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더 효율적으로 정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