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yrights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7초

멀티미디어환경에서 저작권법의 과제 (Understanding Copyrights in Multimedia)

  • 김민중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9-70
    • /
    • 2001
  • 멀티미디어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타인의 저작물에 대한 이용의 기대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저작권이나 저작권법과의 충돌이나 접촉의 잠재적 가능성이 증대하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환경에서는 종래와 비교하여 저작물의 복제가 용이하고, 복제물의 품질이 뛰어나며, 저작물의 자유로운 변경이 용이하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환경에서의 저작물은 복합된 저작물이 많고, 인터랙티브한 저작물로서 전통적인 저작물의 특성으로부터 이탈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다른 한편, 정보에의 자유로운 접근이라고 하는 멀티미디어의 특성에 의하여 타인의 저작물의 자유로운 이용이라고 하는 과제를 해결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결국 종래의 저작전법의 멀티미디어환경에서의 적응을 위하여는 새로운 변화가 요구되며,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많다고 본다.

  • PDF

뮤직비디오 『유혹의 소나타』사건을 통해 본 애니메이션 표절 사례 분석 (A Case Study of Animation Plagiarism through the Case of Music Video "Sonata of Temptation")

  • 장연이;김희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44-154
    • /
    • 2011
  • 영상저작물이 우리에게 익숙해진 만큼 영상저작물의 침해도 증가하고 있다. 영상저작물은 인터넷을 통해 늘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은 영상물의 장르나 국경을 손쉽게 넘나들며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뮤직비디오 "유혹의 소나타"가 일본 애니메이션 "파이널 판타지7"의 저작권을 침해한 사건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두 작품을 비교.분석해 보면 상당 부분에서 유사점이 발견되고, 심지어 뮤직비디오 "유혹의 소나타"에서 가수가 노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새로운 장면이 없다고 표현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이런 상황은 개인에게도 불명예일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일 수밖에 없으므로, 무의식적으로라도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철저한 대비를 하여야 한다.

학부 이수교과목 분석을 통한 현장 사서의 계속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Continuing Educational Program for Librarians - Based on Analysis of University Credits)

  • 안인자;노영희;최상기;김혜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7-5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프로그램 교과내용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헌정보학과 졸업자가 학부에서 이수한 교과목 분석을 통하여 선행된 교육 이수 내역을 조사하였고, 국립중앙도서관의 계속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사서들의 교육 수요조사를 조사하였다. 외국의 계속교육프로그램으로는 ALA, SLA를 비교분석하였다. 새로이 개설되는 신규교과목 경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문헌정보학 주제분야별로 교육내용을 제시하였다. 제안되는 교과내용은 전자출판과 저작권, 도서관미래, 톡소노미 및 통제어휘, 특허정보, 과학정보리터러시, 오픈억세스프로그램, 도서관가치인식, 라이센스 이슈, 고객응대 등이다.

안드로이드 콘텐츠 저작권 침해 방지를 위한 서버 기반 리소스 난독화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rver-based Resource Obfuscation Techniques for Preventing Copyrights Infringement to Android Contents)

  • 박희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3-20
    • /
    • 2016
  • 소프트웨어는 대부분 바이너리 파일 포맷으로 배포되기 때문에 역공학 분석이 쉽지 않다. 그러나 안드로이드는 자바를 기반으로 하며 가상머신 위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안드로이드 역시 자바와 유사하게 역공학 도구에 의해서 쉽게 분석될 수 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난독화 기법이 제안되었다. 안드로이드 환경에서는 안드로이드 SDK에 포함되어 배포되는 난독화 도구인 프로가드(Proguard)가 가장 널리 사용된다. 프로가드는 자바 소스 코드를 역공학 분석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 사운드,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리소스를 보호하는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앱의 리소스를 보호할 수 있는 리소스 난독화 기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리소스 난독화 기법을 적용하면 효과적으로 리소스 도용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 콘텐츠 유통 인프라 개발을 위한 로드맵 (A Roadmap for Developing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Infrastructure)

  • 이상원;박승범;임규건;백승익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75-86
    • /
    • 2009
  • Unlike physical products, th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has involved many participants in all distribution phases from providers to consumers. The longer the distribution channel for services is, or the more participants that take part in it, the more the added value of the content increases. Consequently, the customer usefulness has been maximized. In order to enhance the values of digital content, it is utterly urgent to implement a service infrastructure that could be shared by all participants along the distribution path. Digital content is distributed from a creator to a final user through complex value chain stages. All the participants along the value chain exchange information about copyrights, marketing, and contents themselves, through the distribution channel. Recently, the more the distributed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has been widely used, the more the necessity of an identifier for digital content has been increased.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distribution market of digital content, identify necessary distribution services of digital content, and establish a systematic roadmap to implement these services.

주파수 영역에서의 최적의 워터마크 삽입영역 선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Region for Digital Watermarking in the Frequency Domain)

  • 오재호;김선형;임해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9B권4호
    • /
    • pp.459-46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해서 웨이블릿 변환에 기초한 디지털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미지의 중요한 성분인 저주파 성분을 비롯한 각 대역의 가능한 모든 위치에 다양한 가중치와 임계값을 적용하는 워터마크 삽입방법을 통하여 손실압축, 고의적인 영상의 변형 등 각종 공격에 대하여 상반관계에 있는 비가시성과 강인성을 만족하는 워터마크 양에 대한 적정선과 삽입대역을 찾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이 적정한 워터마크 삽입영역과 적절한 워터마크양을 찾을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게임콘텐츠 메타데이터 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a Game Contents Metadata Model)

  • 윤선정;윤태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73-82
    • /
    • 2009
  • 국내 외 많은 기관들이 각 분야의 자원 보호와 관리를 위해 메타데이터를 개발하고 있다. 게임 콘텐츠의 재활용, 저작권 보호, 라이프사이클 관리, 검색 등의 효율성을 지원하기 위해 게임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 방법은 세계적인 메타데이터 표준안들을 분석하고 게임의 특성 정보를 조사하여 매핑, 재정의, 추가 등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개발된 모델은 13개의 필수요소, 15개의 선택요소로 구성되며 XML에 의해 표현된다. 전문가 집단의 설문조사를 통해 개발 효과를 검증하고 표준 모델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개발의 의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성장일변도의 게임 산업의 안정적인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PDF

디지털 이미지의 저작권 보호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pyright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 송호진;정의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03-308
    • /
    • 2018
  • 디지털 이미지의 저작권에서 저작권자는 본인의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고, 저작권법의 정확한 이해를 통한 개선 방안이 필요하며, 또한 저작권의 개념 정립을 기반으로 한 저작권자의 권리와 이용자들의 권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우선, 연구의 범위를 동일성 범위의 인정에 대한 사례와 디지털 이미지의 저작권법에 관한 판례를 중심으로 하여, 이용자의 용도에 적합한 이미지 저작권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 저작물의 등록 절차와 이미지 저작물의 활용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 홈 환경에서 상이한 방송콘텐츠 보호기술간 권리제어정보의 호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operable Rights Control Information between Heterogeneous Broadcasting DRM Schemes in Digital Home Domain)

  • 강호갑;조성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81-93
    • /
    • 2008
  •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보호기술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방송 산업계에서도 CAS, DRM 등 다양한 콘텐츠 보호기술들의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강력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내장한 다양한 가전기기들이 디지털 홈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상호간 콘텐츠의 공유가 가능해짐에 따라 콘텐츠 보호기술간 상호호환성 요구도 크게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은 MPEG-21 REL을 이용하여 방송콘텐츠의 다양한 저작권 보호기술간 권리제어정보의 매핑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권리제어정보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소개하였다.

  • PDF

콘텐츠 유통 프레임워크와 UCI 응용 프로세스 (Content Distribution Framework and UCI Application Process)

  • 조광문;이성훈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7-632
    • /
    • 2005
  • 무선 환경에서의 온라인 유통 과정은 기존의 오프라인이나 유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요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더구나 디지털 저작물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쉽고 빠르게 불법 복제되고 전파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과 관련된 당사자들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유통 프레임워크인 MPEC-21에 기반한 무선 환경에서의 콘텐츠 유통 프레임워크와 UCI(Universal Content Identifier)를 적용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이 모델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어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온라인 유통에 있어서 거래 당사자들 사이의 상호 권리 침해 방지를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