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l season gras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3초

고속도로 비탈면 녹화용 도입초종의 생육특성 분석 (Analysis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ed Species Revegetated on the Highway Cut-slopes)

  • 우보명;오구균;김봉년;조영채;전기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20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ne 1996 to November 1997 to analyz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ed species revegetated on highway cut-slopes. The number of revegetation measures type surveyed were fourteen such as seed-spraying measures, block-sod pitching measures, and hydro-seeding measures with seed-fertilizer-soil materials. The introduced species for revegetation measures were mostly Festuca arundinancea(cool season grass), Eragrostic curvula(warm season grass), Lolium perenne(cool season grass), Dactylis glomerata(cool season grass), Poa pratensia(cool season grass).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upper part on highway cut-slopes were greater than that of the middle part and lower part. The growth of introduced species was good on north-facing cut-slope than the others and that was flourish in temperate north forest zone. Also, the introduced species seemed to decrease or disappear, while the ratio of native woody and herb species which were in mature stage seemed to increase.

  • PDF

천연잔디, 인조잔디 및 맨땅 축구장에서 축구 경기력 비교 (Comparison of Play Ability of Soccer Fields with Natural Turfgrass, Artificial Turf and Bare Ground)

  • 이재필;박현철;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3-211
    • /
    • 2006
  • 본 연구는 천연잔디, 인조잔디 및 맨땅 축구장이 축구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천연잔디 축구장은 한지형 잔디(켄터키 블루그래스 80%+퍼레니얼 라이그래스 20%)와 중엽형 한국잔디로 조성된 축구장이며, 인조잔디 축구장은 코니그린 $DV5000^{TM}$으로 조성하였고 맨땅 축구장은 마사토로 조성되었다. 축구 경기력 분석을 위한 볼 구름거리(m)와 수직 볼리바운드(m)는 2005년과 2006년 건국대학교 스포츠과학타운에서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공은 한국축구협회(Korea Football Association)에서 공인된 Hummel Air Vision #1을 사용하였고 공기압은 1.0 1bs를 유지하였다. 볼 구름거리는 맨땅 축구장(13.6m) > 인조잔디 축구장(11.4m) > 한지형 잔디축구장(7.8m) > 한국잔디 축구장(4.7m) 순으로 길었다. 또한 볼 구름거리는 잔디의 사용빈도가 적을수록, 잔디의 직립정도가 강할수록, 잔디의 밀도가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수직 볼리바운드 역시 맨땅 축구장(1.0m) > 인조잔디 축구장(0.98m) > 한지형 잔디 축구장(0.68m) > 한국잔디축구장(0.4m) 순으로 높았다. 수직 볼 리바운드는 잔디의 사용빈도가 적을수록, 잔디의 직립정도가 강할수록, 잔디의 밀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표준관리가 되는 한지형 잔디 축구장은 조성연수에 따른 볼 구름거리와 수직 볼 리바운드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반면 표준 관리가 하지 않은 한국잔디 축구장은 오래 될수록 볼 구름거리는 길어졌고 수직 볼 리바운드 역시 높았다.

Effects of alfalfa and alfalfa-grass mixtures with nitrogen fertilization on dry matter yield and forage nutritive value

  • McDonald, Iryna;Baral, Rudra;Min, Dooh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2호
    • /
    • pp.305-318
    • /
    • 2021
  • Alfalfa (Medicago sativa L.) is an important forage legume grown in Kansas, USA and its productivity with cool-season grasses however is unknow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ry matter yield (DMY) and forage nutritive value of alfalfa-grass mixtures compared to those of alfalfa and grasses grown in monoculture with and without nitrogen fertilization. Three different alfalfa varieties were planted (reduced-lignin alfalfa, Roundup Ready, and conventional alfalfa) and two kinds of cool-season grasses (smooth brome, Bromus inermis Leyss, and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were planted as a monoculture or in alfalfa-grass mixtures. Nitrogen fertilizer (urea) was applied at green-up at a rate of 56 kg/ha and after the second cutting at a rate of 56 kg/ha in 2016 and 2017, respectively. and control treatments received no nitrogen. DM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noculture alfalfa and alfalfa-grass mixtures than in grass monocultures. Between alfalfa monoculture and alfalfa-grass mixtur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MY were found. For all treatments, nitrogen appli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DMY compared to the control. In 2016 and 2017, the low-lignin alfalfa monoculture had the lowest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the grass monocultures had the highest ADF. In 2016 and 2017, neutral detergent fiber (NDF) in smooth bromegrass and tall fescue was higher than in other species treatments. A low-lignin alfalfa monoculture had significantly lower NDF concentration compared to alfalfa-grass mixtures. When averaged over 2016 and 2017, relative feed value (RFV) was highest in low-lignin alfalfa and lowest in the grass monocultures. In both years,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did not affect nutritive values.

들잔디 위의 한지형 잔디 덧파종 효과 (Effects of Cool-Season Turfgrass Overseeding onto Zoysiagrass)

  • 심상렬;정대영;안병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85-93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 of cool-season turfgrass overseeding onto zoysiagrass(Zoysia japonica L.) for extending green color and solving traffic problem during dormant periods. Overseeding rates of cool-season turfgrasses were $10g/m^2$ of Kentucky bluegrass(KB1), $20g/m^2$of Kentucky b1uegrass(KB2), $60g/m^2$ of perennial ryegrass(PR), $80g/m^2$ of Tall fescue(TF), and $10g/m^2$ of Kentucky bluegrass + $10g/m^2$ of perennial ryegrass mixture(KB+PR) onto 2m${\times}$2m(width${\times}$length) zoysiagrass plots with 3 replications.1 to 9-sca1e of visual quality and visual color were measured after treatment, Consequently cool-season turfgrass overseeding gave a good performances of extending the green periods and enhancing the turf grass quality. KB1 and KB2 were found to be excellent performances for visual quality and visual color compared to PR, TF, KB+PR and control. KB2 showed better turf performances than KB1 within Kentucky bluegrass overseedings. Turfgrass color was kept up for 10 months by overseeding of cool-season turfgrasses(KB1, KB2, PR, TP, KB+PR) compared to about 5~6 months by zoysiagrass(Control). The visual quality and visual color of PR and TF showed good performances during a green-up period of spring, but decreasing tendencies through the summer.Percent diseases data revealed also higher ratings for PR and TF compared to for KB1 and KB2.

CSG 재료를 이용한 친환경 식생 블록 내 초본식물 및 한지형 잔디의 식생 특성 (Planting Properties of Herbaceous Plant and Cool-season Grass in Environmentally Friendly Planting Block Using CSG Materials)

  • 김영익;연규석;김용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1호
    • /
    • pp.33-40
    • /
    • 2010
  • The cemented sand and gravel (CSG) method is a construction technique that adds cement and water to rock-like materials, such as rivered gravel or excavation muck which that can be obtained easily at areas adjacent to dam sit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lanting properties of herbaceous plant and cool-season grass in CSG blocks that were manufactured by using CSG materials to develop environmentally friendly CSG method. The two types of CSG-0 without cement and CSG-100 with $100\;kg/m^3$ of cement were designed to evaluate compaction,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growth of plants with cement content by using modified E compaction. To analyze growth properties of plants, germination ratio, visual cover,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were measured in 4 weeks and 8 weeks after sowing. As the results, the germination regardless kinds of plants started within 5~7days and the germination ratio were in the range of 50~60 %. The visual cover of kinds of plants by visual rating system were in the range of 7~8 and the visual cover of tall fescue and perennial ryegrass was higher than that of lespedeza cuneata. The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for tall fescue and perennial ryegrass in 8 weeks after sowing were in the range of 22~26 cm, 12~15 cm and 4~6 cm, 3~5 cm, respectively.

피복이 한국잔디 및 한지형 잔디의 초겨울 녹색기간연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vering Materials on Prolongation of Green Period in Zoysiagrass and Cool-season Grass in Early Winter)

  • 이재필;김석정;신석훈;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29-139
    • /
    • 2004
  • 본 연구는 피복이 한국잔디와 한지형 잔디의 늦가을과 초겨울의 녹색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수행되었다. 한국잔디의 녹색기간 연장을 위해 대조구(Control), 비닐(Vinyl), 검정 차광망, 녹색 차광망과 피복순서에 따라 검정차광+비닐, 녹색차광+비닐, 비닐+검정차광, 비닐+녹색차광으로 처리하였다. 한지형 잔디의 녹색기간 연장을 위해 대조구, 무공 비닐 처리구 및 유공비닐 처리구로 하였다. 조사항목은 온도, 조도, 습도, 녹색도,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하였으며, 실험구의 크기는 $2\times2$로 3반복 완전임의배치 하였다. 한국잔디 1. 최고온도는 검정 차광망 + 비닐 처리구와 녹색 차광망 + 비닐 처리구가 대조구 및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최저온도는 대조구 및 차광망 처리구가 비닐 처리구보다 낮아 차광망 처리구들은 야간에 보온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비닐 처리구는 온도가 $10{\pm}5^{\circ}C$이하로 낮을 경우 비닐 처리구와 대조구와의 온도 차이가 없었지만 $10{\pm}5^{\circ}C$이상일 경우 비닐 처리구의 온도가 대조구보다 $10^{\circ}C$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조도는 검정 차광망이 들어간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아주 낮았고 대조구 > 비닐 > 녹색차광망 > 비닐+녹색차광망 $\fallingdotseq$녹색+비닐 차광망 > 흑색 차광망 >비닐+검정 차광망 $\fallingdotseq$검정+비닐 차광망 순이었다. 3. 습도는 차광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높았지만 차광 처리구 간의 차이는 적었다. 4. 녹색도는 10월 중순에서 11월 중순까지 비닐처리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11월 중순 이후는 비닐+검정 차광처리가 우수하였다. 엽록소 함량 역시 11월 중순까지는 비닐처리구가 비닐+차광망 처리구보다 높았으나 11월 21일 이후의 조사에서는 비닐+차광망 처리구의 엽록소 함량이 높았다. 한지형 잔디 1. 무공 비닐 처리구와 유공비닐 처리구의 온도 차이는 $4^{\circ}C$내외였으나 온도가 $0^{\circ}C$이하로 내려갈수록 대조구와 처리구의 최고 및 최저 온도차이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습도는 무공 비닐이 유공비닐보다 $15\%$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무공 비닐 피복만으로 녹색기간을 연장하고자 할 경우 주기적인 환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 한지형 잔디의 녹색도는 무공 비닐 처리구가 대조구 및 유공 비닐 처리구보다 진하였다. 그러나 12월 22일 이후에서는 그 효과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반면 유공비닐 처리구(양파용)는 온도 유지효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나 비닐의 종류, 적정 구멍 수, 간격, 크기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 한국잔디의 녹색기간은 습도보다 온도와 조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차광을 이용한 한국잔디의 녹색기간 연장은 10월 초순부터 11월 중순까지는 비닐피복을 하고 11월 하순부터는 비닐+검정 차광망을 피복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반면 한지형 잔디의 초겨울 녹색기간 연장은 11월 중순부터 비닐을 피복하여 12월 중순까지 광합성을 유도하고 12월 하순부터는 검정 차광망을 피복하여 엽록소 분해를 지연시켜 준다면 동계기간 내내 일정 수준의 녹색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잔디 및 한지형 잔디의 초봄 그린업 촉진 (Improvement of Green-up of Zoysiagrass and Cool-season Grass during Early Spring in Korea)

  • 이재필;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3-113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잔디 및 한지형 잔디로 조성되어 있는 경기장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잔디의 초봄 그린업(green up) 촉진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실험기간은 2000년과 2001년 2월부터 4월까지 광엽형 한국잔디 및 한지형 잔디로 조성된 건국대 포장에서 실험하였다. 한국잔디의 초봄 그린업 촉진을 위해 대조구, 비닐, 검정 차광망, 녹색 차광망, 검정 차광망+비닐, 녹색 차광망+비닐, 비닐+검정 차광망, 비닐+녹색 차광망 등과 낮은 잔디깎기 높이 및 잔디 태우기를 처리하였다. 피복 시기에 관한 실험은 한국잔디 및 한지형 잔디에 장수 비닐(두께 0.06mm)을 2월 22일, 2월 28일, 3월 7일, 3월 14일 등 시기를 달리하여 피복하였다. 또한 한지형 잔디의 경우 무공비닐과 유공비닐이 초봄 그린업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실험구의 크기는 $2\times$2m이며 3반복 완전임의 배치로 배치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잔디의 초봄 그린업은 비닐, 녹색 차광망+비닐 및 비닐+녹색 차광망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그린업이 촉진되었다. 비닐피복 시기에 따른 한국잔디의 그린업은 2월 22일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빨랐다. 그러나 비닐피복 약 50일 후에는 피복시기에 상관없이 양호한 진녹색을 나타내었다. 또한 그린업 시기는 피복시기가 빠를수록 그린업이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2. 낮은 잔디깎기(1.5$\sim$2cm)와 잔디 태우기 방법도 한국잔디의 그린업을 대조구보다 5 $\sim$ 7일정도 촉진하였다. 3. 한지형 잔디의 초봄 그린업은 무공비닐 피복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2$\sim$3주 빨랐다. 비닐 종류에 따른 그린업은 무공비닐 처리구가 대조구 및 유공비닐 처리구보다 5$\sim$7일정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복시기에 따른 한지형 잔디의 그린업은 피복시기가 빠를수록 그린업은 촉진되었으나 3월 8일과 3월 15일 피복처리구의 그린업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한국잔디 및 한지형 잔디의 비닐 피복으로 인한 초봄 그린업 촉진시 유의할 점은 충분한 수분 유지를 위해 비닐 피복전에 관수를 하거나 비온 후에 비닐 피복하는 것이 좋으며, 비닐 제거시 잔디의 일소현상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흐린날 비닐을 제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WATER TURNOVER OF GROWING CATTLE FED FRESH CUT GRASS OR HAY AND GRAZED ON PASTURE

  • Sekine, J.;Morita, Z.;Asahida,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권3호
    • /
    • pp.163-166
    • /
    • 1988
  • Water turnover and consumption of steers fed either fresh cut grass or hay and water turnover of steers grazed in summer or in fall were determined using 18 Holstein steers weighing 226 to 382 kg. Steers consumed 7.0 or 7.5 kg of dry-matter from hay or fresh cut grass. Animals fed hay drank significantly more water than those given fresh cut grass (P<0.01). Total water consumption, however, was greater in steers fed fresh cut grass than those given hay (P<0.05). Water turnover was about the same as total water consumption with a tendency for slightly higher values in water turnover irrespective of feeding regimes. Steers grazed in summer had greater water turnover than those grazed in fall. Water turnover was about the same in steers fed fresh cut grass and grazed in summer but decreased in steers on the dry ration or grazing in a cool season of the year.

주요 초본식물의 비탈면 파종적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eding timing of several herbaceous plants for the slope revegetation works)

  • 김남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2-72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hydroseeding timing of several herbaceous plants for the slope revegetation works. Four native plants and five introduced grasses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and were seeded on the cut slopes by hands in April, May, June, September and October. To identify the best seeding timing, germination percentage, ground covering rate, number of tillers and plant heights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wide differences in germination and ground covering rates of native plants are lower than those of cool-season foreign grasses and they show different germination rates according to seeding timing. Among them, Arundinella hirta var. ciliata shows the most apparent germinatin pattern according to seeding timing. 2. Seeding timing : Native plants tend to germinate well in May and June and cool-season foreign grasses in May and September. But Native plants show extremely low germination rates in autumn, so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eeding rates when seeding in autumn. When seeding in May, it will be possible to use native plants-seed-mixture without using introduced foreign grasses. In sum, the best seeding timing of cool-season foreign grasses are May and September, and warm-season foreign grass is May and June. The best seeding timing of native plants seem to be in May and Ju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