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oleuciscus splendidus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8초

서식처 유형에 따른 갑천의 어류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Gap Stream by Habitat Type)

  • 이동준;변화근;최준길
    • 생태와환경
    • /
    • 제42권3호
    • /
    • pp.340-349
    • /
    • 2009
  • 2007년 4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갑천의 자연형 구간 가운데 7개 지점을 선정하여 각 서식처별 어류군집의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조사지점은 폐쇄형 웅덩이(Closed pool), 평여울(Runs), 급여울(Riffles), 내만형 웅덩이(Opened pool), 소(Pool), 징검여울(Rock-scattered riffles), 댐형 웅덩이(D-type pool)등으로 구분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8과 29종이 출현하였으며, 서식처를 대표하는 표징종은 붕어 (Corassius ouratus, St. 1),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St. 3), 납자루(Acheilognathus lanceolatus, St. 4), 피라미 (Zacco platypus St. 2, 5, 6, 7) 정도로 구분하였다. 붕어(C. auratus)는 폐쇄형 웅덩이(St. 1)와 같이 하상구조가 대부분 모래로 구성되고 수심은 65$\sim$90 cm 정도로 다소 깊으며 유속이 거의 정체된 수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쉬리 (C. splendidus)는 급여울(St. 3)과 같이 수심이 8$\sim$38cm정도, 유속 $0.14\sim0.85\;m\;sec^{-1}$ 정도, 그리고 하상구조는 작은돌과 조약돌이 산재된 곳에 주로 서식하며 유속이 빠르기 때문에 BOD, COD, TN, TP, SS의 농도는 낮으며 DO는 높게 나타나는 곳을 선호하였다. 납자루(A. lanceolatus)는 개방형 웅덩이 (St. 4)와 같이 수심이 3$\sim$44cm정도,유속은 $0.01\sim0.02\;m\;sec^{-1}$로 낮은 수심과 느린 유속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라미 (Z. platypus)는 평 여울(St. 2), 소(St. 5), 징검 여울(St. 6)댐형 웅덩이(St. 7)등 여러 서식처에서 우점하였는데 주로 유량이 풍부하고 하상구조가 다양한 지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징검여울(St. 6)에서 미호종개(Iksookimia choii)가 4개체 출현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출현한 미호종개(I. choii)의 서식지는 하폭 24 m 정도, 수심 이 3$\sim$35 cm 정도, 유속은 $0.01\sim0.49\;m\;sec^{-1}$ 정도를 나타내며 하상구조는 큰돌부터 모래까지 다양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수질측정 결과 수온, EC, BOD, COD, TN, TP의 농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DO, SS의 농도가 비교적 높은 범위를 나타내어 이와 비슷한 물리, 화학적인 서식 환경이 조성되어야만 미호종개(I. choii)가 서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횡성댐 상·하류의 어류군집 구조와 최적 생태유량 산정 (Fish Community and Estimation of Optimal Ecological Flowrate in Up and Downstream of Hoengseong Dam)

  • 허준욱;강형식;장민호;이정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925-935
    • /
    • 2013
  •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field monitoring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abitat conditions of fish species in up and downstream of Hoengseong Dam. Based on the monitoring data, riverine health conditions such as composition ratio of fish species, bio-diversity (dominance index, diversity, evenness and richness),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were assessed, and optimal ecological flowrates (OEF) were estimated using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es (HSI) established for three fish species Coreoleuciscus splendidus, Pungtungia herzi and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selected as icon species using the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 (PHABSIM). The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as 20 species, and two species of Zacco platypus (30.4%) and C. splendidus (20.9%) dominated the fish community.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IBI and QHEI values decreased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long the river. The estimated IBI value ranged from 24 to 36 with average being 30.9 out of 50, rendering the site ecologically fair to good health conditions. HSI for C. splendidu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month in terms of season: Spring (April), Summer (August) and Autumn (October). HSI for flow velocity were estimated at 0.7 to 0.8 m/s for the Spring, 0.5 to 1.0 m/s for the Summer and 0.8 to 0.9 m/s for the Autumn. HSI for water depth were estimated at 0.3 to 0.5 m for the Spring; 0.3 to 0.5 m for the Summer; and 0.3 to 0.4 m for the Autumn. OEF was estimated at 4.2 and $6.5m^3/s$ for the Spring and Autumn, and $12.0m^3/s$ for the Summer. Overall, it was concluded that the Hoengseong Dam has been relatively well protected from the anthropogenic disturbance for the legally protected species including the endemic species studied in this study.

거제도의 담수어류상과 분포상의 특징 (Freshwater Fish Fauna and Distribution in Kojedo, Korea)

  • 손영목;송호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7-97
    • /
    • 1998
  • 거제도 지역의 하천을 대상으로 담수어류상과 분포상의 특징을 조사한 결과 총 10과 24종 2,366개체가 채집되었으며, 담수어가 7과 17종, 주연성 어류가 3과 7종이었다. 우점종은 Zacco temmincki로서 428개체(상대풍부도 : 18.1%)가 채집되었으며 아우점종은 Rhinogobius brunneus로 388개체(16.4%)였다. 그 밖의 우세 종으로는 lksookimia longicorpus(290개체, 12.3%), Oryzias latipes( 178개체, 7.5%), Chaenogobius urotaenia(177개체, 7.5%), Carassius auratus(163개체, 6.9%) 등이었으며, 희소종은 Coreoleuciscus splendidus, Silurus microdorsalis, Coreoperca kawamebari 등이었다. 한국 고유종은 C. splendidus, I. longicorpus, S. microdorsalis, Liobagrus mediadiposalis, Liobagrus mediadiposalis ssp.1, Odontobutis platycephala 등 6종으로 전체 어종수의 25.0%를 차지하였다. 군집구조 분석 결과 종다양도는 연초천이 가장 높은 2.21이었으며, 우점도는 외포천과 아주천이 1.00으로 높게 나타났고, 균등도는 외포천이 0.87로 가장 높았다. Aa형의 하천이 대부분인 관계로 상, 중, 하류의 구분없이 중 상류성 어종이 우세하였으며, 서식 어종수는 하천의 유로가 길고 유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거제도의 북동부에는 L. mediadiposalis, 서남부에는 L. mediadiposalis ssp.1이 서식하는 분리 분포상을 나타내었으며 이와같은 Liobagrus 속 어류의 분포양상의 중요성을 고지리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 PDF

태백산 일대 계류의 어류상 (Fishfauna of the Taebaeksan Area Streams)

  • 심재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1-407
    • /
    • 2002
  • 태백산 일대 주변 계류의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강수계에서는 3목 4과 8종이 채집 또는 확인되었는데 이중 버들치(R. oxycephalus)는 각 지점별 출현도와 개체수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고유 어종은 금강모치(R. kumgangensis)와 미유기(s. microdorsalis)의 2종이었다. 열목어(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는 동남천의 상지류인 정암사 계곡의 일부에서 서식하고 있었다. 낙동강수계에서는 4목 7과 74종이 채집 또는 확인되었다. 출현도와 개체수에서 버들치(R. oxycephalus)가 우점이고 갈겨니(Z. temmincki)가 차우점이었다. 고유어종은 8종으로 57.1%의 점유율을 차지하였다. 천연기념물이며 특정보호야생동물로 지정된 열목어(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는 백천계곡과 현동천 상류의 계곡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cology of Fishes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Namgang Dam Reservoir, Korea

  • Lim, Dohun;Lee, Yoonji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81-590
    • /
    • 2018
  • Objective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Namgang Dam reservoir and assess the reservoir's ecological quality. Methods: Fish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seasonally sampled around the Namgang Dam reservoir from October 2013 to September 2014. Results: A total of 970 fish specimens were collected for this survey, including 4 orders, 14 families, and 25 species. Fourteen endemic species were observed, including Coreoleuciscus splendidus. The most observed among the endemic species caught was Zacco koreanus (14.4%). A total of 9,093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cluding 51 families and 92 species, were also found. The predominant species in the study area was Chironomidae sp. 1. Diplonychus esakii, whose habitat is distribution-specific as designated by the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were also observed. A total of 386 specimens were collected of the invasive alien species Lepomis macrochirus, and the percentage of Lepomis macrochirus and Micropterus salmoides made up 42.0% of all specimens collected in the area. Conclusion: The mean ecological score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ESB) ranged between 24 and 40, which indicates that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target sites is somewhat po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building habitat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should be considered, and extermination plans for invasive alien fish species should be prepared.

Microhabitat Characteristics Determine Fish Community Structure in a Small Stream (Yudeung Stream, South Korea)

  • Choi, Jong-Yun;Kim, Seong-Ki;Kim, Jeong-Cheol;Lee, Hyeon-Jeong;Kwon, Hyo-Jeong;Yun, Jong-Hak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1호
    • /
    • pp.53-61
    • /
    • 2021
  • Distribution of fish community depends largely on environmental disturbance such as habitat chang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mpa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and microhabitat patch types on fish distribution in Yudeung Stream at 15 sites between early May and late June 2019. We use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to examin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fish in each site. Gnathopogon strigat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Zacco koreanus, and Zacco platypus were associated with riffle and boulder areas, whereas Iksookimia koreensis, Acheilognathus koreensis, Coreoleuciscus splendidus, 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and Odontobutis interrupta were associated with large shallow areas. In contrast, Cyprinus carpio, Carassius auratus, Lepomis macrochirus, and Micropterus salmoides were found at downstream sites associated with large pool areas, sandy/clay-bottomed areas, and vegetated area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microhabitat patch types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fish communities, since a mosaic of different microhabitats supports diverse fish species. As such, microhabitat patches are key components of freshwater stream ecosystem heterogeneity, and a suitable patch composition in stream construction or restoration schemes will support ecologically healthy food webs.

가평천 상류역 어류군집의 장기변동 (Long-Term Variation of the Fish Community in the Upper Region of the Gapyeong Stream, Korea)

  • 윤석진;최준길;이황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32-441
    • /
    • 2014
  • 2005년 4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가평천 상류역 어류군집의 장기적인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종은 총 6과 17종 이었으며, 우점종은 Zacco koreanus(상대풍부도 59.9%), 아우점종은 Pungtungia herzi(8.5%)이었다. 한국고유종은 Coreoleuciscus splendidus외 12종으로 확인되었다. 법적보호종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Pseudopungtungia tenuicorpa와 Gobiobotia brevibarba 등 2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천연기념물은 Hemibarbus mylodon 1종이었다. 가평천의 수질등급은 최근 9년간 환경부 기준고시에 의거할 때 '매우좋음' 등급을 유지하고 있었다. 육식어종인 Coreoperca herzi의 개체수는 감소하고, 잡식어종인 Zacco platypus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0.58~0.86, 다양도지수는 0.94~1.77, 풍부도지수는 0.99~2.39의 범위로 나타났다. Rarefaction curve를 이용하여 연도별 기대 출현종수를 분석한 결과 151개체의 표본에서 예상되는 종은 최대 12종(2005), 최소 5종(2007)으로 나타났다. 가평천 상류역의 Z. koreanus 개체군을 대상으로 전장-체중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회귀계수 b값은 연평균 $3.29{\pm}1.11$, 비만도는 $0.0034{\pm}0.0021$로 안정적인 개체군과 양호한 생육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초강천에서 어류의 최적 생태유량 산정 (Estimation of Optimal Ecological Flowrate of Fish in Chogang Stream)

  • 허준욱;김대희;강형식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권1호
    • /
    • pp.39-48
    • /
    • 2014
  • 하천복원과 환경유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금강수계의 초강천에서 생물학적 건강성 및 최적 생태유량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출현한 어종은 총 9과 36종 4,669개체였으며, 잉어과가 66.7%(24종)로 가장 높았다. 참갈겨니가 1,588개체로 34.0%로 우점종이었으며, 아우점종은 피라미로 22.6%, 우세종은 쉬리 13.3%로 나타났다. IBI와 QHEI는 상류로부터 하류로 내려갈수록 값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BI 값은 27.9~38.6으로 평균 32.2로 양호상태를 나타냈다. 참갈겨니, 쉬리 및 감돌고기에 대하여 서식도적합도지수(HSI) 및 최적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참갈겨니의 경우, 유속과 수심의 HSI 값은 각각 0.1~0.4 m/s와 0.2~0.4 m 였다. 감돌고기는 유속이 0.2~0.5 m/s, 수심이 0.4~0.6 m 및 하상재료가 가는자갈~호박돌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하여 각 지점의 최적 생태유량은 하류로 내려갈수록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서 WUA 값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경강 유역에 있어서 간흡충증의 역학적 조사 (Epidemiological Studios of Clonorchis sinensis in Mangyeong Riverside Areas in Korea)

  • 이재구;백병걸이상복고홍범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57-166
    • /
    • 1983
  • In an attempt to clarify the epidemiological feature of C. sinensis in Mangyeong riverside area, the prevalence of clonorchiasis, infestation rate of the cercariae in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nd detection rate of the metacercariae in fresh-water fishes were investigated from March 1 to September 30, 1983 at the upper,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river.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Detection rate of C. sinensis egg among inhabitants was 8.2% out of a total of 1,266 personsr, but the differences in detection rat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upper, middle and lower reaches. According to sect, the detection rates were 10.3% in male and 6.1% in female (p<0.05), but by age groups, increases of the rates were observed as increase in age (p<0.05). 2. Out of a total of 380 fresh-water fishes of 32 different species, 93 fishes (25%) of 12 species were found positive with Clonorchis metacercariae,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infection rates of the metacercariae among the fishes in 3 parts of the river; 11% in upper, 35% in middle, and 34% in lower reaches respectively. The metacercarial detection rates from various fishes were 97% in Pseudorasbora larva, Cultriculus eigenmanni (85%) , Gnathepogon strigatus (67%), Microphysogobio yaluensis (50%), Gnathopogon coreanus (47%), Pungtungia hergi (44%), Abbotting riwularis (40%), Moroco oxycephalus (33%), Coreoleuciscus splendidus (32%), Gnathepogon majimap (26%), Rhodeus ocellatus (7%), and Aphyocypris chinensis (3%) respectively. 3. Although very few p. manchouricus were collected at upper reach, 12 snails (0.7%) among a total of 1,713 were found infected with Clonorchis cercariae. Also the cercariae of Echinochasmup iapenicus (7.99%), Lexogenes liberum (0.99%), Cyathocotyle orientalis (0.75%), Esorchis oviformis (0.23%) and Asymphylodora japonica (0.05%) were detected from the snails.

  • PDF

섬진강 중.상류 수계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Mid-Upper Region of the Seomjin River)

  • 장성현;류희성;이정호
    • 생태와환경
    • /
    • 제42권3호
    • /
    • pp.394-403
    • /
    • 2009
  • 본 연구는 섬진강 중 상류 수계의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밝히기 위하여 2008년 8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총 15개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1과 42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이 중 잉어과(Cyprinidae) 어류가 28종이 채집되어 66.7%의 상대풍부도로 우점하였다. 총 42종의 어종 중 일차담수어는 40종, 주연성 담수어는 2종으로 일차담수어의 구성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22.3%), 아우점종은 꺽지 (Coreoperca herzi: 10.8%)이었으며,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9.0%)와 붕어 (Carassius auratus: 5.8%) 등도 높은 서식을 보였다. 한국고유종은 각시붕어(Rhodeus ocellatus)와 칼납자루(Acheilgnathus koreensis) 등 17종(40.5%)으로 고유종의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이 중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종인 임실납자루(Acheilgnathus somjinensis)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섬진강 중 상류 수계는 어류가 서식하기에 매우 적합한 수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