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nvergence Age

Search Result 1,54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의료기관 종사자의 역할 스트레스가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le Stress on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Workers)

  • 이상식;최동일;조덕영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141-15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 중소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역할 스트레스(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과부하)가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종합 및 일반병원에 종사하는 간호직, 행정직 등 418명이며 실증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 연령, 학력, 결혼상태, 근무연수에 따라 일부 연구변수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직종에 따라서는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과부하, 경력몰입, 이직의도의 모든 변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역할스트레스는 경력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스트레스 중 역할과부하가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 가장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직을 포함한 전 직종의 근무자를 포함하여 역할 스트레스가 가지는 영향력을 분석한 점과 경력몰입, 이직의도의 설명변수로서 역할 스트레스의 의미를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취업준비생의 우울, 사회적지지, 자기통제력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depression, self-control on job stress in job seekers)

  • 박효진;유은주;이화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25-131
    • /
    • 2023
  •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의 사회적지지, 우울, 자기통제력과 취업스트레스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지지 4.13점, 우울 0.79점, 자기통제력 3.10점, 취업 스트레스 2.15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는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학년, 전공, 성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취업스트레스는 취업스트레스-우울(r=.625, p=.001), 취업스트레스-자기통제력(r=.251, p=.001)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취업스트레스-사회적지지(r=-.519, p=.001)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우울은 우울-사회통제력(r=.300, p=.001)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우울-사회적지지(r=-.503, p=.001)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난다. 사회적지지는 사회적지지-자기통제력(r=-.059, p=.414)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취업스트레스의 영향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 우울이 나타났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퀴즈 앤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에서 방사선과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Survey of Radiology Students' Satisfaction in Classes using the Quizn Platform)

  • 박정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83-790
    • /
    • 2023
  • 최근 교육과 기술의 융합이 강조되면서 에듀테크라는 용어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교내에서도 에듀테크를 활용한 수업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선학과 재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퀴즈 앤플랫폼을 사용한 후 만족도와 일반적 특성에 따른 퀴즈 앤 플랫폼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형태에 따른 만족도 분석 결과 실습수업, 이론+실습수업, 이론수업의 순이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론수업 중 원하는 수업 방식은 핵심수업(퀴즈 풀이), 강의식 수업, 토의, 토론 수업이었다.셋째, '수업에서 퀴즈 앤은 적절하게 사용 되었다.' 가 4.27±0.6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나는 본 교과목에 관심이 많다.'는 3.98±0.7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수업 방법에 대한 호응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넷째, '수업에 퀴즈 앤을 적용하니 흥미롭고 재미가 있었다.' 가 4.24±0.94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퀴즈 앤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한다.'가 3.49±0.96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나이에 따른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퀴즈 앤을 활용한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나, 학생과 상호 작용하는 교수자의 만족도는 조사 하지 못하였으며, 차후 에듀테크를 활용하기 위한 수업에서 교수자의 만족도를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에듀테크를 선택하고 활용되기까지 대학에서는 제도적 뒷받침과 지속적인 관심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Stress,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s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on Nursing Performance)

  • 박소영;조정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159-1172
    • /
    • 2023
  •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및 사회적 지지가 간호헙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B시와 G시에 소재한 요양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8년 2월 1일부터 2월 2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𝛽=.415, p<.001), 연령(𝛽=.251, p=.001), 사회적 지지(𝛽=.206, p<.001), 직무스트레스(𝛽=-.159, p=.001), 직위(𝛽=.102, p=.047)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업무 특성이 반영된 간호업무성과 관련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예비교사들의 교육봉사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탐색: 자아효능감, 친사회성, 작업선호도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effects of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service continuity: Focusing on self-efficacy, pro-sociality, and work preference)

  • 박신희;진상우;최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57-66
    • /
    • 2023
  •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교육봉사지속성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3월 1일부터 30일까지 이루어졌다. G광역시 2개 대학 교직이수자 90명을 대상으로 자아효능감, 친사회성, 작업선호도, 교육봉사지속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IBM SPSS/Win 26.0을 이용하였으며, 서술통계, ANOVA, Pearson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연령과 전공에 따라 교육봉사지속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5). 작업선호도, 자아효능감, 친사회성, 교육봉사지속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네 개 변인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p<.05). 어떤 변인이 교육봉사지속성에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적동기와 친사회성이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두 변인이 교육봉사지속성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57.4%로 나타났다. 논의: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봉사지속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외적동기와 친사회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건강지각,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Effects of Health Perceptions and Social Suppor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박수정;이아름;윤병길;박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461-469
    • /
    • 2023
  • 우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지각,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C 도에 소재 대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성별(t=3.892, p<.001), 전공 만족도(F=5.867,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 학년, 전공계열, 최근 3년간 입원 혹은 수술 경험, 경제활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지각(r=0.439, p<.001), 사회적 지지(r=.532, p<.001), 자기효능감(r=.533,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건강지각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효과(Z=3.964,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효과(Z=4.24,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학생의 건강지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는 중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세대정신?: 한국청년세대의 복지태도 지형연구 (A New Generational Spirit?: A Study on Welfare Attitude of Korean Young Generations)

  • 김신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7-23
    • /
    • 2023
  • 이 연구는 한국의 청년세대가 복지제도에 대해 가지는 사고의 지형에 주목한다. 8개의 복지영역에 대한 정부지출의 확대 또는 감소에 대한 태도, 그리고 복지태도와 관련된 주요 이슈들에 대한 청년세대의 태도들이 주요 분석내용이다. 사전 가설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탐색적 성격의 연구이며, 분석결과에 대해서는 사후적 해설이나 추후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가설 도출을 수행하고자 한다. 자료는 2022년에 수행된 한국복지패널 17차년도 조사결과이며 평균차이 검증과 사후 비교, 그리고 범주형 변수 간의 구체적 연관을 보여주는 대응분석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한국의 청년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교육수준에서는 '전문대졸'과 '대졸'이, 경제활동 상태에서는 '상용직'의 분포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30대'가 생각하는 가장 시급한 사회문제는 '주거'와 '양육'인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해서, 한국 청년세대는 중장년 및 노년세대에 비해 교육수준이 높고 상용직 위주의 경제활동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공적연금'에 대해서는 정부지출의 확대에 반대하지만, '주거지원'에 대해서는 정부지출 확대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년층('60대'와 '70대')에 비해 보편주의 복지태도를 지향하고 있으며, 50대 이상의 연령대에 비해 진보적 정치성향을 보이고 있으나 정작 복지를 위한 증세에 반대하는 경향은 노년층에 비해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적어도 복지이슈에 대해서 한국 청년세대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자의식 구조를 엿 볼 수 있는 분석결과로 보인다.

저출산 대응 정책 비교분석 (육아휴직과 아동수당의 비정형 데이터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Low Fertility Response Policies (Focusing on Unstructured Data on Parental Leave and Child Allowance))

  • 금은영;김도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769-778
    • /
    • 2023
  • 본 연구는 현재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의 해결방안 중 두 가지 주요정책인 육아휴직과 아동수당의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하여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관련 대응 정책의 향후 방향과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수집 키워드는 "저출산+육아휴직", "저출산+아동수당"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텍스트 빈도분석, 중심성 분석, 네트워크 시각화, CONCOR 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육아휴직은 아동수당 보다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논의들이 데이터 분석상 나타남으로써 저출산 대응 정책에 있어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아동수당은 데이터 분석상 아동수당을 포함한 현금지원급여제도에 대한 정보와 관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이외의 특이점이나 적극적인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개선방안으로 두 정책 모두 기존 제도의 활용에 있어 첫째, 육아휴직은 제도의 확산을 위한 근로환경과 사각지대의 개선이 필요하며, 둘째 아동수당은 지급에 있어 획일적이고 편중된 것에서 벗어난 형식의 변화가 모색되어야 하며, 수급연령 확대를 제안하였다.

예비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 (Effect of Self-esteem of Pre-elderly on Subjective Health Awarenes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 박순진;석말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75-84
    • /
    • 2024
  • 본 연구는 예비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예비노년의 신체적·정신적 측면에서의 주관적 건강 인식 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사회복지기관에서 운영하는 예비노인 프로그램 참여 55세 이상~64세 예비노인 270명을 대상으로 2023년 2월 16일부터 3월 16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WIN 25.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주관적 건강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비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건강 인식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능력은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노년기에 활발하고 성공적인 노후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서예활동에 대한 노인의 여가만족이 자기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China on Their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alligraphy Activities)

  • 진우;펑멍;이재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365-371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서예활동에 따른 여가만족이 자기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중국 허난성 안양시와 신샹시에서 65-76세 이상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2023년 11월 말부터 12월 초까지 306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IBM SPSS Statistics 25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 통계 분석, 피어슨 상관 분석을 수행한 다음 독립 표본 T-검정 및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수행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측정 개념을 통한 가설 검증을 위해 Hayes PROCESS macro, Bootstrap에 대한 관련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가만족의 성별 차이가 있고 여가만족감,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은 연령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또한 여가만족감과 심리적 안녕감은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만족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만족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만족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노인들의 여가 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예활동 체계를 면밀하게 개발하여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야 한다.