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allococcu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Corallococcus와 Myxococcus 속 점액세균 균주들에 의한 항균 물질의 생산 (Produc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s by Strains of Myxobacteria Corallococcus and Myxococcus)

  • 신혜진;윤진권;안동주;조경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4-51
    • /
    • 2013
  • 국내 토양시료에서 분리한 174 Corallococcus 속 균주와 207 Myxococcus 속 균주들의 배양추출물을 제조하고 Candida albicans,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비교하였다. 항진균 활성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은 Corallococcus가 7.5%(174균주 중 13균주)로 51.7%(207균주 중 107균주)를 보인 Myxococcus에 비해 낮았다. 하지만, 항세균 활성을 보인 균주의 비율은 Corallococcus가 12.1%(21균주)로 1%(2균주)를 보인 Myxococcus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Corallococcus 균주 중 P. aeruginosa, S. aureus에 모두 활성을 보이는 6 C. coralloides 균주들은 자실체 형성에서는 차이를 보였지만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는 배양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은 유사하였는데, 이들이 생산하는 항세균 물질의 생산은 CYS 배지에서 6일 이상 배양할 때 가장 높았다.

DMSO와 Glycerol 처리에 따른 점액세균의 글리세롤포자 형성능 조사 (Glycerol-Spore Formation of Myxobacteria in the Presence of DMSO and Glycerol)

  • 장은혜;김도희;김진우;조경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35-337
    • /
    • 2006
  • Glycerol-spore formation of wild myxobacteria isolated in Korea has been tested. One third of the wild myxobacterial isolates belonged to the genus Myxococcus and Corallococcus produced a large number of glycerol-spores in the presence of glycerol or dimethyl sulfoxide. However, two third of the other wild myxobacterial isolates belonged to the genus Myxococcus and Corallococcus produced a negligible number of spores under the same condition. In addition, the myxobacteral isolates belonged to the other genus, such as Stigmatella, Archangium, and Cystobacter, failed to produce a noticeable number of glycerol-spores.

고추탄저균 성장 억제 점액세균의 탐색 (Screening of Myxobacteria Inhibiting the Growth of Collectotrichum acutatum Causing Anthracnose on Pepper)

  • 정진우;이차율;윤성철;조경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1-27
    • /
    • 2008
  • 고추탄저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미생물을 얻기 위하여 고추탄저균 C. acutatum ACYSJ001의 성장을 억제하는 점액세균을 탐색하였다. Myxococcus속에 속하는 59균주와 Corallococcus 속에 속하는 34균주 등 총 93균주의 용균성 점액세균에 대해 고추탄저균인 C. acutatum ACYSJ001에 대한 성장 억제 활성을 조사한 결과, Corollococcus속에 속하는 대부분의 점액세균들이 C. acutatum ACYSJ001의 성장을 저해하지 않는 반면, Myxococcus속으로 동정된 10균주들은 C. acutatum ACYSJ001의 성장을 강하게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Myxococcus속에 속하는 여러 점액세균들이 고추탄저병을 억제하는 미생물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새로운 항진균물질 탐색을 위한 좋은 생물연구소재임을 보여주었다.

용균성 야생 점액세균의 분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lytic Wild Myxobacteria)

  • 박수연;이봉수;김지훈;이차율;장은혜;조경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8-223
    • /
    • 2004
  • 용균성 야생 점액세균 204균주를 국내 토양으로부터 순수분리하였고, 분리균주의 16S rRNA 부분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Ribosomal Database Project(RDP) II를 이용하여 분리균주 각각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전체 분리균주의 65%를 차지하는 132 균주들이 Myxococcus 속에 속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29%를 차지하는 59 균주들이 Corallococcus 속, 4 균주가 Archangium 속, 그리고 4 균주가 Stigmatella 속에 속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5 균주는 알려진 균주와의 유연관계가 멀어 분류가 확실하지 않았다. 한편, 16S rRNA염기서열의 비교분석은 분리균주의 50%가 16S rRNA부분 염기서열상에 적어도 한 염기 이상의 차이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동일한 염기서열을 지니는 것으로 분석된 균주에서도 서로 다른 집락모서리를 형성하는 등 다른 균주로 판명되는 것으로 보아 전체 분리균주는 다양성이 81% 이상인 다양한 균주들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Effects of Myxococcus fulvus KYC4048 Metabolites on Breast Cancer Cell Death

  • Lee, Chayul;Park, Sanghyun;Ayush, Ikhbayar;Cho, Kyungyun;Kim, Sung Soo;Kang, Insug;Choe, Wonchae;Kim, Yoon-Seong;Yoon, Kyung-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5호
    • /
    • pp.765-775
    • /
    • 2018
  • Using MCF7 breast cancer cells, we tested the anticancer activity of metabolites from 130 strains of myxobacteria newly isolated in South Korea. Of these, three strains whose metabolites had high anticancer activity and low cell toxicity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by their fruiting body morphology, cell morphology, and 16S rRNA sequence. Strains KYC4030 and KYC4048 were determined to be Myxococcus fulvus, whereas strain KYC4081 was identified as Corallococcus coralloides. We found that metabolites of M. fulvus KYC4048 demonstrated no toxicity in normal cells but specifically induced cancer cell death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WNT2B. This discovery highlights the value of assessing the metabolic and biomedical potential of myxobacteria, even those that are already known but were isolated from new areas, and the possible use of metabolites from M. fulvus KYC4048 in cancer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