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tis japonica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41초

생약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활성 검색 (Screening of th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from Medicinal Plants)

  • 이봉호;유건식;이은석;강기정;황도연;홍남두;최병욱
    • 생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67-173
    • /
    • 1997
  • We have tested 101 species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on Acetylcholinester ase inhibition. Among them. Caesalpina sappan. Cnidium offcinale, Coptis japonica, Ephedra sinica, Eribotrya japonica, Gardenia jasminoides, Liriope platyphylla, Lonicera japonica, Paeonia suffruticosa, Phyllostachys nigra, Polygonum multiflorum, Prunella vulgaris, Rheum undulatum, Salvia miltiorrhiza and Uncaria rhynchophylla showed strong inhibition potency over 88%. In addition, Aconitum carmichaeli, Caesalphina sappan, Cinnamomun japonica, Citrus unshiu, Hordeum vulgare, Glycine max and Rehmannia glutinosa showed relatively good inhibition potency over 80%.

  • PDF

생채 유해균주 제어를 위한 천연산물의 탐색

  • 김종덕;김민용;신태선;김대현;공재열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737-740
    • /
    • 2000
  • Two groups of bacteria, harmful and useful bacteria, coexist in our body. Harmful bacteria and free radicals which cause many diseases and agings could be controlled by not synthetic materials but natural products. 50 kinds of natural products were searched for this purpose, some of them expressed bacterial controlling ability. Clostridium difficle was controlled by Paeonia Japonica and Lycii Fructus, etc., Clostridium perfringens was inhibited by Scutellaria Baicalensis and Astragali Radix, etc., and same way, Listeria monocytogenes; Paeonia Japonica and Scutellaria Baicalensis, E. coli; Scutellaria Baicalensis and Schizandrae Fructus, Staphylococcus aureus; Paeonla Japonica and Scutellaria Baicalensis, Streptococcus mutans; Coptis Rhizoma, respectively. These natural product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bio-Industry.

  • PDF

지모, 일황련 및 황백나무 추출액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Coptis japonica and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against Phytophthora Blight)

  • 도은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51-359
    • /
    • 1997
  • 3가지의 식물체 추출액을 공시하여 P. capsici에 대한 항균 활성 검정, 고추 역병에 대한 방제효과 및 고추에 미치는 약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가지 식물체 물 추출액 중에서 일황련 추출애기 균새장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났으며, 2배의 희석농도에서 70% 이상의 억제 효과가 있었고, methanol 추출액의 경우 1,000배 이상의 희석농도에서도 74.4%의 억제 효과가 있었다. 지모 및 일황련 추출액의 2개 희석농도와 황백나무의 추출원액 처리에 의해 P.capsici의 유주자낭의 발아는 완전히 억제되었다. 2. Methanol에 의한 추출액이 상온에서 물에 의해 추출하거나, 끓여서 추출한 액보다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3. 세 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고추 역병균에 대한 항균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세 가지 추출액 모두 고추 역병에 대해서 방제효과가 있었고, 그 중 일황련 추출액이 가자 효과적이며 황백나무 및 지모의 순이었다. 5. 수경 재배형식의 유모검정에서는 고추묘에 약해가 있었으나, pot시험에서는 약해가 없었다. 또한 고추 종자에 추출액을 처리했을 때 발아가 저해되거나 유근의 신장이 억제되는 등 약해가 유발되어쓰나, 고추 잎과 고추 과실에 추출애글 엽면살포 하였을 때에는 아무런 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국내 자생 향장식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Korea Endemic Herb Plants)

  • 차재영;하세은;심선미;박종군;정연옥;김현중;박노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8-233
    • /
    • 2008
  • 본 연구는 60여 종의 자생 향장식물 및 한약재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페녹시에탄올을 처리한 군에서의 저해존의 크기에 대한 실험군의 상대적 비율을 분석한 결과 P. aeruginosa 에 대해서는 단삼과 황련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단삼의 경우 97%, 황련의 경우 84% 에 해당하였으며 그 외에도 작약, 스테비아, 때죽나무, 후리지아, 생강나무, 뽕나무, 오배자, 지유, 황금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다. S. aureus에 대해서는 오배자, 황련, 단삼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오배자의 경우 78%, 황련의 경우 99%, 단삼의 경우 92%에 해당하였다. 또한 작약, 찔레, 스테비아, 창포, 후리지아, 오디, 생강나무, 구절초, 고삼, 관중, 지유, 황금, 은행나무, 소나무, 인동초, 이나무에서 항균력을 나타냈다. C. albicans에 대해서는 황금의 경우 35%, 황련의 경우 33%의 항균 활성을 보였다. M. furfur에 대해서는 오배자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는데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57%에 해당하였으며 그 외에도 작약, 찔레, 황련, 진피, 목단피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다. P. acnes 에 대해서는 황련, 단삼, 오배자, 작약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황련과 단삼의 경우 99%, 오배자의 경우 87%에 해당하였으며, 작약의 경우 꽃에서 추출한 경우 89%, 줄기에서 추출한 경우 35%, 뿌리에서 추출한 경우 22%에 해당하였다. 또한 찔레, 스테비아, 창포, 오디, 오이, 은방울꽃, 생강나무, 구절초, 고삼, 관중, 지유, 후박에서도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지리산 자생식물 중에서는 작약, 찔레, 생강나무, 구절초, 소나무에서, 한약재 중에서는 황련, 오배자, 지유, 단삼, 황금에서 강한 항균력을 보였고, 관련되는 성분과 가능한 작용 방식을 논의하였다.

Prepar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berberine and its characterization

  • Kim, Jun-Sik;Tanaka, Hiroyuki;Shoyama, Yukihiro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70.1-270.1
    • /
    • 2003
  • Enzyme-linked immunoassay system using monoclonal antibody (MAb) has become an important methodology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drugs and phytochemical compounds having small molecular weight. In this study,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berberine, one of main constituent of Phellodendron amurense, Coptis japonica and Corydalis turtschaninovii, were produced. (omitted)

  • PDF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살충력 평가 (Evaluation of Insecticid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Plutellidae) on Vegetable Plant)

  • 최이진;권혁현;이한호;손형기;홍상길;강종운;박유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5
    • /
    • 2013
  • 본 연구는 살충효과가 알려진 식물체들 중 8종을 공시하여 배추좀나방에 대하여 살충효과의 여부를 검정하고 친환경 유기농산물 재배에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식물 추출물 $1500mg{\cdot}L^{-1}$에서 48시간 후의 배추좀나방 살충율은 고추씨 추출물이 83.3%로 가장 높았다. 생물검정을 해서 배추좀나방 방제효과가 있는 고추씨, 애기똥풀, 익모초, 박하, 황련 식물추출물 5종을 선발하였다. 선발한 식물체 5종의 약해 검정 결과 열무와 엇갈이배추의 발아, 유아, 유엽의 생장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온실 안에서 pot에 식물추출물을 처리하여 조사하였는데 열무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73.3%의 방제가를 보였고, 고추씨 추출물도 70%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엇갈이배추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70%, 고추씨 추출물을 처리할 때 방제가가 66.7%이었다. 포장에서 선발한 식물추출물의 효과를 피해 엽률로 조사한 결과, 열무는 고추씨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방제가가 62.4%로 나타났다. 엇갈이배추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64.6% 방제가를 보였다. 식물추출물을 12회를 처리 한 후 수확 전에 조사한 결과 열무는 황련추출물 및 고추씨추출물은 방제가가 87.4%, 83.7%였고, 엇갈이배추는 방제가가 황련추출물이 74.3%, 애기똥풀 추출물이 69.3%를 나타냈다.

한약재로부터 L1210 세포 생장 억제물질의 검색 (Primary Screening for Growth Inhibitors of L1210 Cells from Oriental Herbs.)

  • Ryu, S.H.;Moon, K.H.;Pack, M.Y.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3-58
    • /
    • 1982
  • 천연물 가운데서 항암물질을 얻을 목적으로 동양에서 오랫동안 암이나 암에 비슷한 질병의 치료에 씌여온 한약재를 물이나 유기용매로서 추출하여 검색하였다. Fischer배지에 자라는 L1210 세포에 추출물을 첨가한 다음 48시간 후에 세포수를 헤아려 생장을 50% 억제할 수 있는 추출물의 농도를 나타내는 ED$_{50}$값을 측정하였다. 물로서 추출한 38종의 한약재 가운데서 6종이 낮은 ED$_{50}$값을 나타냈다. 이들을 다시 유기용매로서 추출하므로써 ED$_{50}$값이 더욱 떨어져 NCI의 품질관리범위 치역내에 들어갔다. 항암제원으로 유망시되는 한약재로서 Cinnamomum cassia, Citrus trifoliata, Coptis japonica, Panax ginseng, Phellodendron amurense, Scutellaria baikalensis를 들 수가 있다.

  • PDF

한약재 열수 추출물의 변이원 및 항변이원 활성의 검색 (Screening of the Mutagenicity and Antimutagenicity of the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 정주은;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344-350
    • /
    • 1999
  • 130종의 식물성 한약재에서 제조한 열수 추출물의 변이원성, 항변이원성 및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세포내재성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을 지표로 한약재가 지시세포인 E. coli PQ37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연교(Forsythia koreana Nakai)를 포함한 14종류의 시료자체에서 세포독성이 강하게 나타난 반면, 속단(Phlomis umbrosa Turcz.)등 22종의 시료에서는 세포성장을 촉진하는 활성이 나타났다. SOS chromotest기법을 이용하여 한약재가 가지는 변이원성 및 항변이원성을 조사한 결과, 연교(Forsythia koreana Nakai)와 황련(Coptis japonica Nakai)을 포함한 36종의 시료에서 돌연변이를 유발시키는 능력이 나타난 반면,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를 포함한 12종의 한약재에서 뚜렷한 항변이원 활성이 검정되었다.

  • PDF

Inhibitory Effect of Oriental Herbal Medicines on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 Cho, Jae-Youl;Park, Ji-Soo;Kim, Pyung-Su;Chae, Sook-Hee;Yoo, Eun-Sook;Baik, Kyong-Up;Lee, Jong-Soo;Park, Myung-Hwa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12-19
    • /
    • 1999
  • Eleven out of 118 herbal medicine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Korean traditional prescriptions for inflammatory diseases exhibited more than 50% of inhibition on $TNF-{\alpha}$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by their total ethanol extracts with 0.1 mg/ml as a final concentration. The active 11 total extracts were prepared from Angelica koreana, Coptis japonica, Cynanchum paniculatum, Magnolia frgesii, Magnolia officinalis, Panax ginseng, Patrinia scabiosaefolia, Pterocarpus santalius, Rhapontica uniflora, Saussurea lappa. Of them, Coptis japonica, Magnolia fargesii and Saussurea lappa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TNF-{\alpha}$ production in vivo. These total extracts were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Among the solvent-fractionated extracts with 0.05 mg/ml as a final concentration, inhibitory effects of Angelica koreana, Magnolia fargesii, Magnolia officinalis, Pterocarpus santalinus, Rhapontica uniflora and Saussurea lappa markedly showed in one or two solvent fractions suggesting that the principles may be concentrated by subfractionation as the main compoun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