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epods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28초

Resting Eggs of Copepods in the Intertidal Sediments of Gomso Bay, the West Coast of Korea

  • Jo, Soo-G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7권3호
    • /
    • pp.108-115
    • /
    • 2002
  •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resting eggs at the intertidal zone, Gomso Bay, samples were taken from the top of the sediments to 10 cm depth at four sites using a cylindrical corer in February, 1997. Additional samples were also taken from one station at subtidal zone to compare the distributions between the inter- and subtidal zones. The resting eggs of few copepods, Acartia pacifica, Centropages abdominalis, Calanopia thompsoni, and Tortanus forcipatus were studied. Mostly, the abundance of the resting eggs in the lower intertidal zone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upper intertidal zone,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subtidal zone. The abundance of the resting eggs in the intertidal sediments was related with the grain-size and moisture content of sediments. Intertidal sediments are potential egg banks like subtidal sediments.

해초류에 공생하는 한국산 요각류 2종 (Two Species of Notodelphyid Copepods(Cyclopoida) Associated with Ascidians in Korea)

  • In-Soon Seo;Boon-Ju Rh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2호
    • /
    • pp.105-116
    • /
    • 1998
  • 이화여자대학교 생물과학과에 보관중인 해초류(피낭류)로부터 요각류 2 미기록종이 발견되어 재기재하였다. 이 중에서 Doroixys uncinata Kerschner, 1879는 만두멍게과에 속하는 군체멍게인 미끈만두멍게[Aplidium glabrum(verrill,1871)]의 test로부터 발견되었고, Doropygus rigidus Ooishi, 1962는 미더덕과에 속하는 단체멍에인 유두멍게[Cnemidocarpa irene(Hartmeyer, 1906)]와 세줄미더덕(Styela tokiokai Nishikawa, 1991)의 새낭에서 발견되었다.

  • PDF

Food Organisms of Juveniles of Chasmichthys dolichognaths Inhabited at Intertidal Zone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 Kim, Jong-Yeo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65-566
    • /
    • 2001
  • To investigate the food organisms of the Chasmichthys dolichognathus during the juveniles stage, the stomach contents of fish, captured in the intertidal zone of Chungchongnam-do Sochon-gun Su-myon Dodun-ri between on early June from end of May 1998, were observed. Total length of the juveniles of C. dolichognathus was 6.5mm ∼10.0mm size,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feeding was 67.7%. Main food organisms were such as copepods, amphipods, shrimp larvae, polychaete larvae, and these occupied more than dry weight 2%. Copepods among them dominated the most quantitys by avergage 65.5%, and next, food organismsms appeared much by order of polychaete larvae and shrimp larvae etc. Therefore, most important food organisms of juvenile stage of C. dolichognathus were copepods, polychaete larvae, shrimp larvae etc.

  • PDF

영일만 쇄파대에 나타나는 부유성 요각류의 주야 수평이동 (Diel Horizontal Migration of Planktonic Copepods in the Surf Zone of Yongil Bay, Korea)

  • 서해립;유옥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27-536
    • /
    • 1996
  • 동물플랑크톤이 쇄파대에서 어떻게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는가를 연구하면서, 부유성 요각류 일곱 종의 주야 수평이동 양상을 조사하여 비교했다. 동해 영일만 쇄파대에서 수심 1m 되는 곳의 표층과 저층과 해변가 세 곳을 썰매형 네트로 채집했다(총시료수=108개). 쇄파대 요각류 집단은 일곱 종 (Acartia hudsonica, Fseudodiaptomus marinu, Paracalanus indicus, Calanus sinicus, Oithena similis, Sinocalanus tenellus, Labidocera bipinnata)이 우점했다. 쇄파대 요각류의 주${\cdot}$야간 생물량 차는 약 세 배였다. 표층에서 채집한 전체 요각류와 우점하는 일곱 종의 생물량은 주간보다 야간에 모두 유의하게 많았다. 하지만, 저층에서 주${\cdot}$야간 생물량의 차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쇄파대 요각류의 약 $90\%$가 주야 수평이동하는 것을 밝혔다. 조금때 바람이 육지에서 바다쪽으로 불었지만, 표층에서 야간에 요각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요각류가 해류에 따라 수동적으로 운반되지 않더라도 능동적으로 수평 방향을 유지하여 헤엄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인 듯하다. 요각류는 상대 조도의 변화에 따라 광반응 행동을 하고, 그래서 야간에 쇄파대에 모였다가 주간에 흩어지게 하는 주야 수평이동이 나타난 것 같다. 주야 수평이동은 요각류가 시각 포식자와 마주칠 기회를 줄일 것이다. A. hudsonica가 개체발생 단계별로 이동시각을 달리한 것은 발생단계에 따라 광반응 행동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인 듯하다. 결과적으로 이것이 먹이를 둘러싼 종내 경쟁을 줄일 것 같다. 요각류 이동 자료에서 A. hudsonica, P. indicus, O. similis, S. tenellus 네종은 한 시간 이상 유영속도를 $20m\;h^{-1}$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쇄파대에서 요각류가 차지하는 중요도를 바로 알려면, 주야 생물량이 매우 다르므로 주간과 야간 채집을 함께 해야 한다.

  • PDF

한국 남해 연안전선의 생물$\cdot$화학적 특성 및 영양역학 구조 (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rophodynamics in the Frontal Zone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 강영실;전경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2-29
    • /
    • 1999
  • 전선역의 생물$\cdot$화학적 특성 및 영양역학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한국 남해안의 전선대 해역과 비전선대 해역에서 수온, 영양염, chlorophyll a와 동물플랑크톤을 조사, 분석하였다. 영양염은 비전선대 해역이 전선대 해역에 비해 높았으나, chlorophyll a는 전선대 해역에서 높았다. 특히, 전선의 중심지에서도 성층과 비성층의 분기점이 되는 수심 20m층에서 chlorophyll a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전선의 중심지인 정점의 수심 20m층에서 영양염이 가장 낮았다. Chlorophyll a는 영양염과 모두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SiO_2^{-}-Si$와 가장 높은 음의 상관성을 보석, 전선대에서 영양염 농도가 낮은 것은 chlorophyll a생산에 사용되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은 전선대해역에서 비전선대해역 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특히 전선대 해역의 전선을 중심으로 한 연안에서 가장 높았다. 동물플랑크톤 중 copepods가 $90\%$ 내외의 높은 조성률을 보이나, 전선의 중심지에서 copepods는 약 $60\%$의 조성률을 보인반면 siphonophores와 euphausiids가 높은 조성률을 나타내었다. Copepods는 비전선대 해역에서는 chlorophyll a와 높은 상관성을 보인반면, 전선대 해역에서는 포식자인 siphonophores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copepods 출현량은 전선대 해역에서는 top-down조절을 받고 있으며, 비전선대 해역에서는 bottom-up조절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wo New Species of Siphonostomatoid Copepods (Crustacea) Associated with the Stoloniferan Coral Tubipora musica (Linnaeus) from Madagascar

  • Kim, Il-Hoi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3호
    • /
    • pp.187-196
    • /
    • 2004
  • Two new species of siphonostomatoid copepods, Asterocheres tubiporae n. sp. and Entomopsyllus stocki n. sp., associated with the stoloniferan coral Tubipora musica (Linnaeus) are described from Madagascar. Asterocheres tubiporae is characterized by the possession of a large posteroventral process on the caudal ramus and the elongated free segment of leg 5. Entomopsyllus stocki is readily distinguished from its congeners by the possession in the female of 15-segmented antennule and three spines plus two setae on the third exopodal segment of leg 4.

New Species of Copepods (Crustacea) Associated with Marine Invertebrates from the Pacific Coast of Panama

  • Kim, Il-Hoi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3호
    • /
    • pp.165-186
    • /
    • 2004
  • Five new species of copepods associated with marine invertebrates are described from shallow water of the Pacific coast of Panama. They are Pseudomacrochiron pocilloporae n. sp., Acontiophorus panamensis n. sp. and Asterocheres urabensis n. sp. associated with the scleractinian coral Pocillopora damicornis (Linnaeus), Asterocheres pilosus n. sp. associated with the echinoid Eucidaris thouarsii (Valenciennes), and Asterocheres walteri n. sp. associated with the sea star Oreaster brevispinis.

A Pictorial Key to the Freshwater Cyclopoid Copepods from Korea

  • Lee, Ji-Min;Jean, Jin-Mo;Chang, Cheon-Young
    • 환경생물
    • /
    • 제23권4호
    • /
    • pp.343-356
    • /
    • 2005
  • A pictorial key to total 46 species belonging to 15 genera of two subfamilies in the family Cyclopidae is provided as a result of the serial researches on the freshwater cyclopoid copepods in South Korea.

Study on the Copepod Ectoparasites of Sebastes melanops (Girard) and Sebastes crameri (Jordan) in Aquarium

  • Chun, Kae-Shik
    • 환경생물
    • /
    • 제21권4호
    • /
    • pp.366-367
    • /
    • 2003
  • Nineteen rockfishes representing two species in the family Scorpaenidae were collected from Oregon Coast Aquarium in July 2003 and examined for parasitic copepods. The parasitic copepods were taken from the gills of Sebastes crameri and fins of S. melanops. With regard to the prevalence of copepod 22.2% of the fishes were infected by C. uncinata, and 30.0% by N. robusta. Intensity of infections of Clavella uncinata to Sebastes melanops, showed a range of 4 to 6 with a mean of 5.0 per fish while Neobrachiella robusta to S. crameri was 1 to 6 with a mean of 2.7.

New Records on Three Harpacticoid Copepods Associated with Marine Macroalgae in Korea

  • Song Sung Joon;Yun Sung Gyu;Chang Cheon Yo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89-198
    • /
    • 1999
  • Three harpacticoid copepods, Dactylopodamphiascopsis latifolius (Sars, 1909), Diosaccus ezoensis Ito, 1974 and Ambunguipes rufocincta (Brady, 1880) are recorded as new to the Korean fauna with illustrations, on the basis of the specimens collected mainly from the marine macro algae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990 to September 199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